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가족 건강성의 다차원 특성이 기혼직장여성의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Impact of Multi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Family Health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arried Working Wome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543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예술연구))
초록

급속한 사회 변화로 인한 저출산 및 경력단절, 일-가정 갈등, 가족해체 등의 복합적인 어려움에 직면한 기혼 직장여성은 소 외와 우울, 가족기능 약화, 삶의 질 악화로 강하게 표출되고 있 으며, 가족 건강성 회복을 통해 삶의 질 개선에 직접적인 영향 관계를 지적한 선행연구는 다수 발견할 수 있었으며, 가족 건 강성에 대한 다차원적 접근과 심리적 웰빙과의 관계를 밝히는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하였다. 이 연구는 가족 건강성이 기혼 직장여성의 심리적 웰빙에 미 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고 가족 건강성과 심리적 웰빙 증진 방안을 제시하여 가족 건강성 회복을 위한 다차원적 접근 방안 제시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수도권 지역의 기혼 직장여성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 결과, 가족 건강성 하위 요인인 가족 간의 의사소통 및 유대감, 가치 체계 공유, 문제해결 능력이 향상될수록 심리적 웰빙 수준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 건강성에 대한 하위 요인 의 다차원적 분석을 실시하였는 바, 의사소통, 유대감, 가치체 계 공유, 문제해결 능력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기 혼 직장여성의 심리적 웰빙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차원적 접근 의 필요성 제기 및 기초자료로의 활용이 가능하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정도 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 바, 연령, 학력, 종교, 가정 수 입, 취업 동기, 직장 유형 등의 기혼 직장여성에 개인별 맞춤형 의 지역 내 네트워크 강화와 사회교육 프로그램 개발, 참여 유 도를 위한 인센티브 제공 등의 확대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Rapid social changes have meant that married working women, who have faced complex difficulties such as low birthrates, career disruptions, family conflicts, and family dissolution, are increasingly experiencing alienation and depression, weakened family functions, and worsened quality of life. Many previous studies have been found that have pointed out a direct impact o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through family health recovery, and have cla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family health and psychological wellness. Empirical research was needed. As a result of an empirical analysis targeting married working women in the Tokyo metropolitan area,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psychological wellness improves as the family health subfactors such as communication and bonding between family members, shared value systems, and problem-solving ability improve. I understood and presented the analysis results. The suggested points are as follows. First, a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subfactors related to family health revealed that communication, bonding, shared value systems, and problem-solving abil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improve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arried working women. It is possible to raise the need for a multidimensional approach and use it as basic material.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ness depending on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results were adjusted based on age, educational background, religion, family income, same period of employment, type of workplace, etc. for married women in the workplace.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strengthen local networks, develop social education programs, and provide incentives to encourage particip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검토
    1. 가족건강성
    2. 심리적 웰빙
Ⅲ. 연구 설계
    1. 연구 모형
    2. 연구 가설
    3. 연구대상과 자료수집
    4. 측정도구
    5. 자료 분석
Ⅳ. 연구결과의 분석
    1. 조사대상자 특성
    2. 주요변수의 상관관계
    3. 가설검증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
  • 목미란(호서대학교 박사과정) | Mok Miran (Hoseo University)
  • 김재환(한세대학교 박사과정) | Kim Jaehwan (Hansei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