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韓・中・日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여성과 노래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318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中國學 (중국학)
대한중국학회 (Korean Association For Chinese Studies)
초록

본고는 한·중·일 고전문학 속에 울려 퍼졌던 여성의 노래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하 였다. 가부장 사회 속에서 언어가 통제된 무성(無聲)의 삶을 살았던 삼국 여성들이었 지만 규제의 빗장이 다소 느슨해지는 예술과 문학의 세계에서는 때로는 고요히, 때 로는 목청껏 자신들의 삶을 노래함으로써 유성(有聲)의 무늬(紋)를 남겨놓았다. 비록 가부장 사회가 여성들의 노래를 구슬픈 애환으로 치부하거나, 때로는 부정적으로 그 리는 측면도 있었으나, 여성들은 노래를 통하여 억눌려 있던 자신의 감정과 의지, 더 불어 감추어져 있던 욕망마저 ‘표출(表出)’하였다. 그리고 노래는 여성자신을 드러내 고, 사랑하는 임을 만나 결연(結緣)하게 되는 ‘매개(媒介)’가 되기도 하였다. 한편 일 부다처제의 힘든 삶 속에서 노래로 ‘감화(感化)’되기도 하였고, 나아가 치유제로서 여 성들의 상처들이 봉합되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온몸과 마음을 다해 부르는 종교적 ‘초월(超越)’의 노래는 찢긴 현세의 삶에 기적을 가져다주었고, 극락왕생이라는 소원마저 가능하게 하였다

This paper delves into songs of women in the ancient Korean, Chinese and Japanese literature. Their lives under patriarchy made them voiceless. Yet, they left their traces in history in the world of literature where restrictions were gradually being removed. They sang songs about their lives sometimes serenely and sometimes loudly. Though patriarchal societies regarded these songs as expressions of grief and despair and portrayed them in a negative light, women courageously showed their repressed emotions, strong will and hidden desires through their songs. These songs functioned as ways of revealing their identities and bridges that connected the women with their loved ones. On the other hand, these songs consoled the difficult lives of women under polygamy and healed their emotional wounds. Last but not least, songs these women sung about religious transcendence with all their heart and soul brought miracles to their anguished present lives. Ultimately, their efforts were paid off as they realized their dreams of enjoying endless bliss and eternity in paradise.

목차
1. 들어가며
2. 한중일 고전문학 속 여성 서사로서의 노래
    1) 표출(表出)로서의 노래
    2) 매개(媒介)로서의 노래
    3) 감화(感化)로서의 노래
    4) 초월(超越)로서의 노래
3. 나가며
저자
  • 이경미(동서대학교 중국어학과 부교수) | Lee Kyung-Mi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