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노년의 성과 사랑을 위한 성 건강 프로그램 적용의 효과 KCI 등재

Effects of implementing a sexual health program for sex and love in later lif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556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9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노년의 성과 사랑을 이해하는 성 건강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성 건강의 양적 변화와 질적 변화 과정을 파악하였다. 프로그램 구성은 WHO 성 건강 프로그램 가이드와 PLISSIT 모델 을 참조하였고,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성 건강 영향 요인을 반영하여 구성하였다. 사전 조사를 통한 욕구 분석으로 감정수용, 정보제공, 지지집단으로 구분하였다. 개입 이후 스킨십과 성관 계 빈도가 높아졌고, 성적친밀감과 욕구 표현 및 배우자 이해의 감정적 성 건강이 향상되었 다. 여성 노인의 신체적, 감정적 성 건강과 성 지식 향상이 두드러졌다. 성교육을 통한 성 담 론 형성이 남성 노인에게는 생활의 즐거움으로, 여성 노인에게는 배우자에 대한 이해와 성 지 식 습득의 만족감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의 성인식은 폐쇄적이고 억압적이며, 성별, 배우자 유 무에 따른 차이가 컸다. 노년기 성 건강을 위해서는 성적친밀감 형성과 소통을 통한 사랑의 이해가 중요하게 나타났다. 향후 지속적인 성 건강 교육을 위해서는 표준화된 진단 도구와 욕 구 대응 및 효과성 제고를 위한 평가도구 개발이 보완되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성 건강 교 육의 대상과 프로그램 다양성을 위해 다학제간의 참여와 환류를 통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This study applied a sexual health programto understand sexuality and love in old age to identify the proces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nges in sexual health. The program structure was based on the WHO Sexual Health Program Guide and the PLISSIT model, and reflected the sexual health influencing factors found in previous studies. A pre-survey needs analysis was conducted to categorize the participants into emotional acceptance, information, and support groups. After the intervention, the frequency of touching and sexual intercourse increased, and the emotional sexual health of sexual intimacy, desire expression, and spousal understanding improved. Improvements in physical and emotional sexual health and sexual knowledge were more pronounced among female older adults. The formation of sexual discourse through sexuality education was expressed as enjoyment of life for male older adults and satisfaction with spousal understanding and sexual knowledge for female older adults. Older adults' coming-of-age rituals were closed and repressive,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and spousal status. Forming sexual intimacy and understanding love through communication were important for sexual health in later life. Th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diagnostic tools and evaluation tools to assess need and effectiveness remains a challenge for continued sexual health education. We recommend further research with multidisciplinary participation and feedback to diversify sexual health education targets and program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섹슈얼리티로서의 성과 사랑
    2. 성 건강 프로그램
Ⅲ.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변수와 측정 도구
    3. 분석 방법
    4. 프로그램의 구성
Ⅳ. 연구결과
    1. 일반적 특성
    2. 개입 이전 : 성 건강의 차이
    3. 개입 과정 : 욕구의 반영
    4. 개입 결과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유지혜(단국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조교수) | Ryu Jihy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