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요양보호사가 지각한 요양보호서비스의 어려움 유발변인에 관한 질적 연구 - 서울․경기지역 요양보호사를 중심으로 -

Qualitative Study on Perceived difficulties caused by factors of nursing care services bohosa - Focusing on the Seoul Gyeonggi care bohos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465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초록

본 연구는 질적연구를 통해 요양보호사 양성교육을 완료한 요양보호사가 지각하는 요양보호서 비스활동의 어려움을 유발하는 변인과 유발을 야기 시키는 상황을 알아보고자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요양보호사 양성교육을 완료한 후 요양보호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요양보호사 15명을 대상으로 질적연구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실시 전에 이 연구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평균 35분의 인터뷰를 실시하고 피험자의 동의하에 축어록을 작성하였다. 인터뷰는 2015년 4월부터 6월까지 3개월 간 실시하였다. 질문자와 응답자는 인터뷰내용을 빠짐없이 축어록으로 작성하면서 개인정보를 제외시키고 정리하는 시간을 가졌고, 초기 영역 코딩 및 중심개념 코딩, 교차분석 전 과정에서 연구자를 포함한 2명이 평정자와 감수자가 참여하여 연구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요양보호사 자격을 취득한 요양보호사가 지각한 요양보호서비스의 어려움을 유발하는 변인에 대한 질적 분석을 한 결과 4개의 영역과 9개의 유발 변인, 그에 따른 유발상황으로 분류되었다. 따라서 위의 결과를 토대로 요양보호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요양보호사제도의 개선방안을 마련 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ircumstances that caused the factors that are causing medical treatment and care bohosa bohosa completing the Training Program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activities lead to difficulties in care services that perception. After completing the nursing bohosa Training Program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t was carried out a qualitative study of 15 people who provide care bohosa care services. Briefly describe the research conducted before the interview,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an average of 35 minutes to create a shaft Ana consent of the subjects.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April 2015, three months to June. The questioner and respondent had the time to organize your personal information except to create an interview with Ana axis without exception, the initial region coding and coding center concept, two people, including researchers to participate in a cross-analysis of the entire process is pyeongjeongja researchers and reviewersIt was to provide feedback. Bohosa care nursing qualifications acquired bohosa is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may cause difficulty in Perceived care services results four regions and nine-induced factors, were classified as causing the situation accordingly. Therefore, to provide a framework for the improvement of care bohosa improve care services should b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to provide the basic data.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2. 용어의 정의
Ⅱ. 선행연구의 고찰
    1. 요양보호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
    2. 요양보호서비스의 역량강화
    3. 요양보호사 직무 특성 요인에 따른 소진
    4. 요양보호서비스를 어렵게 하는 근로환경
Ⅲ.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분석방법
    3. 연구절차
Ⅳ. 연구결과
    1. 요양보호사의 소진
    2. 요양보호사 역량부족
    3. 요양보호사의 소명의식
    4. 요양보호서비스를 어렵게 하는 근로환경.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윤재(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교수) | Kim Youn Jae
  • 박스잔(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 Ph.D. 과정 중) | Park Suj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