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국 고전시학의 시안론에 등장하는 실자, 허자 개념에서 출발했다. 많 은 학자들은 이를 현대한어의 실사, 허사와 같은 개념으로 사용한다. 실사는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등을 포함하고 허사는 개사, 접속사, 조사, 감탄사 등을 포함한다. 하지만 고전시학 문헌에 등장하는 허자의 용례는 이 분류 기준과 다르다. 본 연구자 가 조사한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다. 실자는 의미와 실체가 있는 글자를 말한다. 품 사로는 명사가 이에 속한다. 명사 중에서도 人, 山처럼 실물을 가리키는 단어이다. 시에서 경물 묘사를 뜻하며 강건한 풍격을 만든다고 인식했다. 활자, 사자의 기준으 로 분류할 때 실자는 모두 사자에 속한다. 사자는 고정의 느낌을 가진 글자이다. 허 자는 의미와 실체가 없는 글자를 말한다. 품사로는 부사, 형용사, 동사가 이에 속한 다. 명사이지만 실물이 아닌 心, 色 등은 허자가 되기도 한다. 시에서 서정 묘사를 뜻하며 유약한 풍격을 만든다고 인식했다. 활자, 사자의 기준으로 분류할 때 허자에서도 부사, 형용사는 사자에, 동사는 활자에 속한다. 활자는 변화의 느낌을 가진 글 자이다. 고전 시학에 등장하는 실자, 허자 용어는 현대한어의 품사 분류 방식처럼 객 관적 기준이 명확하지 않고 인상비평의 요소가 섞여 있다. 실(實)한 글자, 허(虛)한 글자라는 의미의 성격이 농후하다. 활(活)자, 사(死)자의 개념도 이와 같다.
본고는 육기(LuJi), 위응물(WeiYingWu)의 고시(Ancient Poems) 제12수의 모의 작품을 분석하고 이 작품들의 특징과 창작의 중점을 고찰했다. 고시 제12수는 전후반 부 연결의 부자연성 때문에 별개의 작품 두 편이 합쳐진 것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육기와 위응물의 의고시는 모든 구절을 흡사하게 모의하면서도 위진남북조와 당대라는 시대적 특징을 반영하고 있다. 육기의 의고시는 원작의 시의(詩意)를 따라 내용을 전개하되, 작품의 언어적이고 형식적인 특징에 중점을 두었다. 그런데 위응물의 의고 시는 전후반부의 연결을 자연스럽게 만드는 과정에서 시구를 다듬는 방식도 사용했지만 모의의 대상을 바꾸거나 전고의 성격을 바꾸어 자신의 감정이 의고시에 투영되도록 만들었다. 이는 육기의 창작보다 더 난도가 높은 작업이었고 형식은 의고지만 내재적으로는 자신의 서정을 펼치는 창작이었다.
본 논문은 2016년 중국 대학입시 어문과목의 출제문항을 분석하여 2016년 중국 대학입시 의 특징과 변화, 그리고 어문 과목의 출제형식과 중점을 검토했다. 2013년 중국공산당 18대 3 중전회 이후 중국의 대학입시는 중앙정부의 정치적 방향성이 큰 비중을 차지했다. 구체적으 로는 일점사면(입덕수인을 핵심으로 하고 사회주의 핵심가치, 전통문화, 의법치국, 창신정신 을 심화)”의 원칙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출제원칙들이 2016년 입시 어문 문항에 서 인물전기 중심의 문언문 독해 지문, 전통문화 요소에 대한 강조, 창신정신과 현실성을 반 영한 작문 문항 등의 특징으로 구체화되었다고 생각된다. 이는 최근 고위공직자 사정, 중국몽 과 소프트파워에 대한 추구 등 현대 중국의 시대적 과제를 반영한 내용이라 할 수 있다.
『초은시』는 진대에 크게 성행한 시가의 주제로 당시 사인들의 은거관념이 표현된 중요한 장르이다. 지금 전하는 작품은 모두 11수인데 주로 『문선』과 『예문류취』에 수록되어 있다. 『초은시』의 선례는 한대 회남소자의 소체부 초은사 이다. 초은의 원래 의미는 산중의 은사에 게 세상으로 나와 벼슬을 하라고 호소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좌사와 육기의 작품은 이와 반 대로 은거에 대한 본인의 동경을 표현했다. 또 서진 후기 출처동귀 사상이 유행하면서 장재 의 작품은 산림은과 조은을 대비했다. 하지만 이들의 작품은 은거를 긍정한다는 점에서 초은 이라는 제목과 어긋나는 주제를 표현했다. 왕강거의 작품은 이런 현상을 의식적으로 고치려 는 의도가 있었던 작품이다. 그는 제목에 ‘반(反)’자를 붙였고 내용도 원작의 주제를 회복했 다. 하지만 이 역시 제목과 주제가 일치하지 않는 결과를 낳았다. 이후 『초은시』 창작은 사라 지는 추세가 되었지만 산수시의 탄생과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본 논문은 상상과 관련된 이론을 상상의 속성, 상상력 발휘의 조건과 관건, 상상력과 언어표현의 관계로 나누어 설명했는데 유협이 <文賦>의 내용을 바탕으로 자신의 이론을 전개했음을 볼 수 있다. 창작의 경로를 思→意→言로 인식한 점도 그러하다. 그 중 상상력 발휘의 조건을 허정(虛靜), 학문(積學), 이치(酌理), 독서와 연구(硏閱), 정취(馴致)로 세분화한 점이나 상상력의 관건을 통솔하는 요소로 志氣를 제시한 점 등은 육기의 이론을 더욱 발전시킨 부분이다. 두 사람의 이론을 동일선상에서 비교하는 것은 무리가 있지만 본 논문은 육기가 창작자의 시각으로 문학의 문제에 접근했다는 점에 중점을 두고 있다. 육기는 창작의 고통을 깊이 체험하고 <文賦>에서 상세하게 묘사했다. 유협은 상상의 근본원리에 대해 분석하고 이론적으로 접근했지만 육기는 불가지의 영역으로 인식했다. 오히려 상상이 막혔을 때의 고통에 대해 묘사했다. 이런 특징은 문체론에서도 명확하게 나타나는데 유협이 뚜렷한 기준을 설정하여 문체를 구분하고 각 문체의 특징을 상세하게 서술하는데 중점을 둔 반면 육기는 문체운용에서의 임기응변과 창조성을 강조했다. 역시 창작자의 입장이 투영된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두 사람의 이론이 문학의 문제에 접근하는 방식의 차이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35℃에서 polydimethytsiloxane(PDMS)막에 의한 이소프로판올수용액의 투과증발실험을 행하여 이소프로판올의 부피분율이 0.5~0.7범위에서 이상적인 투과속도로부터 가장 크게 벗어났다. 이소프로판올의 가소화 영향은 물의 투과를 증가시키는 데 비하여 물의 존재는 이소프로판올의 투과를 감소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혼합물에서 농도에 의존하는 확산계수를 Vignes식으로 나타내고, Flory-Huggins열역학과 Maxwell-Stefan식을 이용하여 투과속도와 선택도를 예측하였다. 이소프로판올과 물 사이의 Flory-Huggins상호작용계수는 과잉Gibbs에너지를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각 액체 성분과 고분자 사이의 상호작용계수는 평행팽윤 실험에 의하여 결정하였다. 이론적으로 예측한 투과속도는 35%이내의 오차범위에서 실험값과 일치하였으며, 투과선택도는 전 농도 범위에서 실험값과 이론값이 잘 일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urable packaging concrete using silica - based LCD waste glass. In order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waste glass mixed pavement concrete, four types of concrete mixture were classified into general concrete, fly ash concrete, LCD concrete and LCD + fly ash concrete. The performance of the durable concrete pavement was tested for compressive strength, alkali - silica reaction, freezing - thawing, saltation and abrasion resist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high - performance pavement concrete manufacturing technology using LCD waste glass pow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