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사회복지사의 개인적 환경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직무열정의 매개효과

Parameters of the job and personal passion to influence environmental factors of social workers on the job satisfaction effec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465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의 개인환경 요인인 신체적 요인, 정서적 요인, 사회적 요인이 직 무열정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열정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정책적 함의를 모색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개인환경 요인이 직무만족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사회복지사의 직무열정이 직무만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 치며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이며, 통계프로그램인 PASW(SPSS) Ver.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신뢰도 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 검증을 위 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개인환경 요인인 신체적 요인, 정서적 요인, 사회적 요인이 모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직무만족에 중요하고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열정은 직무 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사의 개인환경 요인인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요소를 반영하여 직무열정과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의 시행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 of individual social workers’ physical, emotional,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to both job enthusiasm and satisfactions and addition to provide baseline data to seek political undertone through increase a social workers’ job satisfaction by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enthusiasm. Study for solving the problem which is as follows. First, do individual social worker’s environmental factors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 the job satisfaction. Second, does social workers’ job enthusiasm have a direct affect and mediating effect to the job satisfaction, and statistical program PASW(SPSS) Ver. 22.0 was used to analyze the problem.As analysis methods, reliabil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methods were implemented. To verify mediating effec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nd study’s result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all the physical, emotional, and social individual environmental factors of social workers had happened to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 the important and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the job enthusiasm had happened to influence the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 implementation of various developed programs and policies are needed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and enthusiasm of social workers by referencing their physical, emotional, and social individual environmental facto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사회복지사의 신체적 요인
    2. 사회복지사의 정서적 요인
    3. 사회복지사의 사회적 요인
    4. 직무만족
    5. 직무열정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2. 연구대상
    3. 측정도구의 신뢰도
    4. 자료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1. 모형1 : 직무만족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개인환경 요인의 회귀분석(매개변인인 직무열정 제외)
    2. 모형2 : 직무열정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개인환경 요인의 회귀분석
    3. 모형3 : 직무만족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개인환경 요인의 회귀분석(직무열정 포함)
    4. 매개효과 분석
    5. 가설검증 결과
Ⅴ. 결 론
    1. 결론
    2. 정책적 함의
    3. 연구의 한계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정신섭(한영신학대학교 사회복지학 교수) | Jung Shin Sub (Professor the Graduate School in Hanyoung Theological University)
  • 목영길(한영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 | Mok Young Gil (Candidate of The Graduate School in Hanyoung Theologic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