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연구들은 사회적 배제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엇갈린 결과를 보고했다. 일부 연구들은 사회 적 배제가 부정정서를 유발하고 친사회적 행동을 감소시킨다고 제안했으나 다른 연구들은 친사회적 동기와 행동의 증가를 보고했다. 이러한 상반된 결과는 친사회적 행동이 항상 관계회복과 사회적 재연결(social reconnection)로 이 어지지는 않기 때문일 것이다. 친사회적 행동은 소속감 획득의 주요 수단이지만 배제상태에서 관계회복을 기대할 수 없다면 친사회적 행동은 불필요할 것이다. 배제 혹은 소속의 이분법적 상태만을 규정한 기존 연구와 달리 본 연구 에서는 사회적 재연결 가능성이 존재하는 배제 위기 상황에서 친사회적 행동을 검증했다. 아울러 집단에 대한 기여 가능성을 보여주는 개인의 능력을 추가적인 독립변인으로 사용했다. 사회적 배제 위기와 참가자의 능력을 조작하기 위해 ‘조합원 되기’라는 시뮬레이션 게임을 실시했다. 참가자들은 인성검사로 지칭한 설문에 응답한 결과를 참고하 여 상호 예비투표를 실시했고, 득표수로 배제 위기를 조작했다. 이후 조합원 능력검사로 지칭한 지각검사 결과를 공개하여 능력수준을 조작했다. 실험 1, 2에서 모두 배제 위기가 높고 능력이 낮은 참가자들이 더 많은 기부금을 약정하는 친사회적 행동을 보였다. 이 결과들은 사회적 배제 위기 상황에서 재연결 가능성이 친사회적 행동을 설명 하는 핵심 변인임을 보여준다.
Past research reported mixed results on the effects of social exclusion on prosocial behavior. Whereas some
studies reported an increase in prosocial motivation and behavior, others proposed that social exclusion causes a
decrease in prosocial behavior along with negative reactions such as anger and aggression. These conflicting results
may have arisen because prosocial behavior does not in itself always produce social reconnection. That is, although
prosocial behavior is a major means of promoting social relationships, the excluded person does not need to act
prosocially to benefit others unless the behavior leads to the restoration of the relationship. Unlike past research
that assumed dichotomous situations of exclusion or belonging, the present research tested prosocial behavior in a
social exclusion risk situation where the possibility of reconnection exists. In addition, we used the ability to
potentially contribute to the group as another independent variable. We used a simulation game titled “Becoming
a Union Member” to manipulate each participant’s social exclusion risk and ability. Participants responded to a
simple survey named member personality test and gave preliminary votes to one another, and exclusion risk was
manipulated by the number of votes received. Later, ability was manipulated by disclosing perception test scores
in the named member ability test. In both Experiments 1 and 2, participants who scored high in terms of social
exclusion risk and low in the ability to potentially contribute showed prosocial behavior in stipulating larger
donation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probable social reconnection defined by exclusion risk and ability is the
key to explaining prosocial behavior following social exclu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