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은 과거를 통해 많은 인재를 선발하였다. 과거 선발 인원의 확대는 많은 과거 준비생을 탄생시켰고 이들은 새로운 사대부 계층을 형성해 송대 사회의 주역이 되었 다. 송 황실은 士大夫들의 宴會나 畜妓에 대한 관용적 태도를 취하였고 이는 사대부 와 歌妓의 만남을 촉진시켰다. 만남에는 歌妓의 노래와 연주가 있었고 여기에 맞춘 塡詞의 풍조를 탄생시켰다. 이런 사회적 환경 속에서 사의 창작도 급속도로 늘어났 다. 숭문정책으로 과거급제자가 급격히 늘어났는데 늘어난 진사급제자 숫자만큼 같 은 시기 사 작품의 숫자도 비례하여 증가한다. 송사의 대표작가 30명을 분석해보면 사가 흥성한 북송시기 사인이 17명이다. 그 중 진사출신이 13명으로 76프로를 차지 한다. 인구에 회자되는宋詞三百首를 분석해 보아도 북송시기 진사출신 詞人이 60 프로에 달한다. 즉 송사는 숭문정책으로 인한 사대부계층의 확대와 그에 따른 도시 문화, 음악문화, 歌妓문화가 어우러져 흥성했음을 알 수 있다.
李之儀는 소식 문하의 사인이다. 그러나 그의 사는 소식의 호방사와 다른 부드럽 고(淸婉) 섬세(峭茜)한 풍격을 가진다. 또 그의 사를 내용별로 살펴보면 연정사가 절 반 이상을 차지한다. 이는 그의 인생 경력과 그의 사에 대한 관점에서 연유하는 바 가 크다. 그는 폄적지인 당도에서 가기 양주와 운명적으로 만나 그녀와 가정을 이루 지만 다시 헤어지게 된다. 이런 만남과 이별이라는 일련의 과정들 속에서 이지의는 그녀를 위해 많은 연정사를 짓게 된다. 이지의 사가 완약 청신하며 민가풍의 고악부 적 용어를 사용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이런 개인적 인생사에서 연유되었던 바가 크다. 아울러 그의 사론은 청신한 사 창작의 또 다른 기준이 되었다. 본고는 이지의 연정사와 사론을 통해 이지의 사 풍격 형성의 소이연을 고찰했다.
초기 이욱 사는 전통적인 화간사의 風格을 계승하여 완약하다. 그러나 이욱이 군 주가 된 후 나라가 점점 기울고 부인과 자식이 죽으면서 그의 사풍은 깊은 인생의 감회를 담게 된다. 만년에는 남당이 멸망하고 송의 포로가 되어 변경으로 압송되어 유배 생활을 하게 되면서 이욱 사는 더욱 심오한 의경을 창출하게 된다. 이것을 시 공간적 측면에서 고찰해보면 이욱이 평화로운 생활을 할 때의 작품들은 그 묘사대상 이 바로 곁에 있고 모든 생활이 궁정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자신의 생활과 묘사하 는 모든 대상이 시공간적으로 큰 이격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욱이 군주가 된 후 사랑하는 사람들이 죽자 그의 사에는 이승과 저승이라는 시간적 이격이 나타난다. 이러한 시간적 이격은 이욱 사의 풍격을 한 단계 더 높이고 있다. 다시 남당이 멸망하고 이욱이 포로가 되어 쓴 사들은 시간뿐만 아니라 공간적으로도 큰 이격이 발생한다. 이욱사는 시간과 공간의 이격이 점차 커지면서 더 깊은 서정성을 갖추고 뛰어난 의경을 창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시공간적 이격 확대로 인한 이욱사 풍격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詞의 風格은 蘇軾에 와서 일변한다. 晩唐이래로 이어져 오던 婉約한 사풍이 소식에 와서 豪放하고 淸新한 풍격으로 바뀐다. 이렇게 사풍이 변하게 된 뒤에는 소식의 정치적 처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자신이 쓴 詩가 문제가 되어 ‘烏臺詩案’이란 筆禍를 겪게 된 소식은 시를 대신하여 詞를 통해 자신의 감정을 토로했다. ‘시를 쓰듯 사를 쓴다(以詩爲詞)’는 평가는 여기에서 나왔다. 소식은 당시 文人士大夫들의 관심의 대상이 아닌 사를 통해 貶謫으로 인한 복잡한 감회를 사를 통해 거침없이 쏟아내었다. 폄적으로 인한 여러 가지 복잡한 자신의 심경을 豪放하고, 淸麗하고, 超脫한 풍격의 사로 노래했다. 결과적으로 소식의 폄적은 전통의 婉約한 풍격의 사와는 다른 새로운 풍격의 사를 탄생시켰고 이는 다시 당시 문단에 영향을 주어 송대 詞風의 변화를 이끌었다.
蘇門四學士의 詞는 貶謫 이전과 貶謫 이후로 나눌 수 있다. 蘇門四學士의 폄적이전 詞風은 婉約한 반면 폄적이후에는 豪放, 沈鬱, 飄逸한 풍격을 보인다. 이는 폄적의 심경을 사를 통해 표현했기 때문이다. 당시 詩는 정치적으로 민감하여 폄적의 감정을 마음대로 표현할 수 없었 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은 정치적 관심이 덜한 사를 통해 자신의 심경을 표현했다. 결과적으 로 이는 詞의 詩化를 가져와 사의 내용과 풍격을 변화시켰다. 소식으로부터 시작된 詞의 詩 化는 蘇門四學士의 계승을 통해 가능했다. 왜냐하면 당시 蘇門四學士는 송대 문단을 대표하 는 문인들이었다. 따라서 蘇門四學士의 폄적전후를 비교 고찰하는 것은 송사의 변화와 발전 을 설명해 줄 수 있는 관건적 시기이다. 폄적이후 나타난 그들 사풍의 변화는 송대 사단 전 체에 영향을 주었다. 蘇門四學士의 폄적사는 사의 내용을 확대시키고 풍격을 넓혀 이후 사풍 의 변화를 이끌었다. 후대 辛棄疾과 朱敦儒 등의 豪放詞人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북송초기 詞는 반세기 이상의 침체기를 맞는다. 그 원인을 분석하면 다음 몇 가지 사실에 기인했음을 할 수 있다. 첫째로 송을 건국한 통치자들은 남방 제국이 멸망한 이유를 남방의 퇴폐적 음악과 사에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그들은 의도적으로 남방의 사를 배척했다. 북송 초기 사 작가 대부분이 남방 사람들이었음이 이를 증명한다. 또 송 이전까지 사는 남방에서 흥성한 남방문학이었다. 둘째, 송 건국초기 남방 문인들을 등용하지 않았다. 남방왕조의 문신 들을 송조에 등용되지 못했고 자연스럽게 남방 문학인 사가 북방 지역에 거점을 둔 북송시대 에 발전할 수 없었다. 셋째, 송은 초기에 남방 여러 나라와의 통일전쟁을 했다. 남방 각 지역 에서 일어나는 민란과 전쟁은 사가 발전할 사회적 환경을 제공하지 못했다. 넷째 정책적으로 사를 금했다. 따라서 사의 발전은 송이 안정되는 북송 중기까지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
秦觀은 北宋의 대표적인 詞人이며 蘇門四學士의 한 사람이다. 그러나 蘇東坡의 豪放한 詞風과는 전혀 다른 婉約한 詞風으로 一家를 이루었다. 이는 秦觀의 人生遭遇와 깊은 관계가 있다. 秦觀은 科擧에 두 번이나 落第를 하고 네 차례에 걸쳐 貶謫을 당한다. 淸代馮煦는 秦觀을 두고 ‘옛날 傷心한 사람’이라고 했다. 진관은 평생을 근심과 상심 속에서 살았다. 傷心한 秦觀의 人生은 詞작품 속에 그대로 나타난다. 科擧에 두 번 落榜하였을때의 傷心, 거듭된 貶謫으로 인한 絶望과 挫折속의 傷心, 흐르는 歲月대한 본연적 傷心이 그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진관이 落第와 貶謫으로 인한 傷心의 情을 어떻게 사 작품으로 표현했으며 그 風格적 특징이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진관은 평생을 좌절과 상심 속에서 굴곡 많은 인생을 살아야 했다. 그로 말미암아 진관의 사는 전통적인 만당오대의 艶麗하고 婉約한 詞風을 수용하면서도 凄厲하고 淸麗한 새로운 詞風을 이루어 詞의 새로운 境界를 개척했다고 할 수 있겠다.
This paper explores the concept of leanness in Tang Song Ci in three aspects; external leanness, internal leanness derived from longingness, and internal leanness triggered by perceiving lean objects.
As for external leanness, Tang Song Ci refers to apricot flowers and chrysanthemums - symbolic plants which persevere the winter cold and come into bloom. The first spring blossoms of apricot flowers symbolizes hope, so without any additional metaphors or emotional expressions, the implication and metaphorical nature of the image itself becomes an excellent medium for describing external objects and articulating thoughts in Ci.
On the other hand, the Ci of the Subtle & Concise School in the age of late Tang and the five dynasty period abounds in poetry that depicts leanness caused by inner longing. The early Cis take the form of subtlety and conciseness and have the motif of ladies' longingness; the longing emotions between man and woman are portrayed in the image of leanness.
The internal leanness triggered by perceiving lean objects is found in the Cis of late Tang and the five dynasty period as well as those in Song dynasty. Among them all, Li Qing Zhao's distinguished work stands out as they reflect her unique emotions regarding leanness, which developed from her feminine nature as well as her personal tragedy of being widowed and witnessing North Song fall. The same lean objects can be verbalized through different emotions by different poets, creating various meanings; the introspection by the self regarding the object leads to a variety of expressional forms.
This paper explores the concept of leanness in Tang Song Ci in three aspects; external leanness, internal leanness derived from longingness, and internal leanness triggered by perceiving lean objects.
As for external leanness, Tang Song Ci refers to apricot flowers and chrysanthemums - symbolic plants which persevere the winter cold and come into bloom. The first spring blossoms of apricot flowers symbolizes hope, so without any additional metaphors or emotional expressions, the implication and metaphorical nature of the image itself becomes an excellent medium for describing external objects and articulating thoughts in Ci.
On the other hand, the Ci of the Subtle & Concise School in the age of late Tang and the five dynasty period abounds in poetry that depicts leanness caused by inner longing. The early Cis take the form of subtlety and conciseness and have the motif of ladies' longingness; the longing emotions between man and woman are portrayed in the image of leanness.
The internal leanness triggered by perceiving lean objects is found in the Cis of late Tang and the five dynasty period as well as those in Song dynasty. Among them all, Li Qing Zhao's distinguished work stands out as they reflect her unique emotions regarding leanness, which developed from her feminine nature as well as her personal tragedy of being widowed and witnessing North Song fall. The same lean objects can be verbalized through different emotions by different poets, creating various meanings; the introspection by the self regarding the object leads to a variety of expressional for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