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5·18 광주항쟁기 윤상원과 시민군의 저항정신 고찰 : 공화주의적 애국심을 중심으로 KCI 등재

Examining the Spirit of Resistance of Yoon Sang-won and the Militia during the May 18 Gwangju Uprising : Focusing on Republican Patriotis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545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9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글의 목적은 5·18 광주민중항쟁기 시민군 내부에서 벌어졌던 치열 한 노선경쟁(‘무장해제 협상’ 대 ‘무장 협상’ 그리고 ‘무장해제 투항’ 대 ‘무장 최후항전’)에 초점을 맞춰 무장 협상과 무장 최후항전을 선택한 윤 상원과 시민군들의 저항정신을 ‘공화주의적 애국심’으로 설명하려는 데 있다. 즉, 본 글은 광주항쟁과정에서 윤상원이 시민군 노선을 취하게 되 는지에 대한 과정 그리고 시민군의 실체에 대해 사례를 분석하고, 그것 의 의미를 공화주의적 애국심과 연관시켜 살펴보고자 한다. 윤상원과 함 께 싸웠던 동료시민군이 ‘공동의 자유공간’을 지키기 위해 보여줬던 사 랑, 헌신, 연대를 공화주의적 애국심으로 분석하였다.

This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ocus on the fierce line competition (‘disarmament negotiations’ vs. ‘armed negotiations’ and ‘disarmament surrender’ vs. ‘armed last stand’) that took place within the militia during the May 18 Gwangju People’s Uprising, focusing on armed negotiations and the purpose is to explain the spirit of resistance of Yoon Sang-won and the citizen soldiers who chose an armed last stand as 'republican patriotism.' in other words, this article analyzes the process of how Yoon Sang-won took the militia line during the Gwangju Uprising and the reality of the militia, and examines its meaning in relation to republican patriotism. the love, dedication, and solidarity shown by fellow citizen soldiers who fought alongside Yoon Sang-won to protect the ‘common free space’ were analyzed as republican patriotism.

목차
Ⅰ. 서론: 운동권적 진영논리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Ⅱ. 선행연구와 시민군 노선을 선택한 배경에 대한 추론
    1. 광주항쟁에 대한 선행연구 비판
    2. 윤상원이 시민군 노선을 선택한 배경에 대한 추론
Ⅲ. 시민군 박남선과 윤상원의 결합과정과 저항활동
    1. 5월 21일 행적과 두 사람의 결합과정
    2. 5월 22일 행적과 두 사람의 결합과정
    3. 5월 23일 행적과 두 사람의 결합과정
    4. 5월 24일 행적과 두 사람의 결합과정
    5. 5월 25일 행적과 두 사람의 결합과정
Ⅳ. 시민군 김상집과 결합한 윤상원의 저항활동
    1. 윤상원의 저항활동 개요
    2. 총기반납 중단 및 재무장 설득 활동
    3. 윤상원 대변인, 외신기자 회견 활동
    4. 대학생 시민군과 예비군 시민군 조직활동
Ⅴ. 결론: 윤상원과 시민군의 저항정신과 공화주의적 애국심의유사성
<참고문헌>

저자
  • 채진원(경희대학교 공공거버넌스연구소) | Jin-Won Chae (Public Governance of Institute, Kyung Hee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