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여름철 고온현상이 사망자 증가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를 사례로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65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기후연구 (Journal of Climate Research)
건국대학교 기후연구소 (KU Climate Research Institute)
초록

본 연구에서는 여름철 고온현상의 지속기간이 길고 극심했던 1994년과 고온현상 발생일수가 가장 작았던 1993년을 비교하여 서울시의 여름철 고온현상이 사망자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여름철 고온현상이 극심했던 1994년 7월의 경우 일별 최고기온과 일별 사망자수 간의 변화 경향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최고기온의 최대값이 나타난 다음날 사망자수의 최대값이 나타났다. 여름철 고온현상이 극심했던 1994년의 경우 일 최고기온과 일별 사망자수 간에 r=0.548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고온현상 발생일수가 작았던 1993년의 경우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고온현상이 지속되는 동안 사망자의 사망원인을 분석한 결과 내분비ㆍ영양 및 대사 질환으로 인한 사망자수가 43.0%, 순환기계통의 질환으로 인한 사망자수가 30.5%, 호흡기계통 질환으로 인한 사망자수가 43.8% 증가하였다. 여름철 고온현상이 극심했던 1994년은 그 전해에 비하여 65세 이상의 노년층이 다른 연령층에 비하여, 또한 여성이 남성에 비하여 고온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 자료 및 방법 3. 고온현상에 따른 사망자수의 변화 4. 고온현상 발생 시 사망원인별 사망지수의 변화 5. 고온현상 발생 시 연령별, 성별 사망자수의 변화 6.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이경미
  • 윤혜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