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nalysis of Modern Domestic Gardens in Korea according to Overseas Literary Design Trends KCI 등재

해외 사조에 따른 국내 조성 현대정원 디자인 분석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037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국내 현대정원의 조성 디자인 경향성을 확인하고자 우수 경 관 정원 80개소 대상으로 적용 양식 및 정원 식물을 조사하였 다. 조사 대상 80개소 정원 중 53.7%는 서울 및 수도권, 46.3%는 그 외 지역에 소재하고 있다. 또한, 관리 유형에 따 라 공동 정원, 상업시설 정원, 개인 정원으로 구분 되었으며, 각 62.5%, 21.3%, 16.2%로 나타났다. 19~20세기 해외 정원 사조에 따라 조성 양식은 12유형(정형식, 비정형식, 정형 및 비정형 복합식, 건축식, 자연, 신풍경, 뉴저먼 스타일, 모더니 즘, 프레리 스타일, 뉴웨이브 스타일, 낭만주의, 예술작품 정 원)으로 분류되었다. 우리나라 현대 정원은 단일 및 복합 양식 활용이 각 55.0%와 45.0%로 유사하였다. 주로 정형 및 비정 형 복합식 정원이 활용되는 반면, 정형 및 비정형 복합식 정원 대비 낭만주의, 모더니즘, 프레리 및 뉴웨이브 스타일 이용 빈 도는 0.02~0.06배 수준이었다. 조성 양식 활용에 따라 이용 되는 식물 소재 유형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특정 디자인에 서 식재 빈도가 높은 분류군을 확인했다.

To analyze the design trend of modern domestic gardens, we investigated the applied garden styles and plants with 80 cases. Of the 80 garden cases, 53.7% were located in Seoul and 46.3% in other regions. The gardens have been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types based on management styles: public, 62.5%; commercial, 21.3%; and private, 16.2%. The garden design was classified into 12 styles (structured garden, unstructured garden, combination of structured and unstructured garden, architectural garden, nature garden, new landscape garden, new German garden, modernism garden, prairie garden, new wave garden, romanticism garden, and art garden) according to literary trend in overseas throughout 19th and 20th century. The rate of popularity of single-style and complex-style designs of modern domestic gardens was 55.0% and 45.0%, respectively. The rate of application of combined types of structured and unstructured styles was higher than the others such as modernism, prairie, new wave, and romanticism with only 0.02% – 0.06% prevalence. There was no difference in garden plant types in different design styles, but it had a higher planting frequency with species and cultivars.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조사 대상 정원
    정원조성 디자인 기법
    식재 분석
결과 및 고찰
    국내 정원 이용 현황
    해외 정원 사조에 따른 디자인 기법
    국내 현대정원 조성 디자인 분석
초 록
사 사
References
저자
  • Je Yeon Yeon(Natur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University of Seoul, Seoul 02504, Korea) | 연제연 (서울시립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 Yeong Chan Shin(Department of Environmental Horticulture, University of Seoul, Seoul 02504, Korea) | 신영찬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Min Ji Kim(Department of Environmental Horticulture, University of Seoul, Seoul 02504, Korea) | 김민지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Bo-kyeong Kang(Department of Environmental Horticulture, University of Seoul, Seoul 02504, Korea) | 강보경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Yuri Lee(Department of Environmental Horticulture, University of Seoul, Seoul 02504, Korea) | 이유리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Haram Yang(Department of Environmental Horticulture, University of Seoul, Seoul 02504, Korea) | 양하람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Kyung Mi Lee(Garden and Plant Resources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11686, Korea) | 이경미 (국립수목원)
  • Wan Soon Kim(Natur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University of Seoul, Seoul 02504, Korea,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orticulture, University of Seoul, Seoul 02504, Korea) | 김완순 (서울시립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