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취업준비 대학생의 취업불안과 구직효능감에 따른 군집유형 분류 및 취업준비행동의 차이 KCI 등재

Differences in Cluster Type and Job Preparation Behaviors by Job Anxiety and Job Search Efficacy Among College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546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취업 준비 대학생 37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취업 불안과 구직효능감 수준에 따른 군집유형 분류 및 취업준비행동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 석, 2단계 군집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군집을 분류하고 군집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 업불안과 구직효능감에 따른 군집은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군집1 은 ‘낮은불안-낮은효능감 집단’으로, 군집2는 ‘낮은 불안-높은 효능감 집 단’, 군집3은 ‘높은불안-중간효능감 집단’, 군집4는 ‘높은 불안-매우 낮 은 효능감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군집 간의 취업준비행동은 차이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2(낮은 불안-높은 효능감 집단)와 군집3 (높은불안-중간효능감 집단)은 군집1(낮은 불안-낮은 효능감 집단)와 군 집4(높은 불안-매우 낮은 효능감 집단)에 비해 취업준비행동을 더 적극 적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 취업지도 분야에서 군집유형별 진단을 통해 맞춤형 취업 지원 방안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 다. 끝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surveyed 379 college students preparing to enter the workforce and analyzed differences in cohort characteristics and job readiness behaviors based on levels of job anxiety and job search efficacy.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clusters were categorized into four clusters according to job anxiety and job search efficacy. Cluster1 was named 'low anxiety-low efficacy group', cluster2 was named 'low anxiety-high efficacy group', cluster3 was named 'high anxiety-medium efficacy group', and cluster4 was named 'high anxiety-very low efficacy group'. Second, the clusters differed in their job readiness behaviors. Cluster2 (low anxiety-high efficacy) and Cluster3 (high anxiety-moderate efficacy) were found to be more active in job search behaviors compared to Cluster1 (low anxiety-low efficacy) and Cluster4 (high anxiety-very low efficacy).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cluster-specific diagnosis in the field of college student employment guidance to provide customized employment support. Finally,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issue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취업불안
    2. 구직효능감
    3. 취업준비행동
    4. 취업불안, 구직효능감, 취업준비행동의 관계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주요 변인들의 기초통계와 상관관계
    2. 취업불안과 구직효능감에 따른 군집분석 결과
    3. 군집유형별 취업준비행동의 차이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오은주(단국대학교) | Eunjoo Oh (Dankook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