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의인화와 긍정적인 사용자 경험의 기제를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때 CASA (Computers Are Social Actors) 패러다임 접근법을 차용해 사회적 반응과 의인화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고 이 패러다임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했다. 본 연구는 대인관계에서 나타나는 깊은 자기개방의 친밀감 형성 및 의인화 효과를 사람과 대화형에이전트 의 관계에 적용해 사회적 반응과 의인화를 모두 유도했다. 그리고 친밀감으로 치환되는 사회적 연결감과 의인화의 인과관계를 밝히는 심리학 모델로 깊은 자기개방의 의인화 효과에 대한 친밀감의 매개효과를 탐색했다. 더 나아가 대인 특성이 적용된 에이전트 사용 경험이 긍정적으로 나타나는 데 친밀감과 의인화가 어떻게 관여하는지 탐구했다. 연구 결과, 자기개방 깊이가 깊을수록 에이전트가 더 친밀하고 사람답게 지각됐으며, 사용자 경험이 더 긍정적이었 다. 그리고 자기개방 깊이가 의인화와 긍정적인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친밀감이 완전히 매개하였다. 사람이 사회적 단서를 가지는 대상에 사회적으로 반응하기 때문에 대인 특성이 반영된 컴퓨터를 의인화하고 긍정적으로 평 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CASA 패러다임과 의인화 연구를 연결하며 인간 - 컴퓨터 상호작용에 대한 심리학적 설명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리고 의인화와 긍정적인 사용자 경험의 충분조건으로서 사회적 반응 즉, 친밀감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5,200원
        2.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베트남 소비자들이 인식하는 한류브랜드 지역성이 국가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과 국가 친밀감이 한국 기업, 한국 제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기존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한류의 관점에서 베트남 소비자가 인식하는 브랜드 지역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최근 한국기 업들은 한국대중문화를 중심으로 전 세계적으로 높은 인기를 얻고 있는 한류현상을 활용하여 한국 제품과 브랜드를 개발함으로서 한류브랜드를 구축하고 있다. 이에 한류지수가 높게 평가된 베트남 현지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류를 잘 반영하고 있는 한국 화장품을 대표적인 한류브랜드로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인터넷, 모바일 URL을 통한 응답 방법을 사용하여 베트남 현지 소비자 총 212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한 류브랜드 지역성은 국가 친밀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베트남 소비자들이 한국에 대해 긍정적 감정인 친밀감이 형성되면 한국 기업과 제품에 대한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소비자태도는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7,700원
        3.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면은 인생의 약 삼분의 일을 차지하는 중요한 활동이다. 그동안 많은 연구들을 통해 수면이 개인의 인지 및 정서에 차지하는 중요성이 밝혀졌지만, 수면이 타인과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알려진 바가 적다. 본 연구는 수면이 청소년의 또래 친밀감에 기여할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수면이 기억 응고화에 핵심적이라는 선행 연구들을 토대로 수면의 이러한 관계적 효용이 긍정적인 사회적 기억에 의해 설명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연구 결과, 예상대로 중학생 수면의 질은 이들이 또래 관계에서 느끼는 친밀감을 예측하였으며, 이는 부분적으 로 사회적 일화를 긍정적으로 기억하는데 기인하였다(연구 1). 이러한 현상은 고등학생에게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수면의 질이 높은 고등학생일수록 또래와 친밀한 관계를 맺는 경향이 있었으며, 이는 사회적 일화 기억의 긍정성 수준에 의해 부분적으로 설명되었다(연구 2). 인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 2에서 일주일 간격을 두고 기억 과제를 반복 실시한 결과, 잠을 잘 잔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자신의 사회적 일화를 더 긍정적으로 기억하는 모습을 보였다. 반면, 수면의 질은 비사회적 기억의 긍정성 변화와는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수면의 대인적 기능 및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4,600원
        4.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은 새로운 기술로 구현된 환경으로 그에 적합한 새로운 사용성 평가가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사용성 평가를 그대로 도입할 수 없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수반되어야 하고 심리적인 변인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기기적 측면의 사용성 평가만이 아니라 서비스 시나리오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나리오적 측면에서 사용성 요인을 분류하고 기기적 측면에서 심리적인 요인인 통제감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1에서 현존하는 사용성 요인을 유사성과 어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 따라 중 요성을 재분류 한 결과 10개의 그룹이 생성되었다. 연구 2에서는 구체적으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기기의 친밀감과 복잡성이 통제감의 환상을 유발시킬 수 있는지 실험해보았다. 그 결과, 기기의 친밀감과 복잡성이 통제감의 환상을 유발시키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4,800원
        5.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was tri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family unity and intimacy, the recognition about urban agriculture, and the preference of urban agricultural program on the member of urban agriculture experience program. The family cohesion was shown the increasing average significantly in participated group, but there were no difference in control group. It’s means that agricultural experiences affected on the family cohesion. The determination of recognition about urban agriculture, participated group had been appeared the significantly increasing value between before and after applied experience program. This result had shown the effect to recognition of urban agriculture program in joining group. The preference of urban garden program after program participated, building the kitchen garden program was chosen the best program and fellowed seeding, sowing of potato, herbal lecture with making herbal vinegar, harvesting of lotus leaf with cooking lotus leaf rice. Investigation of the urban agriculture program satisfaction after participated, participant were reported the effect of decreasing stress and increasing family unity, intimacy, and dialog. Also, participant were highly satisfied the garden soil condition and program.
        7.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의 갈등요인 최소화를 위해서 청소년 대상의 다문화 교육 필요성을 제기하려는 목적으로, 청소년의 다문화 교육경험과 사회적 친밀감이 다문화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서울 및 수도권에 재학 중인 비다문화가정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관관계 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친밀도와 다문화 교육경험은 다문화 수용성의 각 하위항목과 정적인 관계가 있었으며(다문화 개방성 제외: 부적), 사회적 친밀도와 다문화 교육경험이 다문화 관계형성능력에 유의한 수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사회적 친밀도와 다문화 교육경험은 다문화적 인식, 다문화 개방성, 다문화적 공감, 다문화 수용성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