논문 상세보기

20세기 초 조선인 여자 일본유학생들의 도일 실천에 관한 연구 : 피에르 부르디외의 '장' 이론을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of the background of Korean women studying abroad in Japan in the early 20th century : Centered on Pierre Bourdieu's theory of the "Fiel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456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한국과 세계 (Korea and World Review)
한국국회학회 (Korea Society of Assembly Studies)
초록

본 연구의 연구목적은 20세기 초 조선인 여자 일본유학생들의 도일실 천을 피에르 부르디외의 '장' 이론에 입각하여 재해석 해보고자 함에 있 다. 피에르 부르디외는 사회를 다양한 사회적 '장'들로 이루어진 유기체 로 해석하였는데, 각각의 장들에서는 행위자들의 행위적 실천이 발생하 고 있고, 행위적 주체들은 여러 사회적 '장'에 동시에 소속되어 있다. 이 러한 시각에서 바라볼 때, 근대 조선의 지식인 사회 역시 여러 '장'들로 분화되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장'들은 본 연구의 연구대상인 15명의 조선인 여자 일본유학생들의 '도일유학' 행위의 실천 영역으로서, 각 '장'들은 독립적이면서도 서로 상호작용하며 연결되어 있었고, 이들 여자 유학생들은 동시에 이러한 '장'들에 몸담고 있었다. 20세기 초 조선 인 여자 일본유학생들은 도일 실천에 있어서 어떠한 '장'들을 공유하고 있었으며, 이들의 '도일'이라는 행위적 실천 양상은 어떠한 모습을 하고 있었는가.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질문들에 대해 교육사회학적·교육인류학 적인 시각에서 부르디외의 '장' 이론을 적용하여 재해석을 시도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terpret the background of Korean female students studying abroad in Japan in the early 20th century based on Bourdieu's theory of the "Field". Bourdieu views society as a collective organism composed of several social "Fields". From this perspective, the society of intellectuals in modern Korea was similarly divided into several fields. These are the spheres of practice of the fifteen female Korean students studying abroad in Japan in this study, each of which is independent yet interconnected, and the female students were simultaneously engaged in these spheres. In the intellectual society of early 20th century Korea, the first group of female Korean students who studied abroad shared what kind of fields in their backgrounds, what kind of interrelationships did the different sub-fields have with each other, and what kind of practices did the Female Korean students in these fields engage in. This study attempts to answer these historical questions by focusing on Bourdieu's theory of "Field".

목차
I. 서론
II. 20세기 초 조선인 여자 일본유학생 유학배경 및 동기
III. 20세기 초 조선인 여자 일본유학생 유학 과정 및 수용
IV.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최리나(세한대학교) | CUI LINA (Sehan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