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노인복지 전문가의 노인자살 인식 유형분석:Q방법론

A Study on the Perspective Typologies of Senior Citizen's Suicid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466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600원
초록

본 연구는 노인과 가까운 곳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사회복지사와 노인 돌봄이의 노인자살 인식 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서울시 지역의 사회복지사, 독거노인돌봄이 40명을 대상으로 주관적 인 반응을 설문조사하고 Q방법론을 적용하여 객관적으로 유형화 하였다. 설문지법으로 수집된 자료는 PC-QUANL Program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3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유형 1은 “가족 결속형”으로 명명하였으며 나이가 들면 인간이 자연히 죽게 되는 데 서둘러 목숨을 끊 을 필요가 없으며, 가족과 터놓고 대화하는 것이 노인이 자살 생각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이들은 삶을 살아감에 가치를 두고 자살을 죄악으로 인식하는 등 노인 자살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갖는 유형으로 가족 간 의사소통을 통한 활발한 교류가 노인 자살에 관한 예방책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유형 2는 “사회적 지지형”으로 명명하였으며 노인자살은 국가와 사회의 책임이 크지만 만성질환의 고 통과 삶에 대한 희망의 부재, 억울함에 대한 분노의 표출로 자살이 일어난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자신의 생명에 대해 스스로 통제할 수 있다고 보고 자살도 하나의 선택권 이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다. 이들은 노 인자살의 예방을 위해 국가는 사회안전망을 지원해야 하고 자살시도 징후가 있는 노인을 대상을 빠르게 파악하여 지지체계를 회복하고 자원을 확보함으로써 노인 자살을 예방할 수 있다고 생각 한다. 유형 3은 “자살 인정형”으로 명명하였으며 노인자살은 젊은 층에 비해 사회적 관심과 비중이 적으며 자살은 삶에 대한 뚜렷한 철학이 없는 극단적인 생각이라고 보고 있다.

This research was for the observation of the social workers and aged carer knowledge who serve the old in their vicinity. 40 social workers and aged carer from Seoul Senior Welfare Center was analyzed with subjective reactions of the poll and the Q-methodology was applied to divide objectively. The results from the question papers were analyzed with pc-QUANL program and the they divided in to three types. The type 1 was called "Resolution based on the family-Type" and the people who chose this type thought that since the human being has the process of death when they are old, they do not have to kill themselves and it is necessary to talk with their family to prevent the suicide. People who select this type put their priority on "keep on living" and perceive suicide as a vice. They had negative conception on the suicide of the old and thought that active communication with one's family can be a precaution, The Type 2 was called "Resolution based on the "Social support- Type" and the people who chose this type thought that the government and society have the responsibility of the old's suicide and the reasons for the suicide their chronic diseases. the absence of hope, and the expression of anger, They also thought that the old can control themselves and the suicide is the right of choice. Thus, it is their argue that the government has to financially support the social protection network and immediately search for the old who has the symptom of suicide for the prevention of suicide. The Type 3 was called "Suicide approval-Type" and the people who chose this type thought that suicide of the old has less concerns from the society comparing with that of the young, thus suicide is extreme nation which do not have distinct philosophy on one's life.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Ⅱ. 이론적 배경
    1. 노인 자살의 위험요인에 대한 선행연구
    2. 노인복지실무자가 인식하는 노인자살
    3. 노인자살과 Q방법론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1. Q-방법론의 정의와 적합성
    2. Q-방법론의 연구절차
Ⅳ. 연구결과
    1. Q-유형의 형성
    2. 노인자살 인식 유형별 특성 분석
Ⅴ. 결론 및 제안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고재욱(가톨릭관동대학교 사회복지학 교수) | Ko Jae-Ug (Professor the Graduate School in KwanDo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