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브로드웨이 뮤지컬 넘버를 사용한 현대 팝송 샘플링 기법에 관한 연구 - RIAA(미국음반산업협회)의 인증을 받은 3개의 음원을 중심으로 - KCI 등재후보

The Study of Broadway Musical Number Usage in Contemporary Pop Song Sampling - Focusing on Three Songs on the RIAA Certification Musics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381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대중음악콘텐츠 (Popular music contents society)
대중음악콘텐츠학회 (Popular Music Contents Socie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뮤지컬 넘버의 샘플링을 통해 재창작 된 현대팝송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알아 보고, 이를 통해 뮤지컬 넘버의 샘플링이 대중음악에 기여하는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음악적 창작 및 재현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원작 뮤지컬의 개요 및 넘버 분석을 통해 원곡의 분위기와 쓰임새를 파악한 후, 가사 변형 양상을 통해 샘플링 곡의 메시지를 분석하고, 전체적인 음악 구성의 비교와 편곡 부분을 대조하여 살펴보는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세 곡의 샘플링 양상을 분석한 결과, 대중음악에서의 뮤지컬 넘버 샘플링은 다섯 가지 유형의 효과를 도출 할 수 있었다. 첫째, 친숙한 멜로디의 사용으로 대중들과의 거리감을 좁힐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긴 다. 둘째, 뮤지컬 곡이 가진 서사적 특성을 통해 주제의식을 강화시킬 수 있다. 셋째, 자유로운 가사 변형으로 원곡과 다른 메시지를 부각시킬 수 있다. 넷째, 편곡이나 새로운 가창방식을 통해 새로운 곡으로 재창조하여 신선한 느낌을 자아낼 수 있다. 다섯째, 앞서 나열한 네 가지의 효과를 이용하여 아티스트가 대중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매우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대중음악에서의 뮤지컬 넘버 사용이 전 세계 다양한 청자들의 뮤지컬 진입장벽을 낮출 수 있고, 두 장르간의 융합이 양측의 인지도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향 후, 본 연구가 앞으로의 대중음악 재창작에 다양한 관점을 제공하고, 국내 음악 산업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는 양분이 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amine the types of sampling use of musical numbers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sampling of musical numbers on pop music with three popular songs. For this purpose, I used three methods. First, understand the atmosphere and purpose through the outline and number analysis of the musical. Second, analyze the message of the sampling song through the lyrics transformation. Third, compared those two music’s composition and compared the arrangeme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ampling pattern, using a musical number sampling is able to derive five types of effects. Firs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reduce the distance between listener and artist by using familiar melody. Second, it can strengthen the theme of the songs through the narrativity properties of musical. Third, it can give a prominence to the message of the song. Fourth, it can be recreated through arrangements or different singing methods to create a fresh feeling. Fifth, Using these four effects that I already explain, artists are able to make a better message deliver by using sampling. The researchers thought that the using musical number sampling can break a barriers to entry into musical, and thought that the convergence between those two genres could have a good effect on the recognition of both sides. Through this research, I hop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various perspectives on the future recreation of pop music and serve as the basis for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both genres.

목차
I. 서 론
    1. 연구목적
    2. 연구범위 및 방법
    3. 선행연구의 검토
II. 본 론
    1. 제이지(Jay-Z)의 
    2. 미카(MIKA)의 
    3. 아리아나 그란데(Ariana Grande)의 <7 Rings>
III. 결 론
참 고 문 헌
저자
  • 박진주(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영화뮤지컬학과) | Jinju 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