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3

        1.
        202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uffins supplemented with 0%, 5%, 10%, 15%, and 20% roasted safflower seed powder (SSP) in order to assess its applicability as a functional ingredient in baked goods. As the SSP content increased, the pH of both the batter and the muffins significantly decreased, whereas the height, volume, and specific volume of the muffins increased. Moisture content and baking loss rate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Color analysis revealed that the L* and b* values decreased, whereas the a* values and total color difference (Δ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higher SSP levels. Texture profile analysis showed that the hardness, gumminess, chewiness, and resilience decreased as SSP increased, whereas springiness improved.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overall preference was highest for the control (7.30), followed by the SSP 15 group (5.77), thus indicating that excessive SSP addition negatively affected consumer acceptance due to a darker color and rougher texture. However, the SSP 15 formulation achieved a favorable balance between health functionality and sensory qual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up to 15% SSP can be effectively incorporated into muffins in order to improve their functional value without compromising product quality or consumer satisfaction.
        4,000원
        3.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has significantly enhanced virtual reality (VR) content. However, existing integrations of VR and AI technologies have largely focused on the isolated applications of each technology, limiting the potential for creating content that meets the original purposes of AI technologies. This paper proposes a fairy tale VR game that integrates AI technologies to provide personalized and immersive user experiences. Key innovations include the implementation of interactive non-playable characters using OpenAI's ChatGPT, dynamic storytelling based on user choices, and realistic hand gesture recognition through the Meta Quest 2 controller. Additionally the game employs advanced AI systems such as GPT-4 and DALL-E to generate customized sentences and images, enriching the interactivity and educational value of VR environments. Our study makes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literature by bridging the gap between traditional VR games and AI-driven interactivity, demonstrating how AI technologies can transform user engagement and immersion.
        4,000원
        4.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artially replacing wheat flour with roasted safflower seed powder (SSP) on brownie quality, using proportions of 0%, 5%, 10%, 15%, and 20%. The addition of SSP had no significant dose-dependent effect on pH. Although the highest moisture content was observed in SSP 20 brownies (8.48%),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samples. Brownie thickness increased proportionately with the amount of added SSP. Volume and density also increased with higher SSP content. Brightness (L), redness (a), and yellowness (b) values were all highest in SSP 20 brownies, indicating that SSP content affects brownie color. Hardness exhibited an increasing trend, with the control group values at 331.38±12.85 and SSP 20 at 432.70±39.84. Sensory evaluations revealed a highest overall preference for the control group, followed by the SSP 10 grou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addition of 10% SSP is appropriate for brownies.
        4,000원
        5.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후변화로 인해 국내에서의 기온, 강수량, 호우일수가 증가 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토양 답압과 높은 불투수면적 비율이 나타나는 도심지를 중심으로 정원과 공공녹지에 활용되는 식물 소재에 있어 내침수성이 중요한 특성으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 다. 그러나 내침수성 식물소재에 대한 대다수의 문헌은 재배경 험이나 각 종의 서식지 환경에 기반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실험 적 검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토양수분함량이 높은 서식지에서 기원한 골등골나물(Eupatorium lindleyanum DC.), 새등골나물(E. fortunei Turcz.), 좀개미취(Aster maackii Regel) 3개 종과 중간인 서식지에서 기원한 까실쑥부쟁이 (A. ageratoides Turcz.) 1개 종의 침수조건에 대한 생육반응 비교로 서식지 환경이 내침수성 평가의 유효한 지표인지 알아보 고자 하였다. 실험대상 종을 6주간 무처리(대조구), 5일 침수처리, 7일 침수처리한 결과, 골등골나물과 새등골나물은 대조구와 처리구간 생육반응에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아 높은 수준 의 내침수성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좀개미취는 생장반응이 처리구에서 대조구 대비 유의하게 감소하여 내침수성은 제한적 인 것으로 보였으나, 5일 침수처리구에서 광계 II의 최대양자효 율(Fv/Fm)이, 두 처리구 모두에서 지상부 대비 지하부의 비율 (R/S율)이 대조구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침수조건의 해 소 후 회복 가능성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까실쑥부쟁이는 처리 4 주차에 모든 처리구에서 100%의 고사율을 보여 내침수 성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결론적으로, 서식지 환경 은 내침수성과 관련이 있다 할 수 있었으나, 내침수성의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토양수분함량 외 다양한 환경요소들을 함께 고려해야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4,000원
        6.
        202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tense pulsed light (IPL), also known as high-intensity pulse light (HIPL), is an emerging non-thermal technology that uses light pulses of short duration, ranging from ultraviolet to infrared wavelengths, for microbial inactivatio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terilizatio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in apple juice using IPL and mild heat. As the light intensity and treatment temperature increased, S. cerevisiae showed higher inactivation levels. When treated at 600 V and 50 °C for 10 min, clear and cloudy juices showed reductions of 3.95 log and 3.58 log, respectively. In terms of quality changes in apple juice due to pulsed light treatment, Brix and pH showed no change or a slight increase as light intensity, treatment temperature, and treatment time increased. Titratable acidity showed almost no change or a slight decrease. Color values showed a tendency for L and b values to decrease and a value to increase as light intensity, treatment temperature, and treatment time increased. Pulsed-light technology appears to be effective in sterilizing both clear and cloudy juices when combined with appropriate temperatures.
        4,000원
        7.
        202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activation effect of intense pulsed light (IPL) on various packaging films. The UV-C transmittance irradiance varied depending on the packaging materials, with the control group having an irradiance of 3.959 W/m2. For the thinnest layer of 30 mm, polypropylene (PP) had an irradiance of 3.258 W/m2, polyethylene (PE) had an irradiance of 3.193 W/ m2, and oriented polypropylene (OPP) had an irradiance of 3.200 W/m2. In contras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exhibited a significantly lower irradiance of only 0.065 W/m2 for its thinnest film thickness of 100 mm.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packaging materials was similar, with values of 91.3%, 89.7%, and 89.5% for PP, PE, and OPP, respectively. In contrast, PET exhibited a significantly lower light transmittance of 1.8% compared to the other packaging materials. These findings ha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food packaging industry. According to the packaging film material, the sterilization effects showed that the E. coli sterilization effect of PP was the highest, followed by PE and OPP, which were similarly effective. At the same time, PET exhibited the lowest sterilization effect. For PP film with a thickness of 30 mm, a 6.2 log reduction in the E. coli population was observed after 20 s of IPL treatment. Ultimately, inactivation was achieved after 60 seconds. Both PE and OPP films, which had a thickness of 30 mm, showed a 5.9 log reduction in E. coli after 30 s of IPL treatment, followed by complete inactivation after 60 s. The inactivation rate for PP, PE, and OPP films showed minimal variation regardless of thickness, although it gradually decreased with increasing thickness. For PET, achieving a 1 log reduction in E. coli required 180 s of IPL treatment at 100 mm thickness and 210 s at 120 mm thickness, indicating the influence of film thickness on inactivation rate. Even after 300 s of IPL treatment, the inactivation effect for PET remained around 1.5 log, the lowest among all packaging film materials.
        4,000원
        8.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한·중·일 고전 문학 속에 등장하는 음식을 만드는 여성들의 모습을 살 펴보고자 하였다. 여성이 음식을 만드는 행위는 사랑과 정성의 실천이자, 누군가를 치유하는 수단이 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여성들의 음식 만드는 행위는 신을 감동하게 하여 복을 받거나 기적을 이루는 통로가 되기도 하였다. 한편 여성이 어떤 음식을 만들고 먹는가에 따라 자신의 전통적 신분과 사회적 지위가 드러나기도 하였 으며, 일부 낭만과 운치를 아는 여성들은 음식을 만드는 행위를 자연과 조화를 이루 는 예술, 새로운 창조의 경지로까지 승화시키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봉건적 가부장 사회에서 여성이 음식을 만드는 행위는 단순히 음식을 만든다는 것을 넘어 현모양처 의 기준이었고, 여성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척도가 되거나, 여성존재의 이유가 되기도 하였다. 이처럼 한·중·일 고전문학 작품 속에서 여성들이 만든 음식은 사랑하는 가족 을 먹여 살리고, 공동체와 사회를 키워냈으며, 자신을 치유하기도 하며, 죽은 이에게 는 최고의 봉양이며, 신에게 헌신으로 바치는 고귀한 제물이었다. 인간은 누구나 이 세상에 태어나서 엄마의 가슴에 안겨 먹는 젖으로부터, 사후 귀신이 되어 먹는 제사 음식에 이르는 기나긴 인생의 여정을 어머니, 아내, 그리고 딸과 며느리가 만든 음식 을 먹으며, 그녀들의 손을 잡고 함께 걸어갔던 것이었다.
        5,800원
        9.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국내외 아동의 자기애와 관련된 변인들을 연구대상으로 메 타 분석을 통해 효과크기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1년 까지의 국내외 학술지 및 학위논문 총 202편을 메타 분석하였다. 자기애 의 표현형을 3가지(건강한, 웅대한, 취약한)로 분류하고, 핵심 특성 변인 군(부적응양육/대상관계, 취약한 자기조절 실패 변인군)과 주변 특성 변 인군(기질, 성격, 부적응적, 적응 변인군)으로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국 내외에서 모든 자기애와 공통적인 상관 방향을 나타내고 있는 것은 특권 의식과 적대성이며, 이는 자기애의 공통 핵심 특성으로 나타났다. 본 연 구는 국내외 아동의 자기애 관련 변인간의 관련성을 통합하고 종합적인 결론을 도출하여 자기애 형성에 중요한 시기인 아동이 건강한 자기애 발 달의 경로를 자기애 표현형을 통해 접근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6,400원
        10.
        202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ried apple jeonggwa, a traditional Korean dessert, was made using various apple varieties, such as Jonathan, Fuji, and Hongro. After making the dried apple jeonggwa, the phys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the dessert made using different apple varieties were compared. The apple varieties had no differences in moisture content, weight loss, or sugar content. Chromacity differences were observed depending on the varieties, but E was small. Hardness was highest in Jonathan, while resilience was highest in Fuji,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ardness. In the sensory evaluation, appearance, color, sweetness, hardness, chew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highest in Jonathan, while there was no substantial difference among the varieties in terms of flavor, sourness, or adhesiveness.
        4,000원
        14.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정원 트렌드를 분석하기 위해 국내 활동 디자이 너를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조성 경력, 디자인 양식, 식재 이 용성, 정원 소재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최근 5년 활동 경력 보유 디자이너는 연 평균 1~4개소의 정원을 조성하며, 주로 공모전 및 초청 전시와 기업 및 공공기관 정원 조성에 참여 하고 있다. 정원 조성 시, 주변 생태, 경관 및 식재의 조화를 고려하여 주로 비정형식 디자인을 선호한다. 정원 내부 설치 구조물 보다는 식재 활용성이 약 74%, 교목 및 관목보다는 초본류 식재율이 약 39~55% 더 높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국 내 디자이너는 정원 내 교목, 관목, 초본류의 식재 비율을 평 균 2:5:9로 설정하며 저관리성 소재인 사초 및 양치류의 선 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재 밀도의 경우, 정원 이용 목적 및 디자인에 따라 상이하지만 100m2 기준 평균 11~40 종을 활용하여 약 1,000~3,000본/주를 식재하는 것으로 조 사되었다.
        4,000원
        15.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한·중·일 고전문학 속에 울려 퍼졌던 여성의 노래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하 였다. 가부장 사회 속에서 언어가 통제된 무성(無聲)의 삶을 살았던 삼국 여성들이었 지만 규제의 빗장이 다소 느슨해지는 예술과 문학의 세계에서는 때로는 고요히, 때 로는 목청껏 자신들의 삶을 노래함으로써 유성(有聲)의 무늬(紋)를 남겨놓았다. 비록 가부장 사회가 여성들의 노래를 구슬픈 애환으로 치부하거나, 때로는 부정적으로 그 리는 측면도 있었으나, 여성들은 노래를 통하여 억눌려 있던 자신의 감정과 의지, 더 불어 감추어져 있던 욕망마저 ‘표출(表出)’하였다. 그리고 노래는 여성자신을 드러내 고, 사랑하는 임을 만나 결연(結緣)하게 되는 ‘매개(媒介)’가 되기도 하였다. 한편 일 부다처제의 힘든 삶 속에서 노래로 ‘감화(感化)’되기도 하였고, 나아가 치유제로서 여 성들의 상처들이 봉합되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온몸과 마음을 다해 부르는 종교적 ‘초월(超越)’의 노래는 찢긴 현세의 삶에 기적을 가져다주었고, 극락왕생이라는 소원마저 가능하게 하였다
        6,100원
        16.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韓·中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악녀들의 연대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당시 악녀들은 가부장제에 반기를 들고 ‘현모양처’, ‘열녀’라는 포장 속에 가려진 자 신들의 ‘음욕’, ‘지위욕’, ‘독점욕’, ‘물욕’ 등을 가감 없이 드러낸 존재들이었다. 그리하 여 ‘악녀’로 규정된 여성들은 자신들의 목적 달성을 위한 유일한 대안으로 서로간의 연대(連帶)를 선택하였고, 그 과정에서도 일시적인 단순 가담형도 있었지만, 일부 여 성들은 연대를 통하여 내재한 악이 증폭·확장되어 살인 등의 중범죄도 서슴지 않는 진정한 악녀로 재탄생하기도 하였다. 그 결말에서도 신분제의 한계로 일부 정처, 신 분이 고귀한 여성들에는 처절한 반성을 통한 개과천선으로 용서가 주어지기도 하였 지만, 가부장 사회는 대부분의 연대를 용납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더욱 혹독한 ‘가 중처벌(加重處罰)’의 형틀을 덧씌우며 강력하고 처참한 결말로 응징하고 있었다. 이 는 사회 구조적으로 악녀들을 생산할 수밖에 없었던 남성 중심의 가부장 사회, 신분 사회의 수많은 부산물(副産物)을 도외시하고, 오로지 여성들에만 순종과 희생을 강요 한 비극의 결과였다.
        5,800원
        17.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현대정원의 조성 디자인 경향성을 확인하고자 우수 경 관 정원 80개소 대상으로 적용 양식 및 정원 식물을 조사하였 다. 조사 대상 80개소 정원 중 53.7%는 서울 및 수도권, 46.3%는 그 외 지역에 소재하고 있다. 또한, 관리 유형에 따 라 공동 정원, 상업시설 정원, 개인 정원으로 구분 되었으며, 각 62.5%, 21.3%, 16.2%로 나타났다. 19~20세기 해외 정원 사조에 따라 조성 양식은 12유형(정형식, 비정형식, 정형 및 비정형 복합식, 건축식, 자연, 신풍경, 뉴저먼 스타일, 모더니 즘, 프레리 스타일, 뉴웨이브 스타일, 낭만주의, 예술작품 정 원)으로 분류되었다. 우리나라 현대 정원은 단일 및 복합 양식 활용이 각 55.0%와 45.0%로 유사하였다. 주로 정형 및 비정 형 복합식 정원이 활용되는 반면, 정형 및 비정형 복합식 정원 대비 낭만주의, 모더니즘, 프레리 및 뉴웨이브 스타일 이용 빈 도는 0.02~0.06배 수준이었다. 조성 양식 활용에 따라 이용 되는 식물 소재 유형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특정 디자인에 서 식재 빈도가 높은 분류군을 확인했다.
        4,600원
        18.
        202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반려견 양육활동에 따른 외로움감소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기 위하여 수도권에 있는 20대에서 60대에 이르기 까지 반려동물 양육활동을 하고 있 는 29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반려인의 외로움 감 소 및 삶의 행복감과 반려견에 대한 애착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 연령, 학력, 결혼유무, 종교인수 및, 동거인 수에 따라 외로움 감소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행복감과 만족도는 성별과 결혼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 이를 나타냈고, 연령, 학력, 종교유무 및 동거인 수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반 려견에 대한 애착과 양육활동의 긍정적인 마인드는 성별에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하 지만 연령, 학력, 결혼여부, 종교유무 및 동거인 수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려견을 양육하는 반려인들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측면은 다양한 반려인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반려견 양육시 고려해야 할 사례는 예비 반려인을 위해 정보가 제공되어 반 려견 양육활동에 도움이 되길 기대해 본다.
        4,000원
        20.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계절에 따른 정원의 경관 변화 특성을 알아보고자, 우수 정 원 4개소를 대상으로 계절별 식재 특성과 색채 변화를 분석하 였다. 대상 정원에서 계절별로 조사된 식재 종수 합은 346분 류군이었고, 교목:관목:초본의 식재 백분율(%)은 8:21:71로 나 타났다. 초본은 봄을 기준으로 여름과 가을에 각각 6%와 15% 증가하였다. 관목은 봄에서 가을까지 계절 변화에 따라 64-100% 증가하였다. 계절에 따라 정원의 포인트 식물이 달라 졌으나, 꽃이 만발하는 초본과 관목으로 나타났다. 색채 분석 결과, 정원의 주조색은 식물 생육이 왕성한 봄과 여름에는 녹 색에서 짙은 녹색으로 나타났고, 가을에는 갈색으로 확인되었 다. 강조색은 계절에 따라 분명하게 달라졌으며, 주로 계절별 특징적인 화색이나 잎무늬로 결정되었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