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체관의 『천태사교의(天台四敎儀)』가 지니는 문화사적 의의 가 무엇인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고려 광종 때, 오월왕 전홍숙의 요청에 의해 중국에 건너간 체관은 법화 천태를 위시한 불교 전적을 오월에 전달하게 되며, 나계 의적 문하에서 수학하게 된다. 당시 전란으로 피폐해진 중국은 불교 전적을 구하기 어려웠으며, 따라서 고려, 일본 등 주변 국가에서 불교 전적을 수집하게 된다. 천태사상의 중요한 용어 중의 하나인 ‘동제사주’란 단어의 의미를 파 악하기 위해 시작된 불교 전적의 수집과 교학의 연찬은 동북아 불교문화 의 교류라는 차원을 넘어, 중국 천태종의 부흥과 교학의 풍요를 불러오게 된다. 나계 의적과 오월왕 전홍숙을 중심으로 불교문화는 폭 넓게 교류하 고 있었던 것이다. 체관의 『천태사교의』는 그의 사후 중국 천태종과 일본 천태종의 발전 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수 많은 주석서가 남아 있으며, 방대한 천태사상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는 개론서적 성격 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천태사교의』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동북아의 불교문화교류는 시공을 초월해 불교라는 공통의 문화를 확산하고 발전시 키는데 기여하는 것이다. 현대 사회는 몰개성화, 자아 정체성의 상실, 즉물주의 등이 특징이다. 천태의 수행법은 이러한 현대 사회의 단점을 보완하거나 교정해 줄 수 있다고 본다. 그런 점에서 『천태사교의』를 통해 전승되고 있는 천태종의 전통과 사상은 복잡한 현대 사회에 새로운 문화창조의 역량을 제공할 수 있는 교본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문화교류의 차원을 넘어 새롭게 조명 할 가치가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ultural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Master CheGwan's Tian-Tai Fourfold Teachings(『天台四敎儀』, Cheon-tae sa kyo ui). During the reign of King Gwangjong of Goryeo, Master CheGwan went to China at the request of Qianhongshu(錢弘俶), King of Owol. He passed on the Buddhist writings, including Cheon-tae and studied under the disciples of the Nagye Yiji(義寂). At the time, China, devastated by war, had difficulty obtaining Buddhist records, so Buddhist records were collected from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Goryeo and Japan.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word ‘Tong ChuSiZhu(同除四住)’ in Tian-tai thought, the collection of Buddhist records and the study of teachings revitalized the exchange of Buddhist culture in Northeast Asia. In addition, this brought about the revival of China's Tian-tai sect and the enrichment of its teachings. There was a wide exchange of Buddhist culture surrounding Nagye Yiji and King Qianhongshu. Tian-Tai Fourfold Teachings is understood to have had a tremendous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the Chinese and Japanese Tian-tai Order(天台宗) after his death. Numerous commentaries remain on that book, and it is a book that provides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vast body of Tian-tai thought. Tian-Tai Fourfold Teachings contributed to the exchange, spread, and development of the common culture of Buddhism in Northeast Asia. Modern society is characterized by deindividuation, loss of self-identity, and ‘instant materialism’. It is believed that Tian-tai's practice method can complement or correct these shortcomings of modern society. In that respect, Tian-Tai Fourfold Teachings is considered to be a textbook that can provide new cultural creatives for complex modern society through the traditions of Tian-Tai Order. This can be evaluated as worthy of new light beyond the level of cultural ex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