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국 사용자의 AI 한국어 학습 앱 사용의도 연구 : 양퉈(羊驼) 한국어 앱 사용자를 대상으로 KCI 등재

Research on the usage intentions of Chinese users of AI Korean learning APP : Taking Yangtuo Korean APP users as an exampl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562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900원
한국과 세계 (Korea and World Review)
한국국회학회 (Korea Society of Assembly Studies)
초록

오늘날 교육 분야에서 인공지능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AI 한국어 학습 앱은 혁신적인 학습 도구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AI 한국어 학습 앱의 사용자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기술준비도(TRI), 기술수 용모델(TAM), 정보기술성공 모형을 기반으로 양적 데이터를 분석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한국어 학습 앱의 개발과 한국어 해외 교 육 연구를 위한 이론적 근거와 활용 방안을 제공하고 해외 한국어 교육 의 발전을 촉진하길 바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낙관성, 혁신성, 시스템 품질, 학습 내용,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이 사용자의 사용 태도와 사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반면에 불편함과 불확신은 사용자 의 지각된 용이성과 유용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사용자의 사용의도는 지각된 유용성으로부터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 이상의 연구 결론을 바탕으로 AI 한국어 학습 앱의 개선 대책 및 제언을 제시했다.

In the context of the rapid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the field of education, AI Korean learning APP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as an innovative learning tool. This study takes AI Korean learning APP users as the research object and uses the integrated Technology Readiness Index (TRI) model,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and D&M IS success model for quantitative data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optimism, innovativeness, system quality, learning content,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have a positive impact on Usage attitude and Usage intention. On the contrary, discomfort and insecurity have a negative impact on users'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It is noteworthy that usage intention is most significantly affected by perceived usefulnes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search conclusions, this paper attempts to propose improvement strategies and suggestions for the AI Korean app.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한국어 학습 앱에서 AI 기술의 활용
    2. TRI 모델
    3. 정보기술 성공 모형
    4. TAM 모형
III. 연구 방법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2. 설문 설계 및 조사 과정
IV. 실증분석
    1.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 신뢰도 분석
    3. 탐색적 요인분석
    4. 확인적 요인분석
    5. 상관분석
    6. 가설 검증 및 경로분석
V. 연구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왕천문(세종대학교) | Wang Qianwen (Sejo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