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 맥락적 관점에서 공연공간이 갖는 공공적 특성을 고찰하고 분석함으로써 추후 공연공간을 계획함에 공공성 구현을 위한 기초자료 역할과 방향을 제시하고 자 하였다. 문헌 고찰 및 선행연구, 사례조사를 통해 건축적 공공성 분석을 통해 공연공간의 공공성 분석항목을 도출하고, 도출된 공공성 요소를 토대로 사례별 공연공간의 공공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현대사회의 변화에 따라 공연공간의 기능과 역할이 확대되고 다양해지고 있으며, 공연장을 지역 이나 도시의 커뮤니티 시설로 개방하려는 시도가 많아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상 업 및 편의시설 등, 다른 기능과 복합하여 이용자나 시민들에게 개방하여 접근이 쉬운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종합해 보면 앞으로 국내의 도심 공연공간을 계획할 때 고려 요소로써 시설의 기능 다변화와 도시적 관계에 대한 고려가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겠다. 추후 연구에서는 범위를 확대하여 광범위한 국내외 사례분석과 다양한 관점에 따른 공간 분석을 통해 더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e limitation in deriving the species richness representing the entire country of South Korea lies in its relatively short history of species field observations and the scattered observation data, which has been collected by various organizations in different fields. In this study, a comprehensive compilation of the observation data for plants held by agencies unde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as conducted, enabling the construction of a time series dataset spanning over 100 years. The data integration was carried out using minimal criteria such as species name, observed location, and time (year) followed by data verification and correction processes. Based on the integrated plant species data, the comprehensive collection of plant species in South Korea has occurred predominantly since 2000, and the number of plant species explored through these surveys appears to be converging recently. The collection of species survey data necessary for deriving national-level biodiversity information has recently begun to meet the necessary conditions. Applying the Chao 2 method, the species richness of indigenous plants estimated at 3,182.6 for the 70-year period since 1951. A minimum cumulative period of 7 years is required for this estimation. This plant species richness from this study can be a baseline to study future changes in species richness in South Korea. Moreover, the integrated data with the estimation method for species richness used in this study appears to be applicable to derive regional biodiversity indices such as for local government units as well.
뮤지컬은 음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들이 결합되어 있는 종합무대예술로써 무대 공간에서의 특 성과 함께 음악적 특성의 연구는 의미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뮤지컬『노트르담 드 파리』무대 디자인에 나타난 시각적, 공간적 그리고 오브제 요소로 표현 특징을 분류하고, 주요 넘버의 장면 에 나타난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무대의 공간적 특성을 바탕으로 음악적 특성과 공간 적 표현 특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뮤지컬 『노트르담 드 파리』는 간결하고 단순하 지만 무대가 허전해 보이지 않는 공간적, 시각적 그리고 오브제의 요소들이 효과적으로 사용되었 다. 음악적으로는 뮤지컬『노트르담 드 파리』주요 넘버에서는 서사를 전달하거나 인물의 심리나 갈등 그리고 상징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와 함께 무대에서는 상징적이고 건축적 오브제의 활용을 통해 극적 배경의 상황이나 시간 그리고 장소를 유동적이고 다의적 공간으로 연출하였다. 이러한 무대 공간에 대한 현대적인 접근은 무대에 있어서 절제적인 상징성을 나타내고 서정적인 선율을 가진 음악과 함께 프랑스 뮤지컬의 문학적 서사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하였 다.
1998년 특허법원 개원에 맞추어 개정된 구 특허법(1995. 1. 5. 법률 제4892호로 개정된 것)은 심결취소소송의 심리범위에 대하여 별도로 규정을 하지 않아, 이에 대하여 무제한설, 제한설, 절충설 등의 논의가 있어 왔다. 특허법원 개원 후 특허법원의 재판실무는 무제한설로 운영되어 왔고 이후 대법원 판결에 의하여 채택됨으로써, 20 년 이상 안정적으로 운영되어 왔다. 그러나 제한 설로의 판례 변경 또는 개정론은 최근까지도 계속하여 제기되고 있어, 이 글에서는, 무제한설의 타당성에 대하여 현행법의 해석, 심결취소소송의 법적 성질, 정책적 차원에서의 이점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무제한설은 현행법 규정과 충돌하지 않고, 심결취소소송 역시 행정소송이라는 점에서 일반 행정소송에서와 달리 주장⋅증명을 제한하려면 합당한 근거가 필요해 보인다. 그러나 특허무효 소송 등의 전문성을 고려하여 필요적 전치주의를 취한 취지를 고려하더라도, 현재의 특허심판원의 지위나 독립성, 전문성만으로는 1심급의 사실심 재판을 생략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그에 대한 사법 심사를 제한하기에는 그 정당성이 부족해 보인다. 제한설로의 개정은 소송 경제 및 분쟁의 일회적 해결에도 부합하지 않고, 이미 침해소송에서는 권리남용 항변이나 권리범위 부인 판단의 전제로서 특허의 무효사유에 대하여 심리 판단하고 있으며, 2016년부터는 침해 소송의 항소심이 특허법원의 전속관할로 지정되었다는 점과도 균형이 맞지 않는다.
관련하여 심결취소소송의 심리범위에 관한 무제한설은 심판절차에서 제기되지 않은 주장⋅증거의 제출을 허용한다는 점에서, 심결취소소송의 법적 성질 및 구조에 의해 심결 이후 새롭게 제출된 주장과 증거가 제한되는 상황에서 무제한설과 혼동하여 잘못된 판단에 이르거나, 제한설을 취하였다고 오해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심결취소소송의 심리범위의 문제와 구별되는 심결취소소송의 법적 성질 및 구조에 의한 새로운 주장⋅증거 제출의 제한 국면에 대하여 구체적 사례와 함께 살펴보았다.
이 글이 20년 이상 계속되어 온 심결취소소송의 심리범위에 관한 제한설과 무제한설의 지겨운 논쟁을 뒤로 하고, 특허심판원의 독립성과 전문성 제고, 특허법원 심리절차의 개선과 같은 생산적인 논의에 집중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또한, 무제한설과 심결취소소송에 대한 이해에도 도움이 되길 바란다.
This study assessed the nutrient consumption of children from lunch at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A total of 184 lunch plates were selected in two child day care centers and two kindergartens in Seoul. Weights of the menus in planned meals were measured and amount of served and consumed lunches were calculated using a digital photography technique. Nutrients of the planned, served, and consumed lunches were assessed using CAN-Pro 4.0 and the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Q) was calculated for each meal. Compared with the estimated energy requirement for lunch for 3-5 year old children, the planned meals of the child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contributed 42.8% and 98.8% of the daily energy requirements, respectively. At a child day care center, a served meal provided more nutrients than a planned meal since some children requested more servings after eating the served meals. This showed that the planned meal did not meet children’s needs as well as the nutrient requirements. At the other child care center, children were served less than the planned meal by 6.8%, which resulted in serving less energy, calcium, potassium, and vitamin C than the required nutrients for lunch. Kindergarten A served meals with the energy requirement for lunch of 101.8%, but Kindergarten B served a meal with the energy requirement of 83.5%. Since the served portions were too small to meet nutrient requirements of the children, they consumed almost all the food served, and their nutrient consumption was similar to the nutrients served. Even though they consumed all the food served, their nutrient consumption did not meet their nutritional requirements. When assessed by INQ, the quality of the meal was good; children could consume enough nutrients when served proper quantity.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for serving meals need to be educated on proper portion sizes and how to encourage children to practice healthy eating. To promote healthy eating among children, parents need to provide children with messages consistent with what they have learned at institutions and to be a good role model in daily dietary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andardized job description for dietitians using the DACUM technique. To examine the validity of job description through DACUM, dietitians were surveyed relative to importance, performance, and difficulty. The survey was conducted April 1-30, 2014. A total of 217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final developed job description for dietitians included six duties, 38 tasks, and 210 task elements. DACUM’s findings include six duties: nutrition management, food service operation management, hygiene safety management, community food and nutrition program management, organization management, and professionalism strengthening. There were 5.1 points regarding importance, 4.1 points regarding performance, 4.9 points regarding difficult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001). Dietitians responded that ‘nutrition management’ and ‘hygiene safety management’ were the most important. ‘Hygiene and safety management’ showed the highest performance, and ‘community food and nutrition program management’ and ‘professionalism strengthening'' showed the highest difficulty. Thus, it is considered that the job analysis results can be used to evaluate and improve the subjects’ training program. Dietitians’ jobs are subject to various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demographic changes, health care system changes, and the development of the food industry, and thus, should be reviewed and analyzed periodically.
본 연구는 실제 대인관계에서 형성된 관계의 친밀감이 게임 플레이 시 플레이어의 게임 및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줄 것이라 보았다. 그러나 사회적 관계 정도에 따른 게임 사용자 경험에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선행 연구에서는 게임 플레이어의 사회적 네트워크나 팀워크에 대해 분석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바일 전략 게임 내에서 플레이어 간의 사회적 관계 정도가 게임에 대한 협동심, 만족, 이용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모바일 게임 앱 플레이테스트 실험처치 방법론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사회적 관계에 따른 효과의 차이를 순수하게 알아보기 위해 참여자의 게임 몰입(Flow)을 공변량(Covariance)으로 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실시간 전략 게임인 ‘클랜시 오브 로얄' 게임 앱을 이용하여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사회적 관계가 높을수록 게임에 대한 협동심과 만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연구의 결과는 모바일 게임 기획 시 플레이어의 인적 네트워크와 게임 진행 방식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