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자원봉사 참여 동기와 활동유효성 간의 관계에서 인정·보상 매개효과 - 자원봉사캠프 상담가 대상으로 -

The Effects of Recognition Compensation Media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tory Motivation of Volunteering Work and the Activity Effectiveness - Volunteering Camp Advisors with the target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472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700원
초록

본 연구는 자원봉사활동의 허브 기능을 하는 자원봉사캠프 상담가의 참여 동기가 활 동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 인정·보상에 대한 만족 수준이 이를 어떻게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여 궁극적으로 자원봉사캠프 상담가 활동 활성화를 위한 이론적·실 천적 함의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원봉사캠프 상담가의 참여 동기는 활동유효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매개변인인 인정·보상을 통해 활동유효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자원봉사캠프 상담가의 참여 동기는 활동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이 되 며,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인정·보상의 기능은 자원봉사활동의 동기유발 전략도구로 자원 봉사 만족도 및 지속성의 예측요인임을 밝히는 바이다. 이로써 본 연구는 자원봉사현장에서 준전문가로 활동하면서 자원봉사를 이끄는 자원 봉사캠프 상담가의 관리방안과 자원봉사활동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of volunteer camp counselors who serve as hubs of volunteer activities, verify how satisfaction level of recognition and compensation mediates it, and ultimately prese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can be seen that the motivation for volunteering camp counselors not only directly affects the validity of activities, but also indirectly affects the validity of activities through recognition and compensation as parameters. Therefore, the motivation for volunteering camp counselors to participate is a predictive factor that affects the validity of the activities, and the function of recognition and compensation for volunteer activities is a motivational strategic tool for volunteer activi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provided as a basic data for the management of volunteer camp counselors who lead volunteer work while working as quasi-specialists at volunteer sites and revitalizing volunteer activities.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연구 범위와 방법
Ⅱ. 이론적 배경
    1. 자원봉사캠프
    2. 자원봉사 참여 동기 유형
    3. 자원봉사 인정·보상
    4. 활동유효성
    5. 연구 변인들 간의 관계
Ⅲ. 연구 설계
    1. 연구 모형
    2. 연구대상자의 선정과 자료 수집
    3. 변인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 도구
    4. 자료 분석
Ⅳ. 연구 결과
    1. 자원봉사캠프 상담가의 참여 동기와 인정·보상, 활동유효성 간의 상관관계분석
    2. 자원봉사캠프 상담가의 참여 동기와 활동유효성 간의 관계에서 인정·보상 매개효과
Ⅴ. 결 론
    1. 요약
    2.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정종녀(경민대학교, 단국대평생교육원 외래교수, 사회복지학박사) | Jong-Nye Jung (Kyungmin University, Dankook University Countinuing Education Center Adjunct Profess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