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le-Genome Sequencing-based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Genetic Profile Analysis of Vibrio parahaemolyticus Isolated from Seafood in Korea
국내에서 V. parahaemolyticus로 인한 식중독 사고가 지 속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최근 국내 수산물 판매량 및 수산물 양식에 사용되는 항생제 판매량은 증가하는 추세 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 유통되는 수산물에서 분 리한 V. parahaemolyticus의 분포, 항생제 감수성, 유전적 특성 및 유전학적 통계를 조사하였다. 79건의 유통 수산 물로부터 47건(59.5%)에서 V. parahaemolyticus가 분리되 었다. 항생제 내성 양상의 경우, 총 47균주의 분리 균주에 서는 ampicillin에 2균주(4.3%)가 내성을 보였으며, 이외 균주는 모든 항생제에 대해 감수성을 보였다. 항생제 내 성 유전자의 경우, 모든 균주(100%)로부터 blaCARB family gene, tet(35), catC가 확인되었으며, 1균주(2.1%)에서는 fos 가 확인되었다. 병원성 유전자 여부의 경우, 모든 분리 균 주에서 tdh, trh 유전자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T3SS1은 모든 균주(100%), T3SS2는 1균주(2.1%)에서 확인되었다. MLST의 경우, 17균주로부터 15가지의 ST가 확인되었으 며, ST 658가 3균주, 이외 14가지 ST는 1균주씩 확인되 었다. 확인된 ST는 대부분 중국, 태국 등의 환경 분리주로 확인되었으며, ST 396, ST 3042는 중국 임상 분리주로부터 확인되었다. 이로써, 최근 국내에 수산물과 관련한 식중독, 유통량, 항생제 판매량 등의 추세에 따른 위험성에 V. parahaemolyticus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 료되며, 본 연구는 그에 대한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Vibrio parahaemolyticus is a major seafood-borne pathogen commonly detected in marine environments. In Korea, V. parahaemolyticus-induced foodborne illnesses account for 7.5% of bacterial pathogen-related food poisonings. Moreover, the amount of antimicrobial agents used in aquatic cultures is continuously increasing. In this study, we isolated V. parahaemolyticus from seafood samples and performe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s using the microbroth dilution method. Furthermore, using whole-genome sequencing, we identified antimicrobial resistance genes, virulence genes, and sequence types (STs). We could isolate V. parahaemolyticus from 47 (59.5%) of the 79 seafood samples we purchased from retail markets in Seoul and Chungcheong provinces.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s revealed that 2 and all of the 47 isolates were ampicillin-resistant (4.3%) and susceptible to all tested antimicrobial agents (100%), respectively. The genotype analysis revealed that all isolates carried beta-lactam-, tetracycline-, and chloramphenicol-associated antimicrobial resistance genes. However, we could detect fosfomycin resistance only in one isolate. Concerning the virulence genes, we detected T3SS1 and T3SS2-associated genes in all and one isolate, respectively. However, we could not detect the tdh and trh genes. Of the 47 isolates, 17 belonged to 15 different STs, including ST 658 with 3 isolates. The rest 30 isolates were identified as 25 new 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need for operating a continuous monitoring system to prevent foodborne illnesses and the spread of antimicrobial resistance genes in V. parahaemolytic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