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심결취소소송의 심리범위와 심결취소소송의 법적 성질에 따른 주장 증명의 제한

The scope of hearing in the revocation action of the trial ruling of IPTAB and the restrictions on the submission of new argumentation and evidence by its legal natur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824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Center for Law & Technology)
초록

1998년 특허법원 개원에 맞추어 개정된 구 특허법(1995. 1. 5. 법률 제4892호로 개정된 것)은 심결취소소송의 심리범위에 대하여 별도로 규정을 하지 않아, 이에 대하여 무제한설, 제한설, 절충설 등의 논의가 있어 왔다. 특허법원 개원 후 특허법원의 재판실무는 무제한설로 운영되어 왔고 이후 대법원 판결에 의하여 채택됨으로써, 20 년 이상 안정적으로 운영되어 왔다. 그러나 제한 설로의 판례 변경 또는 개정론은 최근까지도 계속하여 제기되고 있어, 이 글에서는, 무제한설의 타당성에 대하여 현행법의 해석, 심결취소소송의 법적 성질, 정책적 차원에서의 이점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무제한설은 현행법 규정과 충돌하지 않고, 심결취소소송 역시 행정소송이라는 점에서 일반 행정소송에서와 달리 주장⋅증명을 제한하려면 합당한 근거가 필요해 보인다. 그러나 특허무효 소송 등의 전문성을 고려하여 필요적 전치주의를 취한 취지를 고려하더라도, 현재의 특허심판원의 지위나 독립성, 전문성만으로는 1심급의 사실심 재판을 생략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그에 대한 사법 심사를 제한하기에는 그 정당성이 부족해 보인다. 제한설로의 개정은 소송 경제 및 분쟁의 일회적 해결에도 부합하지 않고, 이미 침해소송에서는 권리남용 항변이나 권리범위 부인 판단의 전제로서 특허의 무효사유에 대하여 심리 판단하고 있으며, 2016년부터는 침해 소송의 항소심이 특허법원의 전속관할로 지정되었다는 점과도 균형이 맞지 않는다.
관련하여 심결취소소송의 심리범위에 관한 무제한설은 심판절차에서 제기되지 않은 주장⋅증거의 제출을 허용한다는 점에서, 심결취소소송의 법적 성질 및 구조에 의해 심결 이후 새롭게 제출된 주장과 증거가 제한되는 상황에서 무제한설과 혼동하여 잘못된 판단에 이르거나, 제한설을 취하였다고 오해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심결취소소송의 심리범위의 문제와 구별되는 심결취소소송의 법적 성질 및 구조에 의한 새로운 주장⋅증거 제출의 제한 국면에 대하여 구체적 사례와 함께 살펴보았다.
이 글이 20년 이상 계속되어 온 심결취소소송의 심리범위에 관한 제한설과 무제한설의 지겨운 논쟁을 뒤로 하고, 특허심판원의 독립성과 전문성 제고, 특허법원 심리절차의 개선과 같은 생산적인 논의에 집중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또한, 무제한설과 심결취소소송에 대한 이해에도 도움이 되길 바란다.

Since the Patent Law, which was revised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of the Patent Court in 1998, didn’t clearly prescribe the scope of hearing in revocation action of the trial ruling of Intellectual Property Trial and Appeal Board(IPTAB), there have been discussions whether to limit the submission of new argumentations and evidences which are not reviewed in IPTAB process.
Since the opening of the Patent Court, the trial practice of the Patent Court has been operated with non-limitation theory, and has been in stable operation for more than 20 years since it was adopted by the Supreme Court ruling. However, until recently, it has been argued that the Supreme Court should adopt limitation theory or Patent Law should be revised to limit the scope of hearing of The Patent Court.
In this article, I examined the validity of the argumentation in three aspects: interpretation of current laws, legal nature of appeal, and policy-level benefits.
In conclusion, non-limitation theory does not conflict with the current law’s interpretation, even with article 163 in Patent Law, non bis in idem, and comply with the general principle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in that the scope of hearing in revocation action of administrative decision is not restricted to the arguments and evidences submitted in the administrative decision in general. So there need to be policy – level benefits but limitation theory seems to be against procedural efficiency, conclusive resolution of disputes, legal stability. Also, it is not balanced with the fact that in the infringement suit, the validity is reviewed without any restriction as a premise for abuse or denial of rights. Plus, infringement’s appeal has been designated as a Patent Court’s exclusive jurisdiction since 2016. Limitation theory is based on the concept that IPTAB should play a central role in rejection or invalidation of patent considering the speciality of Patent Cases. But there seems to be a lack of constitutional justification in compositional and operational independence of IPTAB.
In relation to this, the non limitation theory of the scope of hearing allows the submission of evidence and arguments not raised in IPTAB process, so it can be seen that the restriction of the scope of hearing by its legal nature of the revocation action of administrative decision is confused that the Court might choose limitation theory in that specific case.
In this article, I looked at the restriction of the scope of hearing by its legal nature and structure of revocation action of administrative decision which is distinguished from non-limitation theory, along with specific examples.
I hope this article will help focusing on productive discussions such as improvement of patent court proceedings, leaving behind the tedious debate over the scope of hearing of the Patent Court which has been going on for more than 20 years. I also hope this article will serve as a referenc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legal nature and structure of revocation action of administrative decision.

목차
I. 서론
II. 심결취소소송의 심리범위 및 제한설로의변경 논의에 대한 검토
    1. 심결취소소송의 심리범위 일반론
    2. 제한설로의 변경 논의에 대한 검토
III. 무제한설과 심결취소소송의 법적 성질에따른 주장⋅증명의 제한
    1. 문제 제기
    2. 심결취소소송의 법적 성질에 따른 주장⋅증명의 제한
    3. 무제한설과 심결취소소송의 법적 성질에따른 주장⋅증명의 제한의 혼동 사례들
IV. 마치며
저자
  • 이경은(대법원 재판연구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 KyungEun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