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문화 창업에 있어 예술 후원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 : 페기 구겐하임의 사례를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of the importance of arts patronage in cultural entrepreneurship : Focusing on the case of Peggy Guggenhei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561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한국과 세계 (Korea and World Review)
한국국회학회 (Korea Society of Assembly Studies)
초록

본 연구는 페기 구겐하임의 예술 후원 행위를 이해하고, 문화 창업의 관점에서 그녀의 활동이 서양 현대 예술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주된 목표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셰인(Shane)과 벤카타라만(Venkataraman) 의 문화 창업 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정성적 사례 분석 방법을 채택하였 으며, 디아나(Diana)와 레이첼(Rachel)의 울리 시그(Uli Sigg) 사례 분석 법을 참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페기 구겐하임이 1938년부터 1979년까 지 진행한 예술 후원 활동을 조사하여 그녀의 후원 전략과 수집 목표, 예술가 및 예술 학파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페 기 구겐하임은 20세기의 중요한 예술 후원자로서 그녀의 후원 활동은 서 양 현대예술의 발전 궤적을 변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문화 창업의 실천에 서 예술과 상업의 깊은 융합을 보여주었다. 그녀의 후원 전략과 수집 목 표는 추상 표현주의 등 예술 학파의 부상을 촉진하였을 뿐만 아니라 많 은 예술가들에게 중요한 발전 플랫폼을 제공해 주었다. 그녀의 성공 사 례는 예술 후원이 예술 창작에 대한 지원일뿐만 아니라 문화 혁신과 시 장 발전에 중요한 원동력임을 보여준다.

The study aims to provid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Peggy Guggenheim's art patronage and analyze its impact on Western modern art through the lens of cultural entrepreneurship. Adopting a qualitative case study approach based on Shane and Venkataraman's theoretical framework of cultural entrepreneurship and drawing on Diana and Rachel's approach to the case of Uli Sigg, this research delves into Peggy Guggenheim's art patronage practices between 1938 and 1979. The study concludes that Peggy Guggenheim, as a significant art patron of the 20th century, not only facilitated the rise of art genres such as Abstract Expressionism through her patronage activities, strategies, and collecting goals but also provided an essential platform for the development of many artists. Her successful cases show that art sponsorship is not only a support for art creation, but also an important driving force for cultural innovation and market development.

목차
I. 서론
II. 선행연구 및 연구 범위
    1. 문화 창업과 예술 후원
    2. 페기 구겐하임 관련 선행연구
    3. 연구방법
III. 상황적, 개인적 행위: 페기 구겐하임의 예술 후원
    1. 상황적 수준: 페기 구겐하임이 처한 사회적 배경
    2. 개인 수준
    3. 행동 방식 수준
    4. 해석과 핵심적 요소
IV.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수성룡(강원대학교) | Sui Chenglo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장경풍(강원대학교) | Zhang Qingfe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