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산림유역의 부유토사 동태 해석을 위한 이력현상 지수의 적용성 평가 KCI 등재

Assessing the Applicability of Hysteresis Indices for the Interpretation of Suspended Sediment Dynamics in a Forested Catchm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460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산림유역의 부유토사 동태는 토지이용 변화, 산림사업, 산불, 산사태 등의 인위적 또는 자연적 교란에 따라서 다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산림유역의 부유토사 동태를 이해하는 것은 효과적인 수질 관리 대책을 수립하는 데에 중요하다. 이 연구는 부유토사 동태를 해석하기 위한 체계적인 조사 방법을 제안하고자 관측된 유출량-탁도 자료를 토대로 2가지의 이력현상 지수 산정 방법(Lawler의 방법과 Lloyd의 방법)과 5가지 추출 간격(50, 25, 10, 5, 1 퍼센타일)을 고려한 10개 산정기법의 적용성과 성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1 퍼센타일의 추출 간격을 활용한 Lloyd의 방법이 분석 가능한 유출 사상이 가장 많았으며, 성능 역시 가장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이력현상 지수를 활용함으로써 유출량과 부유토사의 이력현상을 정량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유토사 동태를 해석하는 데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dynamics of suspended sediment (SS) in forested catchments vary depending upon human or natural disturbances, including land use change, forestry activity, forest fires, and landslides. Understanding the dynamics of SS originating from the potential sources within a forested catchment is crucial for establishing an effective water quality management strategy. Therefore, to suggest a systematic method for interpreting SS dynamics, we evaluated the performance and applicability of ten methods for calculating the hysteresis index based on observed hydrological data and two calculation models (Lawler's method and Lloyd's method) with five sampling intervals (50th, 25th, 10th, 5th, and 1st percentiles). Our results showed that Lloyd's method, which used a sampling interval at the 1st percentile, had the largest number of analyzable runoff events and exhibited the best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quantifying the hysteresi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harge and SS and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interpreting SS dynamics.

목차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자료
    2. 분석방법
결과 및 고찰
    1. 이력현상 지수의 성능 및 적용성
    2. 이력현상 지수의 활용
REFERENCES
저자
  • 김기대(강원대학교 대학원 산림환경시스템학과 박사과정) | Ki-Dae Kim (Dept. Forestry and Environmental System, Kangwon National Univ., Chuncheon 24341, Gangwon-do, Korea)
  • 장수진(국립산림과학원 산사태연구과 박사연구원) | Su-Jin Jang (Landslide Div., National Inst. of Forest Science, Seoul 02455, Korea)
  • 남수연(국립산림과학원 생활권도시숲연구센터 연구사) | Soo-Youn Nam (Livable Urban Forests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 of Forest Science, Seoul 02455, Korea)
  • 이재욱(강원대학교 대학원 산림환경시스템학과 박사과정) | Jae-Uk Lee (Dept. Forestry and Environmental System, Kangwon National Univ., Chuncheon 24341, Gangwon-do, Korea)
  • 김석우(강원대학교 산림과학부 부교수) | Suk-Woo Kim (Div. of Forest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 Chuncheon 24341, Gangwon-do,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