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장기간 토지피복 변화에 따른 국내 생태계서비스 간 상쇄효과(Trade-off) 분석 KCI 등재

Trade-off Analysis Between National Ecosystem Services Due to Long-term Land Cover Chang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460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생태계서비스 상쇄 효과(Trade-off) 규명과 같이 서비스 간 상호관계를 측정하는 것은 한정된 환경자원을 관리하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약 30여 년간 토지 피복이 변화함에 따라 파생된 생태계서비스 우세경향 및 증감을 파악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발생한 생태계서비스 상호 간 관계 변화를 추적하였다. 이를 통해 토지 피복 변화와 생태계서비스 변화 간의 관계 및 지역마다 상이한 서비스 변화의 특성을 규명하였다. 연구는 생태계서비스 평가 모델인 InVEST Model을 주로 활용하였고, 평가결과를 0-1사이로 표준화한 후 차원축소기법 중 하나인 주성분 분석을 거쳐 시계열변화를 관찰하고 서비스 상호 간 관계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시가화 지역 면적은 1989년에서 2019년 사이 급격하게 증가했으며, 산림은 2009년에서 2019년 사이 크게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1989년에서 2019년 사이에 생태계서비스 공급량에 있어 전국적으로 수량 공급은 13.9% 감소, 질소 저류는 10.5% 감소, 인 저류는 2.6% 증가, 탄소 저장은 0.9% 감소, 대기정화는 1.2% 증가, 서식처 질은 3.4% 감소하였다. 우리나라는 지난 30여 년간 시가화 지역이 증가하고, 농경지가 감소하며, 산림이 증가하는 동안 인 저류 기능과 서식처 질 사이에 상쇄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환경관리 정책이 도시화로 인해 하락한 생태계 질을 향상시키고 생태계서비스를 극대화하는데 기여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정책결정자들이 지속 가능한 자연환경 보전과 생태계 서비스 제공에 중점을 둔 조림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Understanding the trade-off effect in ecosystem services and measuring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services are crucial for managing limited environmental resources.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dominant trends and increases and decreases in ecosystem services derived from changes in land cover over about 30 years and tracked chang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ecosystem services that occurred over time. Through it, we deter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 cover changes and ecosystem service changes, as well as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service changes in different areas. The research primarily utilized the InVEST model, an ecosystem service assessment model. After standardizing the evaluation results between 0 and 1, it went through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 dimensionality reduction technique, to observe the time-series changes and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ervice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area of urbanized regions dramatically increased between 1989 and 2019, while forest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between 2009 and 2019. Between 1989 and 2019, the national ecosystem service supply witnessed a 13.9% decrease in water supply, a 10.5% decrease in nitrogen retention, a 2.6% increase in phosphorus retention, a 0.9% decrease in carbon storage, a 1.2% increase in air purification, and a 3.4% decrease in habitat quality. Over the past 30 years, South Korea experienced an increase in urbanized areas, a decrease in agricultural land, and an increase in forests, resulting in a trade-off effect between phosphorus retention and habitat quality. This study concluded that South Korea's environment management policies contribute to improving ecosystem quality, which has declined due to urbanization, and maximizing ecosystem services. These findings can help policymakers establish and implement forestry policies focusing on sustainable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ecosystem service provision.

목차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2. 입력자료 및 분석방법
    3. 상쇄효과(Trade-off) 분석을 위한 통계기법: 주성분 분석
결과
    1. 토지피복 변화에 따른 생태계서비스 평가(1989-2019년)
    2. 토지 피복 변화에 따른 생태계서비스 상쇄효과(Trade-off)평가
고찰
    1. 토지피복변화로 인한 생태계서비스 변화
    2. 우리나라 생태계서비스 상쇄효과 분석
    3. 생태계서비스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우리나라 산림관리의 개선방안
REFERENCES
저자
  • 박윤선(한국산지보전협회 산지정책연구센터 선임연구원) | Yoon-Sun Park (Forestland Policy Research Division, Korea Forest Conservation Association, Daejeon 35262, Korea)
  • 송영근(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교수) | Young-Keun So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1, Gwanak-ro, Gwanak-gu, Seoul,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