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생애주기를 고려한 지방 도시의 아동 돌봄서비스 접근성 분석: ‘돌봄 사막’ 탐색을 중심으로 KCI 등재

Analysis of Accessibility to Child Care Services in Local Cities Considering Life Cycle: Focusing on Exploring ‘Care Deser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645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한국지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한국지도학회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초록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아동 돌봄서비스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의 확대를 통해 사각지대를 해소하고자 노력해 왔지만, 공간적 관점은 부족하였다.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아동의 생애주기를 고려하여 돌봄서비스들의 공간적 접근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돌봄 사막과 같은 사각지대의 공간적 패턴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아동 돌봄서비스의 공간적 접근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이어 2SFCA를 이용해 생애주기에 따른 돌봄서비스의 공간적 접근성을 측정하고, 이를 종합해 돌봄서비스의 사각지대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경상북도의 시군을 사례로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돌봄 사각지대는 크게 거리와 공급의 부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두 경우 모두 중학생 돌봄시설 에 대하여 가장 접근성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든 시기에 있어서 도시지역이 농촌지역보다 접근성이 우수하였고, 읍・면 지역의 돌봄의 사각지대가 두드러졌다. 셋째, 접근성이 취약한 지역, 이른바 돌봄 사막은 영유아 시설에서 중학생시설에 이르기까지 공간적으로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생애주기를 고려하여 아동 돌봄서비스의 사각지대가 공간적 패턴을 이루고 있음을 파악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돌봄서비스 제공에 있어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comprehensive analysis on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care services, in relation to the life cycle of children, and also to identify the spatial pattern of blind spots, which can be conceptualized as ‘care deserts’. To this end, we first reviewed previous studies including theoretical discussions on the subject matter. Then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care services across different life stages is measured and analyzed by utilizing the Two-Step Floating Catchment Area (2SFCA) method. There are three important findings from the empirical analysis. First, the spatial accessibility to care services is found to be most limited during middle school years. Second, across all the life stages accessibility in urban areas is generally higher than that in rural areas. Third, care deserts are shown to exhibit somewhat consistent spatial patterns across all the life cycle stages. These findings are hopefully expected to offer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for the future improvement in the provisioning of care services.

목차
I. 연구배경 및 목적
II. 선행연구
    1. 아동 돌봄서비스 및 접근성
    2. 아동 돌봄서비스 접근성 분석 선행연구
III. 연구방법
    1. 연구 지역 및 데이터
    2. 돌봄서비스 접근성 분석 및 사각지대검토 방법
IV. 사례 분석 결과
    1. 경상북도 돌봄 현황
    2. 돌봄 사막 탐색 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조대헌(경북대학교 지리교육과 조교수) | Daeheon Cho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이소영(가톨릭관동대학교 지리교육과 조교수) | Soyoung Lee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