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시각 정보 제시 여부에 따른 촉각 자극에 대한 정서 반응 비교 KCI 등재

Comparison between Affective Responses to Tactile Stimuli Based on the Presence of Visual Information Present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582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촉각과 정서에 관해 이루어진 선행 연구들에서는 어떤 촉각 자극이 특정 정서를 유발하는가에 초점을 맞춰 진행되 었다. 또한, 시각이 촉각 지각의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함에도 불구하고 촉각의 단일 양상에만 주목하여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촉각 자극을 활용하여 거칠기, 경도, 시각 차단 여부라는 세 가지 변인이 촉각 지각 에 따른 정서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자극은 일상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사물을 사용하였으 며, 거칠기 2조건(거친, 매끄러운), 경도 2조건(단단한, 부드러운)을 교차하여 ‘거친/단단한’, ‘거친/부드러운’, ‘매끄러 운/단단한’, ‘매끄러운/부드러운’이라는 4가지 조건에 맞게 선정하였다. 실험은 시각 차단 여부에 따라 두 세션으로 구분되었다. 참가자들은 촉각 자극을 보지 않으면서 만진 뒤에 평정하는 세션을 마치고, 촉각 자극을 보면서 만진 뒤에 평정하는 세션을 진행하였다. 반복측정 변량분석 결과, 보면서 자극을 만질 때 더 긍정적으로 느끼며, 보지 않으면서 자극을 만질 때 더 부정적으로 느낌을 확인하였다. 또한 매끄러운 자극과 부드러운 자극을 더 긍정적으로 느끼고 거친 자극을 더 부정적으로 느꼈으며, 이 경향이 보지 않고 만졌을 때 더 강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시각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와 제공되지 않는 경우 촉각 경험에 대한 정서 반응이 어떻게 다른지를 이해함으로써, 정서와 시각 정보 처리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는 시사점을 가진다.

Previous studies on texture and emotion have focused on identifying precisely which tactile stimuli trigger specific emotions. Despite the significant role of vision in tactile perception, research has so far only focused on the singular aspect of texture. In this study, we used tactile stimuli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ree variables― roughness, hardness, and visual blocking―on the affective responses to tactile perception. The experimental stimuli that can be encountered in daily life were selected based on the four conditions of “rough/hard,” “rough/soft,” “smooth/hard” and “smooth/soft” by crossing two roughness conditions (rough, smooth) and two hardness conditions (hard, soft). The experiment was divided into two session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visual blocking existed. Participants completed a session in which they evaluated a tactile stimulus after touching it without seeing it and then proceeded with a session in which they evaluated a stimulus after touching it with sight of it. The results of the repeated-measures ANOVA showed that individuals reported a more positive perception when touching stimuli with visual cues and more negative when touching stimuli without visual cues. Furthermore, the inclination to perceive smooth and soft stimuli more positively and rough stimuli more negatively was stronger when touching without visual cu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the interaction between emotion and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by elucidating how emotions are experienced differently in situations where visual information is provided and where it is not.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및 절차
    2.1. 연구참가자
    2.2. 실험자극
    2.3. 척도
    2.4. 연구절차
    2.5. 분석
3. 결과
    3.1. 실험 변인 조작 확인(manipulation check)
    3.2. 정서가와 각성가에 미치는 영향
4. 논의
REFERENCES
저자
  • 김지수(전북대학교 심리학과 학부) | Jisu Kim
  • 박채리(전북대학교 심리학과 석사과정) | Chaery Park
  • 김종완(전북대학교 심리학과 부교수) | Jongwan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