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능엄경』의 명상적 특징과 그 치유적 성격 KCI 등재

Meditational Properties of “Neungeomgyeong” and its Healing Characteristic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560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600원
불교문예연구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초록

본 연구는 『능엄경』의 명상적 특징과 그 치유적 성격을 명상 수행 구 조와 심리치유의 원리를 살펴보는 데 있다. 명상의 수행 구조로서 『능엄경』에서는 이종근본(二種根本)으로서 마음 의 존재를 밝히고 있다. 일체중생이 업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하고 명상 수 행자가 끝내 무상보리를 얻지 못하는 이유는 두 가지 근본을 제대로 알 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설한다. 두 가지 근본은 반연심과 보리열반원청정 체이다. 반문문자성(反聞聞自性) 수행은 『능엄경』에서 관세음보살이근원 통 수행방편의 핵심으로서 그 정묘한 이치를 드러내고 있지만, 『능엄경』 에서 수행의 본질로 강조하고 있는 것은 초발심의 두 가지 결정한 뜻의 정립 여부이다. 반문문자성(反聞聞自性)의 수행공부는 소리를 따라가지 말고 소리를 듣는 근본 마음자리인 문성(聞性)을 돌이켜 들으라는 것이 며, 단번에 여래장묘진여성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이다. 심리치유의 원리와 두려움 해소에 대해서는 고통의 원인으로서 오음마 장(五陰魔障)과 시무외(施無畏)의 치유의 함의를 살펴보는 데 있다. 오음 마장은 수행 중에 발생하는 망상의 경계를 구체적으로 밝혀 삿됨과 오류 를 방지함으로써, 불과(佛果)를 증득하는 데 장애가 없도록 이끌어주기 때문에 수행의 지침으로 활용하고 있다. 중생은 온갖 괴로움에 대해 두려워하고 걱정하기 때문에 포외라는 감 정을 낳는데, 포외가 있다는 것은 앞으로 생겨날 괴로움을 두려워하는 것 이다. 관세음보살의 괴로움의 구제는 결국 시무외의 보시로 드러난다. 『능엄경』이 제시하는 경설을 통하여, 명상 수행 구조와 심리치유의 원리 로서 자리하고 있음을 설명하였다.

If the practical asceticism of reaching the ultimate goal through meditation is meditational asceticism,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practical asceticism. In this perspectiv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editational properties of “Neungeomgyeong,” and its healing characteristics through meditation structure and principle of psychological healing. As the meditation structure, “Neungeomgyeong” states the existence of one’s mind as Ijonggeunbon (二種根本). The reason for the living to fail to escape from karma and fail to achieve incomparable enlightenment and wisdom is mainly due to failing to fully understand the two principles. These two principles are banyeonsim and boriyeolbancheongjeongche. The practice of banmunmunjaseong (反聞聞自性) is the core element in Avalokiteshvara igeunwontong practice in Neungeomgyeong, but despite its fine definition, Neungeomgyeong emphasizes the establishment of the two decisions made from the inception of enlightenment. The practice of banmunmunjaseong (反聞聞自性) emphasizes the principle of the listening, munseong (聞性), rather than following sounds, and it states that one can reach yeoraemyojinyeoseong. The principle of psychological healing and resolving of fear is in the studying of oeummajang (五陰魔障) and the entailment of healing of simuwe (施無畏). Oeummajang is utilized as the practice guide as it prevents sickness and error by clearly identifying the boundaries of delusions during practicing, and guides one to gain Buddhaphala (佛果) without hindrance. The reason for the obstruction of mara to occur depends on the mind of the individual in practice, therefore it allows one to respond to the obstruction of mara singlehandedly. One of the goals of simuwe healing is to overcome the fear and pain while identifying the virtue of faith and practicing. As the living fears and worries about various pains, it generates the feeling of powe, and having the feeling of powe means to fear the pain that will occur in the future. Salvation from pain by Avalokiteshvara is expressed by charitable acts of simuwe. The living falls victim to the pain and fear of life and death, and finds themsevles in anguish due to vain obsessions. The principle and method of healing capable of resolving the mental pain suffered by the modern people are presented in the structure and principle of meditation in Neungeomgyeong.

목차
I. 서론
II. 명상의 치유 구조
    1. 마음[心]의 존재론
    2. 진심의 치유 논리
III. 심리치유의 원리와 과제
    1. 고통의 원인으로서 마장(魔障)
    2. 마장의 해소과정: 마장에 대한 대치방편
    3. 시무외(施無畏)의 치유 과제
I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임병정 (명조)((사)아시아종교연구원 연구위원) | Lim Byung-Jung (Myeongjo) (Senior Researcher, Asia Research Center of Religions)
  • 조소현((사)아시아종교연구원 연구위원) | Jo So-Hyun (Senior Researcher, Asia Research Center of Relig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