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외래 거북의 잠재서식지 분포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Potential Habitat Distribution of Invasive Turtles in South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645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한국지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한국지도학회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는 생태계교란생물로 지정된 네 종의 외래 거북(붉은귀거북 속, 리버쿠터, 중국줄무늬목거북, 플로리다붉은배거북) 에 대한 잠재서식지 분포를 분석하였다. 잠재서식지 예측에는 지형, 기후, 토지피복, 인간의 영향 등 16개의 환경변수와 MaxEnt 머신러닝 모델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출현 빈도가 높은 지역이 모든 종에서 유사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외래 거북의 서식지는 도시화 및 인간의 접근성이 용이한 지역과 연관성이 높았다. 반면, 강수량과 기온과 같은 자연적 요인의 영향은 상대적 으로 낮게 나타났다. 잠재서식지 분석 결과는 AUC 값이 0.913으로 높은 모의 효율을 보여주었다. 이는 외래 거북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주요 도로 주변을 포함한 도심 및 도시 주변 지역에 대한 모니터링과 관리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외래종으로 인한 생태계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전략 수립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potential habitat distribution of four invasive turtle species (Trachemys spp., Pseudemys concinna, Mauremys sinensis, and Pseudemys nelsoni) designated as invasive species. The potential habitats were predicted using 16 environmental variables, including topography, climate, land cover, and human impact, along with the MaxEnt machine learning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reas with high occurrence frequencies were similar across all species. The habitats of invasive turtles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urbanized areas and regions with high human accessibility. In contrast, the influence of natural factors such as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was relatively low. The potential habitat analysis demonstrated high simulation efficiency, with an AUC value of 0.913. The findings suggest that monitoring and management efforts should focus on urban and peri-urban areas, including regions near major roads, to effectively control the spread of invasive turtles. This research provides essential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strategies to mitigate the ecological impact of invasive species.

목차
I. 서론
II. 연구 자료 및 방법
    1. 연구 지역
    2. 연구 자료
    3.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1. 출현지점의 지리적 특성
    2. 격자 기반 전국 잠재서식지 분석 결과
IV. 토의 및 결론
참고문헌
[ 부록]
저자
  • 김소희(국립공주대학교 지리학과 석사과정) | Sohee Kim (Master Student, Department of Geography, Kongju National University)
  • 조윤주(국립공주대학교 지리학과 석사과정) | Yunju Cho (Master Student, Department of Geography, Kongju National University)
  • 박종철(국립공주대학교 지리학과 부교수) | Jongchul Park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Geography, Kongju National University)
  • 백혜준(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연구원) | Hae-jun Baek (Researcher, Conservation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 석민정(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연구원) | Minjeong Seok (Researcher, Conservation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 박영준(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선임연구원) | Youngjun Park (Senior Researcher, Conservation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