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분비나무의 수고 특성에 따른 개체군 동태 분석이 가능한지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는 기존 수령 및 흉고직경에 기반한 개체군 동태 분석이 고지대의 척박한 환경에서 더디게 생장하는 분비나무 특성을 반영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분비나무군락이 대표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설악산, 오대산, 태백산국립공원 을 대상으로 분비나무 수령과 흉고직경급 분포에 따른 개체군 동태 분석의 한계를 검증하고, 수고 생장 특성을 조사하여 수고에 기반한 수직적 구조를 통한 개체군 동태 파악이 가능한지 종합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분비나무 개체군 동태 파악에 있어 수령 분포는 모든 수목에 대한 실질적인 시료 채취의 어려움과 더불어 동일한 임분 내에서도 광조건 등에 따라 수령 분포가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흉고직경급 분포는 치수 단계에서 세분화 된 구분이 어려워 피음 조건에서 치수 단계로 오래 머무르다 광 조건이 적합해지면 급격히 생장하는 분비나무 특성을 반영하기 어려웠다. 반면, 분비나무 수고 특성을 종합 분석한 결과, 전나무속 개체군 동태 특성에 해당하는 밀도가 높고 유사한 수고 단계에서의 주된 수목 고사, 하층에서의 U자형 개체군 동태 등을 충분히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피음 조건에서 하층 분비나무 개체의 연간 수고 생장량이 커지는 전환점이 되는 수고값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해당 수고에서야 분비나무 개체가 다른 관목 및 초본의 피압으로부터 벗어나 진계 생장이 본격적으로 일어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고지대 분비나무의 개체군 동태를 이해하는데 있어 수고를 통한 수직적 구조가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향후 현장에서도 수고 특성에 기반하여 직관적으로 분비나무군락의 유지 여부 등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population dynamic analysis based on the height characteristics of Abies nephrolepis was feasible. It was necessary because existing population dynamic analyses based on age and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made it difficult to reflect the slow growth characteristics of Abies nephrolepis in harsh environments of high altitudes. The limitations of population dynamics analysis based on the age and DBH distribution of Abies nephrolepis in Seoraksan, Odaesan, and Taebaeksan National Parks, where Abies nephrolepis populations are representative, were verifi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height growth were investigated to comprehensively analyze whether a vertical structure based on height could reveal the population dynamic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some limitations in understanding the population dynamics of Abies nephrolepis based on age distribution due to practical difficulties in sampling all trees and variations in age distribution within the same community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light conditions. Moreover, it was challenging to differentiate the distribution of DBH classes at fine levels, making it difficult to reflect the rapid growth characteristics of Abies nephrolepis when light conditions become suitable after prolonged stays in smaller DBH classes under shade conditions. However,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height characteristics of Abies nephrolepis revealed that the density corresponding to the population dynamic characteristics of Abies was high and adequately reflected the predominant tree death at similar height stages, as well as the U-shaped population dynamics at the lower stratum. Moreover, it was possible to identify a transition point in height values under shaded conditions, where the annual growth of Abies nephrolepis individuals in the lower stratum increases significantly, indicating that Abies nephrolepis individuals can escape from competition with other shrubs and undergo vigorous growth only at this height level. Therefore, this study confirmed that a vertical structure based on height can be utilized to understand the population dynamics of Abies nephrolepis in high altitudes, and it is expected that future studies on height characteristics can intuitively reveal the maintenance status of Abies nephrolepis populations in the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