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푸드아트심리상담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심리적 낙관성에 미치는 영향

Food Art Counseling Program Effects of Adolescent on Psychological Affectiv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468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초록

질풍노도의 시기인 청소년기에 심리적·정서적 안정을 위하여 푸드아트심리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심리적 낙관성을 향상시키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중학생 26명의 푸드아트심리상담 프로그램 참가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26명의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10회기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조사방법으로 는 심리적 낙관성의 척도지와 푸드아트심리상담 프로그램의 만족도 조사를 바탕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심리적 낙관성의 사전 평균점수는 3.50점(SD=0.76)이며 사후 평균점수는 4.06점(SD=0.56)으로 평 균점수가 0.56점 높아져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또한 푸드아트심리상담 프로그램의 만족도 조사도 10 점 만점 중 평균 9.4점으로 만족도도 높게 나타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음식재료를 가지고 프로그램을 진행함에 있어서 청소년들에게 심리적·정서적으로 쉽 게 다가갈 수 있어서 심리적 낙관성을 향상시키는데에 효과를 가져왔으며, 더 나아가 많은 청소년들에게 푸드아트심리상담 프로그램이 개입할 수 있도록 행정적,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하고자 한다.

During the period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bility, conducted a study to enhance psychological optimism by applying Food Art Counseling programs fo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bility. A group of 26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quiz program participated by 26 junior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 survey was conducted based on the survey of psychological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programs for psychological optimism and food art counseling programs. As a result, the average score of the psychological optimism was 3.50 points (SD=0.76) and the average score was 4.56 points (SD=0.560.6) and scored statistically. Also,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food art counseling program showed satisfaction with the satisfaction rating of 9.4. In addition, in this study, it is helpful for young adults to approach emotionally and emotionally with food ingredients to enhance psychological optimism, and to suggest that they need administrative and policy support programs for many young adults.

목차
Ⅰ. 서 론
Ⅱ.이론적 배경
    1.심리적 낙관성의 특성
    2. 푸드아트심리상담
Ⅲ. 연 구 방 법
    1. 연구기간 및 대상
    2. 연구방법
    3. 푸드아트심리상담 프로그램 활동
Ⅳ.연구결과
    1.분석결과
    2. 푸드아트심리상담 프로그램 실행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조임숙((재)국제평생교육개발원 전임교수, 서울한영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 | Cho Im Sook (International Lifelong Education Center, Candidate of the Graduate School in Seoul Hanyuo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