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장애자녀 부모의 종교성과 가족건강성의 관계 - 기독교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arents of Disabled Children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Family health - Focusing on Christians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472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600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자녀의 부모 중 기독교인을 대상으로 장애자녀의 양육을 책임지는 부모가 겪는 다 양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독교인 부모의 종교성이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연구하는 것이다. 부 모의 종교 활동이 가족건강성 수준을 높여 장애자녀의 양육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여러 가지 어려움을 극복 하고 건강한 가족의 삶을 도모하여 행복한 가정을 이루도록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분석 방법에 따른 분석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적 종교성은 가족건강성의 하위요인인 가족탄력성에 정(+)의 영향을 직접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둘째, 공적종교성은 가족건강성의 하위요인인 상호존중과 수용에 정(+)의 영향을 직접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그동안 대부분의 경험적 연구에서 나타난 사적 종교성에 의한 영향관계 연구와는 완전히 다른 결과로 본 연구에서는 공적 종교성에 해당하는 종교의식 및 종교의례의 참여, 종교단체활동 및 자원봉 사활동 등의 외적 종교활동에 의해 종교적 내면의 신심(信心)이 증가하는 의식화를 나타낸 것으로 매우 의 미 있는 연구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장애자녀를 양육하는 부모의 공적 종교성에 의한 신앙심의 고취 는 건강한 가족의 요소인 가족탄력성과 상호존중 및 수용을 높여 줄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 서 공적종교성이 가족탄력성과 상호존중 및 수용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는 그동안 종교성의 하위요인으로 자신의 행동에 대한 신의 판단여부, 삶에서의 종교적 관여수준, 기도, 명상, 영적체험, 성경구절 외우기 등 의 내적종교 활동을 의미하는 사적종교성을 중심으로 한 영향관계 연구결과를 벗어난 새로운 가치를 시사한 것으로 볼 수 있고, 공적종교성을 중심으로 한 종교성의 연구영역을 발견한 것으로 앞으로의 종교성 연구의 확대와 연구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 여겨진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장애자녀를 둔 부모가 건강한 가정을 구축하는데 종교성의 중요성을 시사한 것으 로 볼 수 있다. 즉 가족관계에서 협력적 분위기를 조성하여 장애가족과 함께 생활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어 려운 문제를 상호존중하고 수용하고 협력하여 함께 해결해 나가면서 위기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가족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공적종교성에 의한 종교 활동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장애자녀의 부모가 자신이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종교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건강한 가족을 만 들기 위해 다양한 종교적 활동과 체험을 통해 내면의 긍정적 자아를 키울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ligious nature of Christian parents to family health in solving various problems faced by parents responsible for raising disabled children among parents of disabled childre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mprove the level of family health so that parents' religious activities can overcome various difficulties in raising disabled children and promote a healthy family life to create a happy family. The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is research analysis method are as follows. First, public religiousity has been shown to have a direct influence on family resilience, a sub-factor of family health. Second, public religiousity has been shown to have a direct influence of affection on mutual respect and acceptance, a sub-factor of family health. The above results ar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historical religious influences of most empirical studies, and this study is very meaningful in that religious beliefs increase due to external religious activities such as public religious ceremonies and religious ceremonies. The promotion of faith by the public religious nature of parents who raise children with disabilities can be expected to increase family resilience, mutual respect, and acceptance, which are elements of a healthy family. Therefore, the study that public religion affects family elasticity, mutual respect, and acceptance suggests a new value beyond influential religious studies, meaning inner religious activities such as divine judgment of one's behavior, level of religious involvement in life, prayer, meditation, spiritual experience, and Bible memorizati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can be seen as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religiousity for parents with disabled children to build healthy families. In other words, it shows the importance of religious activities by public religion in influencing family resilience to actively cope with crisis by creating a cooperative atmosphere in family relationships, accepting and cooperating with disabled families. Therefore, parents of disabled children should be able to develop their inner positive self through various religious activities and experience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religious activities that they perceive subjectively and to create a healthy family.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장애자녀의 부모
    2. 종교성
    3. 가족건강성
    4. 장애자녀 부모의 종교성과 가족건강성 간의 관계
Ⅲ. 연구 방법
    1. 연구 모형 및 가설
    2.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3. 측정도구
    4. 자료분석방법
    5. 신뢰도 및 타당도
Ⅳ. 분석결과
V. 결론 및 제언
    1. 논의
    2. 연구의 제한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조동기(한울지식재단 평생교육원 전임교수, 세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외래교수, 사회복지학 박사) | Dong-Gi Cho (Seoul Graduate School of Seoul Hanyou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