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I 학습 로봇의 친밀도 영향요인 분석 KCI 등재

Analyzing the Affinity Influence of AI Learning Robo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581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코로나 팬데믹으로 언택트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었으나, 교육 분야에서의 AI 도입률은 상대적으로 낮은 상태이 며, AI 학습 로봇을 활용한 학습자 간 친밀도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언택트 시대에 맞춰 스마트 학습 환경에서 AI 학습 로봇의 사용자 친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소셜 빅데 이터 분석으로 스마트 학습과 AI 학습 로봇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언급량의 추이를 파악하였 다. 연구 결과, 스마트 학습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부정적 인식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기술이 교육에 가져다주는 편리함과 접근성 향상 등 긍정적인 변화를 반영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부정 적 인식도 다소 강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스마트폰 사용이 학습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우려와 같은 기술 의존에 대한 부정적 측면을 반영한 결과로 해석된다. 이러한 결과는 스마트 학습과 AI 기술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사회적 우려와 기대가 혼재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스마트 학습 기술 중 특히 AI 학습 로봇의 효과적인 도입과 활용을 위해 서는 이러한 사회적 인식을 고려한 접근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학습 환경에서 AI 학습 로봇의 효과적인 도입과 활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교육 기술 개발에 있어 사용자 친밀도와 사회적 인식을 고려한 접근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The COVID-19 pandemic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remote education, yet the adoption rate of AI in the educational sector remains relatively low, and studies into learners’ familiarity with using AI learning robots are scarce. In response,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influencing users’ familiarity with AI learning robots in a smart learning environment tailored to the untact era. To this end, social big data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changes in public perception and the frequency of mentions of smart learning and AI learning robots. The results showed that positive perceptions of smart learning significantly outweigh negative ones, reflecting the convenience and improved accessibility that technology brings to education. However, there is also a considerable negative perception attached to smartphone use, which is interpreted as reflecting concerns that smartphones may disrupt learning and bring other negative aspects of technology dependence. These results indicate mixed social concerns and expectations regarding the educational use of smart learning and AI technologies. The effective introduction and use of AI learning robots, especially in smart learning environments, necessitate considering these social perceptions.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data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and use of AI learning robots in smart learning environments and suggests the need for approaches that primarily consider users’ familiarity and social perceptions i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technologies.

목차
1. 서론
2. 연구 목적
3. 연구방법 및 범위
    3.1. 선행연구 분석
    3.2. 빅데이터 분석
    3.3. 실험 분석 방법
4. 연구 결과
    4.1. 빅데이터 분석 결과
    4.2. 실험 분석 결과
5. 결론
REFERENCES
저자
  • 윤무현(국민대학교 디자인사이언스학과 박사과정) | Moo-Hyeon Yoon
  • 주다영(국민대학교 디자인사이언스학과 교수) | Da-Young Ju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