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봉황문 인문보의 문양 분석과 색채 및 표현 기법 연구 KCI 등재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Palace Museum A Study on the Pattern Analysis and Color and Expression Techniques of Bonghwangmun -Inmunbo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543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800원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예술연구))
초록

봉황문 인문보는 조선시대 왕실에서 가례와 같은 중요한 행 사에 사용하기 위해 제작된 보자기로 창덕궁유물로 지정되어 국립고궁박물관에 14점이 소장되어 있다. 인문보引紋袱의 일종 인 봉황문 인문보는 보자기 중앙에 봉황문양이 그려져 있는 것 을 말한다. 인문보는 채색 물감을 이용하여 보자기 위에 다양 한 문양을 화려하게 그린 보자기이다. 봉황문 인문보 앞면에는 동물문양, 식물문양, 문자문양, 자연 현상문양, 보배문양이 복합적인 형태로 그려져 있다. 시문된 문 양에 담긴 복합적인 의미를 분석해본 결과 왕조의 연속성, 자 손 번창, 부귀영화, 무병장수 등을 담아 조선 왕실이 추구하는 이상향을 표출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봉황문 인문에 관련된 고 문헌을 살펴본 결과 왕실에서 사용 하는 인문보의 제작은 왕의 허가가 있어야 하는 엄격한 절차에 의해 진행되었다. 아쉬운 점은 왕실의 주요한 행사를 기록한 고 문헌에는 수백 장의 인문보가 제작되었다는 기록은 있으나 제작과정에 관련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봉황문 인문보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대부분 궁중 보자기를 연구한 학술논문이나 학위논문 속에 일부분으로 다뤄 지고 있다. 본 논문은 이들 선행연구와 궁중 복식 연구, 궁중 문양 등을 연구한 논문과 단행본,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제공한 봉황문 인문보의 관련 자료와 수장고에서 실물 친견 등을 참고 하여 분석하였다. 봉황문 인문보에 시문된 문양 분석은 발생 배경과 함께 각 문양에 담긴 의미를 분석하였고 색채 분석은 동양 전통 오방색 과 음양오행 원리에 따른 색채의 상징성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표현 기법 연구는 조선시대의 전통 채색 기법을 바탕으로 분석 하였다. 이를 통해 봉황문 인문보에 담긴 수준 높은 조선시대 의 예술적 가치를 증명하였다. 봉황문 인문보의 문양과 색채 및 표현 기법을 분석한 본 논 문이 현대 회화와 공예, 디자인, 건축 등의 다양한 예술 분야에 서 새롭게 재해석되어 활용하기를 기대한다.

The Bonghwangmun-Inmunbo is a cloth porcelain made by the royal family during the Joseon Dynasty for use in important events such as ceremonies. Currently, 14 pieces are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Palace Museum. Immunbo, a type of humanities newspaper, refers to the drawing of a phoenix pattern in the center of the cloth. Immunbo is a cloth porcelain in which various patterns are ornately painted on cloths by court painters using paint. On the surface of the Bonghwangmun-Inmunbo, animal patterns, plant patterns, text patterns, natural phenomenon patterns, and treasure patterns are drawn in a complex form. The meanings contained in the various patterns include the continuity of the dynasty, proliferation of progeny, wealth and prosperity, and longevity. By placing them in a combination of cloths, they strongly expressed the utopia pursued by the Joseon royal fami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old literature related to the Bonghwangmun-Inmunbo, the production of the Inmunbo used by the royal family was carried out by strict procedures that required permission from the king. Analyzing the literature that recorded major events of the Joseon Dynasty, there is a record that hundreds of humanities were produced, but the production process or use are not recorded. Currently, there is only one previous study of the Bonghwangmun-Inmunbo conducted alone. Most of them are treated as part of academic papers or dissertations that have studied royal cloth. This paper was analyzed by referring to these prior studies, court dress studies, and royal patterns, as well as related data and real personal views in the archives of the Bonghwangmun-Inmunbo provided by the National Palace Museum. Pattern analysis analyzed the meaning of each pattern along with the beauty of form, and color analysis was based on the symbolism contained in the colors contained in the traditional oriental five colors. The study of expression techniques was analyzed based on the coloring techniques popular in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is, it proved the high-quality artistic value of the Joseon Dynasty contained in the Bonghwangmun-Inmunbo. Another achievement obtained through this study is that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original form of traditional coloring. It was confirmed that the traditional color beauty and coloring techniques painted on the various patterns written in the Bonghwangmun-Inmunbo remained intact. It is expected that the pattern analysis, color, and expression techniques of the Bonghwangmun-Inmunbo studied in this paper will be helpful for the use of various fields such as modern painting, craft, and design.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봉황문 인문보의 유래와 의미
    1. 궁중 보자기의 종류 분석
    2. 봉황문 인문보의 유형 분석
Ⅲ. 봉황문 인문보 내용 분석
    1. 문양 분석
    2. 색채 분석
    3. 기법 분석
Ⅳ. 나오는 말
<참고문헌>

저자
  • 배정하(경기대학교 예술체육대학 한국화전공 조교수)) | Pai Jeong-ha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Korean Painting, College of Art and Sports, Kyonggi University, Republic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