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개인의 역사를 재인식하는 수단으로서 아카이브의 가능성 연구 KCI 등재

A Study of the Possibility of Archives as a Means of Recognizing Individual Histor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494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미술이론과 현장 (The Journal of Art Theory & Practice)
한국미술이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rt Theories)
초록

본 논문은 동시대 미술에서 나타나는 아카이브의 형식을 통해 개인의 차원에서 역사를 반추할 수 있는지 살펴본다. 아카이브는 단순히 기록 보관소의 역할을 넘어서 사적인 기억을 재편하고 가상의 서사를 전개하는 데 두루 활용되고 있다. 또한 선형적인 시간성을 의도적 으로 흐트러뜨려 본래와 다른 맥락을 만들어내며 현재를 과거와 매개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그렇게 선별된 것들은 탈맥락화의 과정을 거쳐 임의적이고 가변적인 의미를 갖게 된다. 이러한 작업은 개인이 집단과 맺게 되는 관계에 질문을 던지고 흩어진 과거의 흔적을 재구성하여 비공식적인 역사로 다시 쓰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본인과 마르셀 뒤샹, 아크람 자타리의 작품을 사례로 분석하여 대안 서사의 개념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결국 이 논문은 수집과 배 열의 방법론을 통해 과거의 잔해를 발굴하고 새로운 형태로 복원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모색한다.

This paper examines whether it is possible to reflect on history individually through the archive format found in contemporary art. Archives go beyond the role of simple storage and are used to reorganize personal memories and develop virtual narratives. In addition, it intentionally disrupts linear temporality to create a different context from the original and has a structure that mediates the present with the past. Those selected in this way take on arbitrary and variable meanings through decontextualization. My works attempt to reconstruct scattered traces of the past and rewrite it as an unofficial history. To this end, I would like to examine the concept of alternative narrative by analyzing the works of myself and Marcel Duchamp, Akram Zaatari. Ultimately, this paper explores the possibility of excavating the remains of the past and restoring them in a new form through the methodology of collection and arrangement.

목차
Ⅰ. 서론
Ⅱ. 발견된 오브제와 아카이브의 연관성
Ⅲ. 폐기된 저장소에서 건져낸 유실물
Ⅳ. 기억을 나열하고 병치하는 방법론
Ⅴ. 과거를 발굴하여 현재와 매개하는 서사 구조
Ⅵ.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신정균(서울대학교) | Shin Jungkyun (Seoul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