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4

        1.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recent years, electric shock accidents at industrial sites continue to occur, and various measures are being taken to reduce accidents. Among them, safety education is mentioned as a basic measure for the prevention of industrial accidents and the protection of workers. This study attempt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electrical safety education on safety consciousness and safety behavior and verify whether it is effective. To this end, a total of 343 people, including workplace managers and workers, were surveyed, an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linear &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4.0 statistical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electrical safety education, the more positive (+) effect was on the safety consciousnes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electrical safety education, the more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was on safety behavior. Thir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safety consciousness, the more positive (+) effect was on safety behavior. Finally, it was verified that safety consciousness plays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influence of electrical safety education on safety behavior.
        4,000원
        2.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d the causes of recurring electric shock accidents using accident analysis techniques and attempte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accident prevention. 124 electrocution death accidents that occurred from 2017 to 2022 were analyzed and classified into four factors(organizational influence, unsafe supervision, preconditions for unsafe acts, and unsafe acts) using the HFACS technique. As a result, First, in terms of organizational influence, many issues related to organizational processes were found, and the main causes were the lack of a safety management manual for electrical work, the lack of risk assessment, and the lack of safety procedures for electrical work. Second, in terms of unsafe supervision, the main causes were inappropriate operations such as not assigning a work supervisor during work or the lack of actual management and supervision. Third, in terms of preconditions for unsafe acts, the main causes were physical and technical problems such as not performing power outage work or not taking protective measures for live parts. Fourth, in terms of unsafe acts, the main causes were analyzed to be violations of safety procedures such as workers mistaking a power outage or not recognizing a current leakage condition, making a wrong judgment of the situation, and shortening the work time and working without safety measures for work convenience. Additionally, when examining whether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ose who died from electric shock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unsafe behavior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violations or decision-making errors depending on the industry and electrical-related major.
        4,000원
        3.
        202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한국 고속도로 포장은 1970년 경부고속도로 건설을 시작으로 많은 발전을 이루었으며, 최근 도로이용자에게 쾌적한 도로를 제공할 수 있는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고속도로 배수성 아스팔트 구간에 대한 시공목적별, 신설과 유지보수 등을 구분하여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 적용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적용된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의 교통량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효율적인 교통량 그룹 선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고속도로에 적용된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의 전주기 평가를 위해 평가항 목을 제시하였다. 내구성평가 항목으로는 포장상태평가지수와 표면조도를 선정하였다. 기능성 평가 항목으로는 내부 공극 막힘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현장투수, 미끄럼저항지수, 포장노면과 타이어에서 발생하는 도로소음원 평가를 위한 도로소음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조사 항목들에 대한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의 전주기 평가를 통해 각각 조사 항목에 대한 정량적 분석평가를 수행하여 도로소음도 예 측식을 제안하였다.
        4.
        2024.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도로 연장은 2023년 기준 115,878km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중 준공 30년 이상된 노후도로의 비율은 51.5%에 해당하고 있어 도로 유지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스팔트 예방적 유지보수공법인 포그씰(Fog Seal)을 실 제 공용중에 있는 도로에 적용하여 공용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공용성능 분석을 위해 차량의 휠패스 부분에서 공법당 6개의 코어를 3 차년간 채취하여 공극률 및 바인더 함량 값을 비교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포그씰 공법을 시공하지 않은 구간을 대조군으로 선정하 여 추적조사 기간에 따른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극률은 포그씰 시공 이후 지속적인 감소를 보였다. 바인더 함량의 경 우 공용연수가 증가할수록 바인더 함량 또한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공용연수가 증가함에 따라 차량의 주행으로 인 해 표면에 도포된 포그씰이 점차 도로 표면 및 균열 속으로 스며들어 내부의 공극이 채워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3,000원
        5.
        202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asphalt concrete using CT scanning has become an essential area of research due to its potential to revolutionize the way we assess road materials. Traditional methods often require destructive sampling, which can damage infrastructure and offer limited insight into the material's internal structure. In contrast, CT scanning provides a non-destructive, highly detailed analysis of asphalt's internal features, such as air voids, aggregate distribution, and binder coverage, all of which are critical to its durability and performance. Additionally, the ability to create 3D models from CT scans allows for deeper insights into factors like void connectivity and aggregate bonding, which directly affect the lifespan of pavements. By combining CT imaging with advanced data processing techniques, such as deep learning, this research offers more accurate and reliable methods for optimizing asphalt mix designs, ultimately leading to longer-lasting roads, reduced maintenance costs, and more sustainable construction practices.
        6.
        2024.05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960년대에 향수(Nostalgia) 주제를 가진 트로트 곡의 특징을 연구하였다. 1960년대 트로트 가사가 고향에 대한 향수를 어떤 방식으로 다뤘으며, 해당 트로트 가사가 의미하는바가 무엇인지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회상을 표현하는 가사 속 단어들 및 타향을 부정하는 단어들 속에 내재된 감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트로트 곡에서 드러나는 고향에 대한 향수에 관한 내용의 가사를 분석함으로써, 가사 분석의 다양성을 고찰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 다. 1960년대 트로트 가사에는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회상 그리고 가족과 연인에 대한 사랑이 주 로 나타났으며 한국적 정서가 드러나는 시대를 반영한 이야기들을 표현한 단순 명료한 가사로 이 루어져있었다. 또한 1970년대에는 추상적인 이별이야기를 담는데 주력하는 양상을 보인 반면, 1960년대에는 직접적인 단어로 표현함으로써 곡의 애절함과 씁쓸함이 보다 더 잘 드러났으며 대중 들 기억에 남는 가사로 공감을 더했다. 대중가요에서 고향을 주제로 한 가사에서는 사람의 감성을 움직이게 하며 향수를 불러일으키지만 시대적 배경과 대중들의 상황과 상태, 염원을 분석한다면 가사에 담긴 함의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많은 창작자들이 가사를 분석하는 것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예상한다.
        4,900원
        9.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해상 위험유해물질(Hazardous Noxious Substances, HNS) 사고의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 개발된 부유식 무인이동체 기반 광역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의 운용 시나리오 설계와 실험 검증 내용을 보인다. 광역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은 장시간 운용이 가 능하되 제한적 이동이 가능한 무계류형 부이 형태를 갖는 부유식 무인이동체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임무 수행에 필요한 열화 상 카메라, 레이더, 부유 및 대기 HNS의 탐지를 위한 센서가 탑재되었다. 실험 검증 과정에서는 탐지 센서 성능을 야외 환경에서 실험적 으로 검증하기 위해 이동식 가스 유출 시스템(Portable Gas-exposure System, PGS)을 추가로 설치하였다. 무인 시스템의 원격 및 자율 운용을 위해 전체 운용 소프트웨어는 로봇운영체제(Robot Operating System, ROS)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통합되었다. 내수면 및 실해역에서의 실 험을 통해 개발된 시스템의 운용 및 활용 가능성을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4,0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