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하나님 형상에 대한 역사적 고찰

Historical Examination on God’s Ima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466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초록

우리가 성경을 읽다보면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되었다고 나옴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하나님의 형상에 대한 이해는 각 시대와 사조에 따라 그 모양을 달리함을 알 수 있다. 본 서에서는 그러한 생각에서 출발하여 먼저 초대 교부시대의 이레니우스는 하나님의 형상을 절대로 상실되지 않는 성품으로 이해했으며, 이러한 이레니우스에게 영향을 받았지만 아우구스티누스는 이레니우스의 이분법적인 인간 이해를 거부하고 ‘형상’이나 ‘모양’이란 단어가 두 사물들 간의 유사 한 관계를 가리키는 말은 분명하나 동의어는 아니라고 주장한다. 이어지는 중세 교회시대에는 스콜라신학으로도 불리는데 이레니우스의 생각을 더욱 발전시켰 다. 당시 대표적인 신학자 토마스 아퀴나스는 하나님의 형상을 신적 특질이라 할 수 있는 지성에 서 찾았다. 종교개혁시대에 이르러 신학자들은 스콜라주의의 ‘형상’과 ‘모양’을 나누는 도식을 거부하고 인간 을 철저히 하나님의 말씀의 빛에서만 이해하였다 대표적인 신학자 마틴 루터는 인간이 타락할 때 하나님의 형상을 완전히 상실된 것으로 본 반면, 존 칼빈은 하나님의 형상이 모든 인간 본성의 부 분들을 포함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현대 신학자들의 하나님의 형상에 대한 이해의 경우, 먼저 칼 바르트는 하나님의 형상 을 찾으려고 인간 속의 구조, 성향, 특성들에 조사하려는 시도는 잘못되었다고 주장했으며 그의 초기에는 하나님의 형상은 전적으로 파괴되었다고 하였으나 후기에는 하나님의 형상이 아직은 남 아 있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칼 바르트처럼 벌카우워도 하나님의 형상을 인간의 지성이나 이성 속 에서 찾으려는 사상을 반대했다. 이상에서와 같이 초대교부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하나님 형상 이해의 역사적인 고찰은 초 대교부시대와 중세시대까지는 “인간이 누구인가? 하나님의 형상은 무엇인가?”라는 존재적인 측면 을 강조한 특징을 볼 수 있었던 반면 현대에 이르러서는 “인간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라는 질 문의 답을 위하여 관계적인 측면을 강조한 특징을 볼 수 있다.

The Bible reads that humans were created in the image of God. However, the understanding of God’s image is different according to various periods and trends. Starting from such a concept, Irenaeus in the Patristic period understood the image of God as never-lost nature. Although, Augustinus was affected by Irenaeus, he asserted that the word of image or the world of shape clearly indicate similar relationship between two objects, but that they are not synonyms, while rejecting Irenaeus’ dichotomous understanding of humans. During the Church period in the medieval times, which is also called scholastic theology period, the thought of Irenaeus was more developed, A representative theologian in those days, Thomas Aquinas, found the image of God from intelligence that can be said to be a divine characteristic. In the Reformation period, theologians rejected scholastic structure dividing image and shape, and thoroughly understood humans from God’s words alone. A representative theologian, Martin Luther, viewed the image of God as completely lost, when humans are corrupted. However, John Calvin thought that the image of God encompasses all parts of human nature. As for modern theologians’ understanding of the image of God, Karl Barth asserted that an attempt to examine the structure, inclination and characteristics within humans in oder to seek the image of God was wrong. He insisted the image of God was completely destroyed in his early period, but the image of God still remained in his late period. Berkouwer like Karl Barth opposed the thought of seeking the image of God from human’s intelligence or reason. As above, an existent aspect was emphasized including “Who is human?” and “What is the image of God like?” in the Patristic period and medieval times concerning the historical examination on the image of God from the Patristic period to the modern times In the modern times, however, a feature stressing a relational aspect can be seen to answer a question, “How humans should live?”

목차
Ⅰ. 하나님 형상에 대한 역사적 고찰
    1. 초대 교부시대의 하나님의 형상 이해
    2. 중세 교회시대의 하나님의 형상 이해
    3. 종교개혁시대의 하나님의 형상 이해
    4. 현대 신학자들의 하나님의 형상 이해
    5.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정익재(한영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 Chung Ik Jae (Graduate School of Hanyoung Theologic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