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1

        1.
        202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W. B. 예이츠가 민주주의적 시인이었던 월트 휘트먼에게서 영향을 받아 출발했음에도 불구하고, 후기에는 권위주의에 이끌리는 복잡한 사상적 변 화를 겪었음을 고찰한다. 예이츠는 초기에 휘트먼이 제시한 ‘민중과 함께하는 시인의 이상’을 받아들였지만, 시간이 흐르며 대중 민주주의에 환멸을 느끼고 혼란과 문화적 수준 저하를 초래한다고 판단했다. 그는 엘리트주의적인 미학과 신비주의적 역사관을 통해 점차 권위와 질서를 옹호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이 연구는 아일랜드 독립 등 당시 역사적 상황과 함께 두 시인의 주요 작품을 면밀히 분석하고, 민주주의와 권위주 의 사이에서 갈등하는 현대 시인의 역할과 그 미학적 긴장을 조명하고자 한다.
        5,700원
        2.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송대 시가에서 음식은 단순한 생리적 요구를 넘어 문화적 품격과 미학적 가치를 표현하는 중요한 요소로 등장한다. 특히 고급 양 품종인 ‘와사세륵’은 송대 문인들에 게 미식의 품격을 상징하는 식재료로 자리 잡았다. 본 연구는 ‘와사세륵’을 통해 송 대 문인들이 음식과 미각을 문화적, 사회적 의미로 어떻게 활용했는지, 그리고 이를 문학적으로 어떻게 구현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5,800원
        3.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중국 고전시학의 시안론에 등장하는 실자, 허자 개념에서 출발했다. 많 은 학자들은 이를 현대한어의 실사, 허사와 같은 개념으로 사용한다. 실사는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등을 포함하고 허사는 개사, 접속사, 조사, 감탄사 등을 포함한다. 하지만 고전시학 문헌에 등장하는 허자의 용례는 이 분류 기준과 다르다. 본 연구자 가 조사한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다. 실자는 의미와 실체가 있는 글자를 말한다. 품 사로는 명사가 이에 속한다. 명사 중에서도 人, 山처럼 실물을 가리키는 단어이다. 시에서 경물 묘사를 뜻하며 강건한 풍격을 만든다고 인식했다. 활자, 사자의 기준으 로 분류할 때 실자는 모두 사자에 속한다. 사자는 고정의 느낌을 가진 글자이다. 허 자는 의미와 실체가 없는 글자를 말한다. 품사로는 부사, 형용사, 동사가 이에 속한 다. 명사이지만 실물이 아닌 心, 色 등은 허자가 되기도 한다. 시에서 서정 묘사를 뜻하며 유약한 풍격을 만든다고 인식했다. 활자, 사자의 기준으로 분류할 때 허자에서도 부사, 형용사는 사자에, 동사는 활자에 속한다. 활자는 변화의 느낌을 가진 글 자이다. 고전 시학에 등장하는 실자, 허자 용어는 현대한어의 품사 분류 방식처럼 객 관적 기준이 명확하지 않고 인상비평의 요소가 섞여 있다. 실(實)한 글자, 허(虛)한 글자라는 의미의 성격이 농후하다. 활(活)자, 사(死)자의 개념도 이와 같다.
        6,000원
        4.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북송 애도시는 당대(唐代)와는 다른 방향으로 애도 주제가 활용된다. 오대십국을 통일한 건국 초 기존 질서의 재배치라는 명목 아래 상당히 제한적인 모습을 보인다. 대표적으로 애도 대상의 축소, 절제된 감정 표출, 친분 중심의 교류, 특정 인물 중심 의 애도 등을 들 수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를 절제, 교제, 흠모의 세 층위로 나누 어 애도 주제의 활용 양상과 그 변천의 일면을 살펴보고자 한다. 북송의 애도 주제 활용 양상을 살피는 작업은 북송 애도시 고유의 특징을 도출하는 것은 물론 이를 기 반으로 애도 주제가 관습의 영역을 넘어 ‘변화’의 전진 과정에 놓여있음을 증명하려 는 데 있다. 이는 추후 예정된 남송 애도시와의 비교 연구 및 고대 중국의 애도시사 (哀悼詩史)를 구축하는 데 있어 중요한 시사점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6,100원
        5.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려청자 문양 연구에서 그동안 모란과 작약, 훤화와 연화 문양의 세부 특징을 분석하지 않고, 훤화를 연화나 초화로 분류하거나 작약을 모두 모란으로 명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 다. 이러한 경향은 중국도 마찬가지이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 정요 자기의 영향을 받은 각 화목의 문양과 구성 요소를 비교 분석하여 문양을 분류하고 명칭 분류의 필요성을 제기하였 다. 대부분 모란으로 분류되었던 작약문의 존재를 확인하고, 작약이 중앙 관사인 중서성을 상징했던 사실도 문헌 기록을 통해 밝혔다. 또 정요 자기에서 연화문으로 분류되던 여러 형 식의 훤화문도 고려청자에 영향을 주었다. 정요 자기와 고려청자의 화훼절지문은 문양 구성이 유사하지만 시문 기법에서는 차이가 있다. 고려에서는 정요 자기의 음각과 유사한 획화 기법 대신에 성형과 시문이 동시에 가능 한 압출양각 기법을 선택하였다. 정요 양식의 화훼절지문 청자는 12세기 전반과 후반의 제 작 경향이 달랐다. 12세기 전반에는 압출양각과 함께 음각 기법도 구사하고, 백색내화토 빚 음이나 규석 받침이 품질 차이 없이 생산되었다. 정요 자기의 문양을 해체하여 재조합하거나 시문 기법을 바꾸는 등 외래 요소에 대한 적극적 변용도 행해졌다. 그러나 12세기 중반 이후 부터는 절요접시의 꺾임이 완만해지고, 모란절지문과 작약절지문만 압출양각 기법으로 13세기 초까지 생산되었다. 또한 선화봉사고려도경의 ‘定器制度’에 대해 연관된 여러 용어의 용례를 검토한 결과, 정요 자기의 크기, 형태, 규격 등을 의미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따라서 ‘정기제도’는 12세기 전반에 고려청자 제작에 정요 자기의 영향이 매우 컸던 상황을 충실하게 기술한 것으로 판단 된다.
        8,000원
        6.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송대 문인들이 식욕과 미각의 즐거움을 추구했던 면모를 게[蟹]를 중심 으로 고찰한 것이다. 먼저, 송대에 미식을 즐기는 문화가 형성될 수 있었던 배경으로 다양한 식재료와 맛에 대한 문인들의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태도를 살펴보았다. 唐代 와 달리 송대 문인들은 낯선 음식을 적극적으로 시도하고 수용했으며 이러한 면모는 그들을 미식가로 만들었다. 문인의 음식 취향은 일반적으로 소박함과 절제를 우선했 지만, 유독 게에 대해서는 탐식의 면모를 보인다. 그러나 탐식은 詩文을 창작하고 관 련 지식을 정리하거나 교류에서 중요한 매개가 되는 등 ‘문인다운’ 방식으로 표출되 었다. 뿐만 아니라 게는 고향과 벗에 대한 그리움을 상징하면서 점차 문인의 雅趣로 자리 잡게 되었다.
        5,500원
        7.
        202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정부 주도의 국제문화교류 축제 관람객의 참여 경험을 상호 문화주의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국제문화교류 축제의 질적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사례로는 20년간 범아시아 축제를 지향해 온 ‘인바운드형 국제문화교류 음악 축제’인 ‘아시아송 페스티벌(Asia Song Festival)’을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최근 3년간 본 축제를 관람한 경험이 있는 관람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를 진행하고, 이를 디어도프(Deardorff)의 상호문화역량 모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 과, 본 축제 관람객의 ‘태도’는 타 문화에 대한 높은 관심도 및 유사 축 제 참여 경험이 있는 등 개방적 태도를 보였지만 사업에 대한 인지는 낮 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지식과 이해’의 측면에서 본 행사는 타문화에 대 한 인지의 기회가 되었지만 문화별 특성에 대한 이해를 위한 도구 보완 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내부적 결과(사고의 틀 전환)’에서는 음악을 매개로 한 교류 경험인 동시에 아시아 음악에 대한 관심 향상의 기회가 되었지만, 평소 대상국에 관심이 많은 관람객이 참여할 가능성이 높으므 로 아티스트의 사회적 이미지를 면밀히 검토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 다. 마지막으로 ‘외부적 결과(행동 변화)’ 의 경우 향후 문화교류 현장에 서의 적절한 의사소통과 해당 국가 방문 및 추가 문화체험 등 구체적인 행동방식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가 한류를 매개로 한 정부 차원의 상호문 화교류 정책사업의 방향성을 고찰하는데 실무적이고 학술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8,300원
        8.
        2024.05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전통을 계승한 피아니스트 케니 배런(Kenny Barron)의 즉흥연주에 있어 오른손 선율을 접목 시켜 왼손 컴핑 특징을 고찰하였다. 재즈 피아노 왼손 컴핑이 발전을 이루었던 기준점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고, 그것으로 인해 연주자들의 다양한 음악적인 접근과 시도로 변화와 발전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목적을 가지고 연구되었다. 케니 배런은 컴핑이 변화를 이루었던 1940년대 비밥 시대를 계승하고 유지 발전시켰으며 비밥 시대 이후 영향력 있는 피아니스트 중 한 명으로 현재까지도 활발한 활동을 이어왔다. 연구방법은 먼저 비밥 시대의 배경, 케니 배런의 생애와 연주 스타일을 살펴보았고 <All Of You>를 연주한 케니 배런과 허비 행콕(Herbie Hancock)의 연주를 비교하여 케니 배런의 연주 특징을 도출하는 것이었다. 연구 결과는 케니 배런의 왼손 컴핑을 통하여 오른손 선율을 강조, 부각시키기고 안정감 있고 편안한 분위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케니 배런의 왼손 컴핑 특징 고찰이 재즈 피아노 왼손 컴핑의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4,600원
        9.
        2024.05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뮤지컬 넘버의 샘플링을 통해 재창작 된 현대팝송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알아 보고, 이를 통해 뮤지컬 넘버의 샘플링이 대중음악에 기여하는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음악적 창작 및 재현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원작 뮤지컬의 개요 및 넘버 분석을 통해 원곡의 분위기와 쓰임새를 파악한 후, 가사 변형 양상을 통해 샘플링 곡의 메시지를 분석하고, 전체적인 음악 구성의 비교와 편곡 부분을 대조하여 살펴보는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세 곡의 샘플링 양상을 분석한 결과, 대중음악에서의 뮤지컬 넘버 샘플링은 다섯 가지 유형의 효과를 도출 할 수 있었다. 첫째, 친숙한 멜로디의 사용으로 대중들과의 거리감을 좁힐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긴 다. 둘째, 뮤지컬 곡이 가진 서사적 특성을 통해 주제의식을 강화시킬 수 있다. 셋째, 자유로운 가사 변형으로 원곡과 다른 메시지를 부각시킬 수 있다. 넷째, 편곡이나 새로운 가창방식을 통해 새로운 곡으로 재창조하여 신선한 느낌을 자아낼 수 있다. 다섯째, 앞서 나열한 네 가지의 효과를 이용하여 아티스트가 대중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매우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대중음악에서의 뮤지컬 넘버 사용이 전 세계 다양한 청자들의 뮤지컬 진입장벽을 낮출 수 있고, 두 장르간의 융합이 양측의 인지도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향 후, 본 연구가 앞으로의 대중음악 재창작에 다양한 관점을 제공하고, 국내 음악 산업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는 양분이 되길 기대한다.
        5,500원
        10.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윌리엄 블레이크는 『로스의 서』와 『로스의 노래』에서 신화적 상상력으로 천지창조와 시민들의 자유에 대한 열망을 노래한다. 로스는 영원한 선지자로서 독자들에게 블레이크의 상상력의 원형을 인식하도록 만드는 역할을 한다. 독자들은 블레이크의 페르소나인 로스를 통해서 그의 신화적 상상력의 감성을 음미할 수 있다. 블레이크는 『로스의 서』에서 자신의 관점으로 천지창조와 인간의 창조를 노래하였고, 『로스의 노래』에서 인간이 창조된 이후에 인간의 정신문화가 어떻게 진화하고 발전하는지를 노래하면서, 인간이 본원적 가치를 회복하기 위한 노력으로 혁명을 통해 자유를 되찾는 과정을 맛깔스럽게 시로 노래한다. 그래서 현대인들은 블레이크의 시들을 읽으면서 인간의 자유와 정신문화를 숙고해보고, 인간의 진정한 가치가 무엇인지를 성찰하는 시간을 갖게 한다.
        5,100원
        1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송은 과거를 통해 많은 인재를 선발하였다. 과거 선발 인원의 확대는 많은 과거 준비생을 탄생시켰고 이들은 새로운 사대부 계층을 형성해 송대 사회의 주역이 되었 다. 송 황실은 士大夫들의 宴會나 畜妓에 대한 관용적 태도를 취하였고 이는 사대부 와 歌妓의 만남을 촉진시켰다. 만남에는 歌妓의 노래와 연주가 있었고 여기에 맞춘 塡詞의 풍조를 탄생시켰다. 이런 사회적 환경 속에서 사의 창작도 급속도로 늘어났 다. 숭문정책으로 과거급제자가 급격히 늘어났는데 늘어난 진사급제자 숫자만큼 같 은 시기 사 작품의 숫자도 비례하여 증가한다. 송사의 대표작가 30명을 분석해보면 사가 흥성한 북송시기 사인이 17명이다. 그 중 진사출신이 13명으로 76프로를 차지 한다. 인구에 회자되는宋詞三百首를 분석해 보아도 북송시기 진사출신 詞人이 60 프로에 달한다. 즉 송사는 숭문정책으로 인한 사대부계층의 확대와 그에 따른 도시 문화, 음악문화, 歌妓문화가 어우러져 흥성했음을 알 수 있다.
        6,000원
        12.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0년대 한국 현대미술에서 하나의 두드러진 경향을 뽑자면 단연 역사의 부활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포스트모더니즘과 결합한 탈식민주의 담론, 역사학계에서 일어난 ‘기 억의 붐,’ 그리고 90년대 중반부터 폭발적으로 증가한 비서구 지역의 비엔날레의 영향 속에 서 2000년대 한국미술의 역사가 소환되는 세 가지 경향을 살펴본다. 첫 번째 작품은 임흥순 의 <비념>으로, 증언 이후 세대이자 비당사자인 작가의 시선이 제주4.3이라는 사건 속에서 느끼는 이질감과 비판적 거리두기의 방식을 주목한다. 두 번째는 제인 진 카이젠의 <이별의 공동체>로, 가족과 국가로부터 버림받은 여성들의 목소리가 어떻게 대항적인 역사쓰기를 시 도하는지 살펴본다. 마지막은 송상희의 <다시 살아나거라, 아가야>로, 폭력에 대한 근현대 지구사의 횡단이 이성과 진보를 추구한 근대문명의 야만성으로 귀결되는 방식을 검토한다. 본 작품들은 국가가 기념하는 공식적인 역사에 대항한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역사를 문제삼 는 방식이나 역사를 재구성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서로 다른 관점을 갖고 있다. 본 연구는 작 품들이 제시하는 역사에 대한 태도가 어떤 함의를 지니는지 이러한 경향들이 오늘날 아시아 를 포함한 동시대 예술의 지형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평가해보고자 한다.
        8,700원
        13.
        2023.11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예술성과 대중성을 모두 갖고 있는 뮤지션인 더 위켄드의 작품분석을 통한 음악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시작되었다. 그리하여 더 위켄드의 음악 중 빌보드 Hot 100 차트에서 1위를 달성하였던 작품 5곡을 선정하여 연구해 보았다. <Can’t Feel My Face>, <The Hills>, <Starboy>, <Blinding Lights>, <Save Your Tears> 총 5곡을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분석하였고 결론을 도출하 였다. 첫째, 코드 진행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반복적이다. 대부분 4개의 코드 진행이 곡의 초반부 터 계속해서 반복되어 다양한 테마를 취하기보단 일관된 테마를 유지하였다. 일관된 테마를 갖는 곡은 청자가 음악에 쉽게 익숙해지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둘째, 리듬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음악 전체적으로 통일된 리듬감을 갖는다. 통일된 리듬감이 주는 이점은 청자가 곡의 리듬을 빠르게 익힐 수 있다. 셋째, 장르 및 편곡적인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레트로한 요소가 많이 활용되었다. 80년대 유행했던 신스팝 장르 및 그 당시 사용되었던 FM 신시사이저의 사운드가 적극적으로 사용 되었다. 더불어 과거의 유행하던 사운드나 요소를 단순히 사용하는 데 그치지 않고 현시대의 유행 하는 음악에 잘 녹여내는 모습도 보여주었다.
        4,900원
        15.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 서예사에서 안진경(顏眞卿, 709-785)의 위상은 오랜 세 월동안 점진적으로 제고됐다. 당송시기, 명 말기, 청대의 3단계 발전과정이 있었는데, 당송시기에는 안진경의 인격을 추앙하고, 명 말기와 청대에 비학(碑學)이 출현해 안진경의 서예가 본격 적으로 영향력을 발휘하게 됐다. 이러한 서예 내면의 작품적 영향력과 서예 외면의 사회적 영향력이 작용해 안진경의 서예 가 당대에 높은 지위를 얻는 토대가 된 것이다. 본고에서는 연구범위를 당송시기로 한정하고 송나라 때에 안 진경의 서예를 추존한 [미]에이미 맥네어(AmyMcNair)의 중정 지필(中正之筆)에 대한 관점을 집중적으로 토론해 다음과 같 이 유의미한 결론을 도출해 냈다. 먼저, 안진경을 추존하는 사조는 만당(晩唐)시기로 거슬러 올 라간다. 안록산의 난 이후에 당시 사대부들은 ‘중정(中正)’에 대 한 관심을 갖고 서예에도 이를 반영하기 시작했다. 둘째, 송나라 문인들의 안진경에 대한 추존은 여전히 당나라 사대부들의 논조를 계승해 ‘그 글씨(其書)’보다는 ‘그 사람(其 人)’을 더 중시했다. 셋째, 안진경 서예의 위상 제고는 문인 집단의 구조적 변화 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송나라 문인들이 안진경의 서예를 최 상으로 했다는 관점은 후대에 의해 크게 과장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고의 고찰을 통해 당송시기 안진경의 영향력 제고에 대한 원인과 변화양상을 이해하는데 일조가 됐으면 한 다. 부족한 부분에 대한 독자의 많은 질정을 바란다.
        6,100원
        16.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유럽 음악의 영향을 크게 받은 영국 예술가곡의 역사적 흐름과 발전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영국 작곡가들 을 특정된 20세기에는 작곡한 예술가곡에서 나타난 고유한 문 화적, 음악적 특징, 내면적 감정 그리고 시적 운율 등을 제시하 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영국 가곡 의 역사적인 흐름을 다섯 개 시기로 나누어 정리하여 설명하였 다. 20세기 영국 유명한 작곡가들은 자기 나라의 시인을 선호 하는 배경으로 인해 음악을 시와 연결하여 작곡하는 사실을 제 시하고 당시 예술가곡의 일반적인 특징을 파악하는 동시에 연 가곡 <A Cycle of Life>을 예로 들어 20세기 영국 예술가곡에 나타난 선율, 조성 등 음악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를 통해, 20세기 영국 예술가곡의 특징을 조합적 으로 정리하였다. 이로 도출된 결과는 연가곡 <A Cycle of Life>를 연주하고 표현하는 데에 유용한 참고자료로 된 것으로 판단된다. 음악연구자 또는 성악연주자로서, 20세기 영국 예술 가곡에 관한 이해를 넓히며, 이를 비롯한 다른 20세기 영국 예 술가곡을 연구하는 데에 도움 되길 바란다.
        8,000원
        17.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mpared with Sui and Tang Dynasties, the variant and vulgar characters were reduced, and the use of characters tended to be unified during the Song Dynasty. However, there are a lot of folk characters in the stone inscriptions of the Song Dynasty, which are valuable materials for studying the history of Chinese characters. Nonetheless, the folk characters in the stone inscriptions of the Song Dynasty have not been given enough attention in academia and so far only limited studies have touched on this topic. This article first expounds the research value of variant characters on stone inscriptions in the Song Dynasty, and defines the concept of variant characters on stone inscriptions in the Song Dynasty. Then, in the form of illustration, it studies 10 examples of variant characters in stone inscriptions in the Song Dynasty, with a table of variant characters on stone inscriptions in the Song Dynasty, in order to provide reference for the study of medieval characters and the development history of Chinese characters.
        6,600원
        19.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宋代 瓷器에 보이는 嬰戱紋의 시기별, 소재별 유형과 金과 高麗로 전파된 이 후 수용과 변화된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자기 뿐만 아니라 회화, 금은기 등 과의 비교를 시도하였다. 영희문은 아이가 놀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문양으로, 南北朝時代 금속기에서 처음 보 이기 시작한 이후 唐代 長沙窯에서 자기의 장식요소로 처음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송대에 이르면 南ㆍ北方 여러 窯址에서 자기장식요소로 활발히 제작되기 시작하며 다양한 소재와 결합되는 양상이 나타난다. 송대 영희문이 다수 확인되는 耀州窯와 定窯, 磁州窯, 景德鎭窯 등을 중심으로 시기별 변화 확인을 통해 송대 전기에는 거의 확인되지 않던 영희문이 중기에 이르러 북방지역의 요 주요와 남방지역의 경덕진요에서 등장하기 시작한다. 이후 송대 후기부터 요주요를 중심으로 도상과 소재가 다채로워지기 시작하였으며, 북송말-남송초에는 영희문이 확산되어 많은 요 지에서 제작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확인되는 송대 영희문은 결합되는 소재에 따 라 화훼, 과실, 불교, 민간생활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營造法式과 같이 관에서 반포한 서적의 보급과 함께 多子多孫, 子孫蕃盛 등의 의미를 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송대 영희문의 확산과정에서 금과 고려도 영향을 받아 영희문 자기를 제작하게 되는데, 금은 결합된 양상과 구성에서 북송대와 유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자주요에서 북방 민족의 복식으로 변화되는 양상이 확인되며, 이와 함께 당시 ‘百子圖’, ‘嬰戱圖’ 등의 회화에서 확인되는 아이들의 유희소재가 단독으로 나타난다. 고려에서는 12세기 중반 이후부터 영희문 자기가 제작되기 시작하며, 결합 소재와 아이 의 복식 양상을 통해 요주요의 영향을 받은 이후 정요의 영향을 받았던 것으로 보여진다. 고 려 영희문 자기는 크게 넝쿨과의 결합구성, 단독소재 구성, 회화식 구성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그중 회화식 구성은 송대 회화의 영향과 함께 남송대 금은기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 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6,600원
        20.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중국에서 북송(960~1127)과 남송(1127~1279) 시기에 유행하였던 점다법(點 茶法)에 사용되었던 금속제 다구를 통해 송대의 차문화의 역사적 의미와 고려 차문화를 살 펴본다. 차의 정수는 차 거품이라는 의견은 당대의 육우에 의해 주장된 바 있다. 이 차의 거품을 맛있고 멋있게 만들기 위해 점다문화가 투다문화로 발전한 것은 차의 정치사를 행했던 송대 사회의 문화적 특징으로 이해된다. 일반 백성에서 황제에 까지 공유되었던 점다문화는 차의 질과 다구의 질을 계층에 따라 달랐고 사치가 극성하게 된 배경이 되었다. 칠기, 주석, 흑자와 청자 그리고 백자의 도자기, 주석, 금은기 등의 다양한 재질로 다도구가 제작되었고 특히 금은기는 감상수준으로 발전하 는 원동력이 되었다. 금은제 다도구는 송대 이전의 황실의 다도구인 법문사 지궁의 의종의 공양품을 통해 살펴 보았다. 바로 이 법문사의 다구를 통해 차의 포말을 즐기는 점다법으로 이해되는 다문화의 과정을 엿볼 수 있었다. 송대의 점다법에 구사된 금속제 다기에 대해서는 그간 연구된 바가 없었다. 이글에서는 금은기로 만든 주자와 잔과 탁의 기형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방식으로 고찰해 보았다. 13 세기 팽주 교장의 금은기를 통해 두립형의 잔과 끼우게 되어 있는 구조의 탁, 그리고 절견형 의 주자는 다기로 사용하였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송대 점다법을 수용한 고려의 금속제 다구들의 존재를 은숟가락과 미국 보스턴박물관 소 장의 금도은제주자와 승반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 다구들에서 동시대의 국제적 흐름을 타면 서도 고려만의 독자적인 미감이 파악되었다.
        6,7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