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대중음악콘텐츠 KCI 등재후보 Popular music contents society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제8권 1호 (2024년 5월) 11

1.
2024.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뮤지컬 넘버의 샘플링을 통해 재창작 된 현대팝송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알아 보고, 이를 통해 뮤지컬 넘버의 샘플링이 대중음악에 기여하는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음악적 창작 및 재현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원작 뮤지컬의 개요 및 넘버 분석을 통해 원곡의 분위기와 쓰임새를 파악한 후, 가사 변형 양상을 통해 샘플링 곡의 메시지를 분석하고, 전체적인 음악 구성의 비교와 편곡 부분을 대조하여 살펴보는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세 곡의 샘플링 양상을 분석한 결과, 대중음악에서의 뮤지컬 넘버 샘플링은 다섯 가지 유형의 효과를 도출 할 수 있었다. 첫째, 친숙한 멜로디의 사용으로 대중들과의 거리감을 좁힐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긴 다. 둘째, 뮤지컬 곡이 가진 서사적 특성을 통해 주제의식을 강화시킬 수 있다. 셋째, 자유로운 가사 변형으로 원곡과 다른 메시지를 부각시킬 수 있다. 넷째, 편곡이나 새로운 가창방식을 통해 새로운 곡으로 재창조하여 신선한 느낌을 자아낼 수 있다. 다섯째, 앞서 나열한 네 가지의 효과를 이용하여 아티스트가 대중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매우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대중음악에서의 뮤지컬 넘버 사용이 전 세계 다양한 청자들의 뮤지컬 진입장벽을 낮출 수 있고, 두 장르간의 융합이 양측의 인지도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향 후, 본 연구가 앞으로의 대중음악 재창작에 다양한 관점을 제공하고, 국내 음악 산업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는 양분이 되길 기대한다.
5,500원
2.
2024.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재즈는 대중음악의 대표적인 장르들 중 하나이자, 대중음악사의 선두에 위치한 장르이다. 대 중음악학의 선구자로 불리는 아도르노(Theodor Adorno)도 이 장르의 중요성을 기반으로 재즈를 중심으로 한 글들을 출판함으로써 이에 대한 학제적 논의를 이끌었다. 그의 재즈 논의는 1930년 대를 시작으로 1950년대까지 이어졌으며, 그의 글은 재즈에 대한 학제적 논의의 기반이 되었다. 그럼에도 그의 재즈에 대한 논의는 많은 비판을 야기했다. 이 연구는 비판에 가려져있던 아도르 노의 원문을 재조명했다. 그의 원문 분석을 통해, 그의 글로 당대 재즈를 재구성하고 아도르노가 재즈 논의를 통해 밝히고자 했던 바를 파악했다. 이를 통해, 아도르노가 재즈를 비판할 뿐 아니 라 재즈를 상품으로 변모시킨 문화산업 시스템에 비판을 가하고 있다는 핵심을 이끌어냈다. 그 의 논의는 역사적으로 재즈 초기의 전반적인 외양과 내양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 있어서 사료적인 비평으로 의미를 가지며, 음악적으로 재즈에 대한 음악분석을 시도했다는 점에 있어서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 나아가, 현재 소비되고 재생산되는 밈(Meme) 문화와 미디어에서 재현하는 재즈를 살펴보면, 그의 논의는 대중음악 생산 시스템적인 측면에서 시대에 구애 받지 않는 일반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6,100원
3.
2024.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다차원적 배경음악 속성(유형,볼륨,리듬,친숙도)이 소비자의 심리적 정서 및 충 동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중국 또는 한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화장품 매장에서 매출 향상 측면에서 배경음악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목적을 가지고 연구되었다. 연구방법은 한 국 오프라인 화장품 매장에서 구매 경험이 있는 한국 및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각 150명의 유효 샘플을 사용하며 구조 방정식 모형으로 경로분석 및 다중집단 분석을 통해 변수간의 인과관계 및 집단간의 경로 차이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음악의 유형,볼 륨,리듬 및 친숙도가 모두 소비자의 심리적 정서 및 충동구매에 영향을 주었다. 한국 및 중국 소비자의 차이를 보면, 음악의 유형 및 친숙도는 한국 소비자들의 충동구매에 더 큰 영향을 미쳤 으며 음악의 불륨 및 리듬은 중국 소비자의 충동구매에 더 큰 영향을 주었다. 연구 결과 본 연구는 화장품 가게 매장에서 배경음악을 사용하여 소비자의 충동구매 행위를 자극하는 효과를 향상시켜 매장의 매출을 높이는 데 도움을 주었다고 도출하였다.
4,600원
4.
2024.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 맥락적 관점에서 공연공간이 갖는 공공적 특성을 고찰하고 분석함으로써 추후 공연공간을 계획함에 공공성 구현을 위한 기초자료 역할과 방향을 제시하고 자 하였다. 문헌 고찰 및 선행연구, 사례조사를 통해 건축적 공공성 분석을 통해 공연공간의 공공성 분석항목을 도출하고, 도출된 공공성 요소를 토대로 사례별 공연공간의 공공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현대사회의 변화에 따라 공연공간의 기능과 역할이 확대되고 다양해지고 있으며, 공연장을 지역 이나 도시의 커뮤니티 시설로 개방하려는 시도가 많아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상 업 및 편의시설 등, 다른 기능과 복합하여 이용자나 시민들에게 개방하여 접근이 쉬운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종합해 보면 앞으로 국내의 도심 공연공간을 계획할 때 고려 요소로써 시설의 기능 다변화와 도시적 관계에 대한 고려가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겠다. 추후 연구에서는 범위를 확대하여 광범위한 국내외 사례분석과 다양한 관점에 따른 공간 분석을 통해 더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4,200원
5.
2024.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매체 간 전환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콘텐츠 시장 분위기에 발맞추어, 뮤지컬 공연이 뮤지컬 영화로 매체 전환되는 것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자 연구되었다. 또한, 뮤지컬 공연이 뮤 지컬 영화로 매체 전환 시 공간 선택의 용이성과 카메라 기법의 활용이 인물의 세세한 ‘감정’과 ‘심리 상태의 변화’ 등을 보여줌으로써, 작품의 메시지를 강화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연구 방법은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 이론 중 ‘사회적 공간’ 개념과 ‘추상 공간’ 개념, 조지 레이코프와 마크 존슨의 ‘지향적 은유’ 개념을 기반으로 뮤지컬 영화 <레 미제라블> 속 자베 르의 주요 장면인 “Stars”와 “Soliloquy(Javert’s Suicide)”를 분석하는 것이다. “Stars” 장면에 서는 노트르담 대성당과 파리 경시청이 가지는 공간적 가치와 높이에 따른 지향적 은유에 따라 작품의 메시지가 상징되어 강화되었음을 확인했다. “Soliloquy(Javert’s Suicide)” 장면에서는 노트르담 대성당과 대하수구, 세느강의 수로 등이 가지는 공간적 가치와 자베르의 권위를 상징하 는 도구인 총과 훈장 등을 활용해 만든 은유로 작품의 메시지가 강화되었음을 확인했다. 이처럼 본 연구는 뮤지컬 공연이 뮤지컬 영화로 전환할 때의 장점을 확인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서 뮤지컬 영화 제작에 있어 공간과 소품 배치, 카메라 기법을 통한 공간과 소품에 대한 집중 등을 통해 메시지 전달력이 강화될 수 있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작품의 주인공인 장 발장 이 아닌 안타고니스트 자베르를 중심에 두고 분석했다는 점과 사십 곡이 넘는 넘버로 이루어진 작품을 다루고 있지만 두 곡만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지며, 범주를 더욱 넓혀 본 연구의 맹점을 해결한 추가 연구가 이어지기를 제언했다.
6,400원
6.
2024.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960년대에 향수(Nostalgia) 주제를 가진 트로트 곡의 특징을 연구하였다. 1960년대 트로트 가사가 고향에 대한 향수를 어떤 방식으로 다뤘으며, 해당 트로트 가사가 의미하는바가 무엇인지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회상을 표현하는 가사 속 단어들 및 타향을 부정하는 단어들 속에 내재된 감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트로트 곡에서 드러나는 고향에 대한 향수에 관한 내용의 가사를 분석함으로써, 가사 분석의 다양성을 고찰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 다. 1960년대 트로트 가사에는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회상 그리고 가족과 연인에 대한 사랑이 주 로 나타났으며 한국적 정서가 드러나는 시대를 반영한 이야기들을 표현한 단순 명료한 가사로 이 루어져있었다. 또한 1970년대에는 추상적인 이별이야기를 담는데 주력하는 양상을 보인 반면, 1960년대에는 직접적인 단어로 표현함으로써 곡의 애절함과 씁쓸함이 보다 더 잘 드러났으며 대중 들 기억에 남는 가사로 공감을 더했다. 대중가요에서 고향을 주제로 한 가사에서는 사람의 감성을 움직이게 하며 향수를 불러일으키지만 시대적 배경과 대중들의 상황과 상태, 염원을 분석한다면 가사에 담긴 함의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많은 창작자들이 가사를 분석하는 것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예상한다.
4,900원
7.
2024.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비선형적 서사 기법은 시공간적 초월성과 설득력 있고 다양한 가능성의 사건 전개의 방식을 말하며 이를 뮤지컬의 등장인물에 적용하며 서사를 전달하는 주인공이 아닌 다른 등장인물들 중에서 비선형적 인 인물의 가치와 역할을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이야기를 전달하는 인물이 아닌 새로이 창작된 인물들이 등장하는 뮤지컬 <엘리자벳>과 <서편제>를 통해 비선형적 인물들을 규정하고 이들의 음악적 역할들을 분석하였다. 뮤지컬 <엘리자벳>에서 루케니는 지속적인 사건 개입과 시간과 공간으로 넘나들며 관객을 이끌어가고, 토드는 추상적인 의미를 인물화 하여 음악적 변화를 주도하는 대표적인 비선형적 인물이다. 뮤지컬 <서편제>의 비선형적 인물은 대중음악을 공연을 위한 새로운 인 물 춘식으로 다른 음악적 양식을 융합하는 역할을 주로 한다. 동호모는 비선형적인 인물로 죽음과 상처 그리고 오랜 유랑생활을 상징하는 초월적 인물이며 시공간을 이끄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뮤지컬 주인공이 아닌 비선형적인 인물들을 분석하여 무대에서 시공간을 효과적으로 전환하고, 다양한 음악 장르들을 융합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흥행적인 요소를 가진 뮤지컬 배역을 개발할 수 있다. 뮤지컬에 서 비선형적인 인물들의 연구는 다양한 음악의 융합과 보다 구조적으로 짜임새 있는 뮤지컬을 제작할 수 있다.
4,200원
8.
2024.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의 목적은 탭 댄스(Tap dance) 교육에서 안무와 음악의 두 요소를 융합한 새로운 교육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탭 댄스는 무용의 한 장르이기 이전에 타악기로 구분되므로 안무와 음악 교육적 측면 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현재 탭 댄스 교육은 음악 교육적 측면이 배제된 채, 도제식(徒弟式) 방식과 영상을 활용한 안무 교육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탭 슈즈(Tap Shoes)를 통해 타악기로서 구현해 야 하는 리듬과 연주를 위한 학습 자료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탭 댄스 학습자와 교수자의 체계 적·효과적 교육을 위해, 기존의‘카노테이션(Kahnotation)’을 기반으로 스텝의 명칭, 소리(Sound), 움 직임(Action), 스텝 고유의 질감(Quality) 등을 쉽게 시각화할 수 있는 탭 댄스 기보법‘지-노테이션 (Jee-notation)’을 개발하였다.‘지-노테이션’은 단일 기호 14개와 복합 기호 5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탭 댄스의 기본 스텝인 ‘타임 스텝(Time Steps)’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초기 개발 연구로서 ‘타임 스텝’에 적용된 기호 19개를 다루었으며, 후속 연구에서 다양한 스텝들의 지속적인 기호 개발과 실험적 검증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점점 발전하고 있는 디지털 아카이브 (Digital archive)로 활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로서 유의미하게 활용될 것이라 사료되며, 학습자들의 이해와 기억을 돕는 실용적인 기보법이 제시될 것으로 기대한다.
5,200원
9.
2024.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영화음악은 영화 속 장면들과 연계해 영화 감상의 몰입과 이해를 돕는다. 같은 화성구조의 반복 과 변화, 삽입곡의 활용, 모티브의 발전 등 영화 속 영화음악이 가지는 기법은 다양하며, 한 작품 속에서 이 모든 기법들이 등장할 수도 있다. 본 연구는 영화음악 작곡가 알렉상드르 데스플라 (Alexandre Desplat, 1961~)의 작품들 중 영화 『프렌치 디스패치』(2021)에 나오는 그의 음악에 주목하였다. 액자식으로 구성된 본 작품은 각 섹션마다 독립적인 이야기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표현하기 위해 데스플라는 각 섹션마다 서로 다른 독립적 테마를 사용한 곡을 썼을 뿐 아니라, 이를 발전시키는 방법 또한 다르게 하였다. 어떤 섹션에서는 서로 비슷한 분위기의 소품들을 병렬 하고, 또 다른 섹션에서는 삽입곡으로만 장면을 구성한 한편, 어떤 섹션에서는 모티브의 발전을 위주로 전개를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 섹션의 주요한 특징에 기반해 악곡들을 분석하여 영화에서 섹션마다 음악들이 어떻게 다른 방식으로 전개하는지 고찰하였고, 데스플라가 한 영화 속 다른 부분마다 어떻게 다른 작곡 방법을 취하였는지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5,100원
10.
2024.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류는 음악, 영화, 드라마를 중심으로 점차 연유되어 현재는 케이팝 아이돌 산업에서 큰 강점을 보 인다. 아이돌 그룹은 스토리텔링을 바탕으로 자신들만의 견고한 세계관을 구축해나가고 있으며 아이돌 스토리텔링에 관한 선행연구 조사 결과, 방탄소년단의 논문들이 대부분이었다. 이들의 소속사인 하이 브는 웹툰을 통해 스토리텔링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오고 있었다. 반면 같은 소속사에 웹툰과 같이 스토 리텔링이 탄탄한 엔하이픈에 관련된 논문은 아직 자료가 미비하다. 이들은 롯데월드와의 콜라보, 스파 오와의 협업 등 세계관 웹툰을 현실에 적용시켰다. 콘텐츠로만 존재하던 세계관을 이렇게 여러 방면으 로 활발히 넓혀왔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엔하이픈을 연구한 논문들 중 영상 분석을 통해 스토리텔 링을 자세히 연구한 논문이 없었다. 따라서 엔하이픈의 데뷔 트레일러 영상 2편을 웹툰과 데뷔 앨범 컨셉을 중심으로 한 분석을 통해 이들의 세계관과 스토리텔링을 어떻게 설정하고 어떤 식으로 전개하 였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엔하이픈의 스토리텔링 홍보 수단으로 웹툰을 어떻게 이용하고, 앨범 컨셉과 세계관의 연결성을 통해 스토리텔링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보여주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 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웹툰에 나타나는 요소들이 데뷔 트레일러 에서도 비슷하게 연계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앨범에서 보여주는 두 가지의 시간 개념을 색상을 통해 세계관과 결합시켜 전개하였다. 셋째, 영상은 모두 하이픈을 통해 전개되어 통일성을 이루고 있 다.
5,200원
11.
2024.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전통을 계승한 피아니스트 케니 배런(Kenny Barron)의 즉흥연주에 있어 오른손 선율을 접목 시켜 왼손 컴핑 특징을 고찰하였다. 재즈 피아노 왼손 컴핑이 발전을 이루었던 기준점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고, 그것으로 인해 연주자들의 다양한 음악적인 접근과 시도로 변화와 발전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목적을 가지고 연구되었다. 케니 배런은 컴핑이 변화를 이루었던 1940년대 비밥 시대를 계승하고 유지 발전시켰으며 비밥 시대 이후 영향력 있는 피아니스트 중 한 명으로 현재까지도 활발한 활동을 이어왔다. 연구방법은 먼저 비밥 시대의 배경, 케니 배런의 생애와 연주 스타일을 살펴보았고 <All Of You>를 연주한 케니 배런과 허비 행콕(Herbie Hancock)의 연주를 비교하여 케니 배런의 연주 특징을 도출하는 것이었다. 연구 결과는 케니 배런의 왼손 컴핑을 통하여 오른손 선율을 강조, 부각시키기고 안정감 있고 편안한 분위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케니 배런의 왼손 컴핑 특징 고찰이 재즈 피아노 왼손 컴핑의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4,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