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마경』과 『승만경』에 나타난 여성관 비교 고찰 KCI 등재

A Comparative Analysis of Women's Views in "Vimalakīrtinirdeśha-Sūtra" and "Śrīmālādevi-Siṃhanāda-Sūtr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561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불교문예연구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초록

본 연구는 대승불교 경전인 『유마경』과 『승만경』에 나타난 여성관에 대하여 비교 고찰하고 여성에 대한 사상, 가치관과 위치를 탐구하고자 한 다. 『유마경』은 보살도의 실천이 대승불교 수행정신의 핵심을 강조하면서 세속의 적극적인 참여와 재가불교의 이상을 펼치고 중생의 평등적 깨달 음에 주목한다. 반면, 『승만경』은 여성의 깨달음의 가능성을 강조하며, 여래장(如來藏)사상을 담고 있다. 특히 승만 부인이 주인공으로 등장하여 여성의 적극적인 종교참여와 불교 내 여성의 역할과 여성도 남성과 동등 하게 깨달음을 얻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두 경전에서 나타난 대승불교에서의 여성의 역할과 위치가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았고, 여성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과 그 시각이 현대 사회에서 여성의 지위 향상에 기여하는 방법을 탐색해 보았다. 그들 경전이 여성에 대한 전통적인 관념을 타파하고 성의 차별 없는 모든 중생이 깨달음을 얻는 가능성을 근본적인 사상에 주목하게 되 었다.

This study aims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perspectives on
women in the Mahayana Buddhist scriptures, "Vimalakīrtinirdeśha-
sūtra" and "Śrīmālādevi-siṃhanāda-sūtra" , exploring
their views, values, and positions regarding women.
The "Vimalakīrtinirdeśha-sūtra" emphasizes the practice of
the Bodhisattva path as the core of Mahayana Buddhist practice,
advocating for active participation in secular society and the ideals
of lay Buddhism, while focusing on the equal enlightenment of all
sentient beings.
In contrast, the "Śrīmālādevi-siṃhanāda-sūtra" emphasizes
the possibility of women's enlightenment, incorporating the concept
of Tathagatagarbha (Buddha-nature). Particularly, Queen
Srimala appears as the protagonist, demonstrating women's active
participation in religion and showing that women can achieve enlightenment
on par with men.
This study examines how the roles and positions of women
are addressed within Mahayana Buddhism as presented in these
two scriptures. It also explores how the positive perspectives on
women in these texts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women's
status in modern society.
Through this comparative analysis, it is revealed that both the
"Vimalakīrtinirdeśha-sūtra" and "Śrīmālādevi-siṃhanāda-sūtra"
reflect fundamental teachings that transcend traditional notions
about women, opening up the possibility for all sentient beings,
regardless of gender, to attain enlightenment.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유마경』의 여성관
III. 『승만경』의 여성관
IV. 두 경전에 나타난 여성관의 동이(同異)점
    1. 두 경전의 상통점
    2. 두 경전의 차이점
V.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홍희선(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박사과정) | Hong Hee-Seon (Ph.D. Candidate, Dongbang Culture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