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생성형 AI 시대 평생교육의 패러다임 전환에 관한 연구 􍾢 배움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 KCI 등재

Research on Paradigm Shift in Lifelong Education in the Age of Generative AI 􍾢 From the perspective of Erudition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556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생성형 AI시대 부합하는 자기주도적 평생교육의 방안을 배움학적 관점으로 탐구하였다.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 환경 속에서 평생교육의 역할과 방향성을 재정립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평생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배움에 대해 정리하고, 미래 사회에 요구되는 배움 역량을 개발하여, 지속가능 한 학습 생태계를 구축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AI 시대 평생교육의 중요성 이 부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평생교육은 􍾧학습􍾨 패러다임에 머물러 있다. 특히, 평생교육은 주입식 학 습방식으로 인한 자기주도성이나 문제해결력 및 비판적 사고력이 부족하다고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는 평생교육의 패러다임을 평생배움의 관점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배움은 삶이며, 삶이 배움이 다. 배움은 자기주도적인 활동으로 내부적으로 우러나와 하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AI 시대 필요한 배 움역량으로 자기개조력, 자기치유력, 의식소통력을 강조하였다. 배움학적 관점은 주체를 학습자에 두고,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 과정을 주도적으로 이끌며, 실생활과 연결된 다양한 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 한다. 또한, 배움역량인 개조력, 치유력, 의식소통력을 통해 창의적 문제해결, 비판적 사고, 협업 능력을 강화할 수 있어, AI 시대의 빠른 변화에 적응하고 지속가능한 학습 생태계를 구축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lifelong education strategies aligned with the era of generative AI from the perspective of andragogy. Its objective was to contribute to the redefinition of the role and orientation of lifelong education within rapidly evolving technological landscapes. The study synthesized the paradigm of erudition, a novel framework in lifelong education, and employed it as foundational material pivotal for constructing a sustainable learning ecosystem by cultivating the essential skills for future societies. Despite the increasing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lifelong education in the AI era, it remained entrenched within the 'learning' paradigm. Criticisms were directed towards the lack of self-directedness,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attributable to the passive learning paradigm. Hence, this study advocated for a paradigmatic shift in lifelong education towards lifelong erudition. Erudition was portrayed as life, and life as erudition, with erudition emerging and evolving as an internally driven activity. Moreover, the study emphasized self-reformatting, self-healing, and inter-experience as indispensable capacities for the AI era. The eruditional perspective positioned the learner at the forefront, empowering them to actively steer their learning processes and develop diverse capacities intertwined with real-life experiences. By enhancing capacities such as reformatting, healing, and inter-experience, the study contributed to bolstering creative problem-solving, critical thinking, and collaborative skills, thereby facilitating adaptation to the rapid changes of the AI era and fostering the establishment of a sustainable learning ecosystem.

목차
Ⅰ. 서 론
Ⅱ. 생성형 AI 시대와 평생교육
Ⅲ. 평생배움 패러다임
Ⅳ. 생성형 AI 시대의 배움력
    1. 배움의 의미
    2. 배움력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효선(경기대학교 초빙교수) | Kim Hyos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