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송원대 시학의 허자론 초탐 KCI 등재

A Study on the Empty Words in Song-Yuan Dynasties Poetr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886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中國學 (중국학)
대한중국학회 (Korean Association For Chinese Studies)
초록

본 연구는 중국 고전시학의 시안론에 등장하는 실자, 허자 개념에서 출발했다. 많 은 학자들은 이를 현대한어의 실사, 허사와 같은 개념으로 사용한다. 실사는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등을 포함하고 허사는 개사, 접속사, 조사, 감탄사 등을 포함한다. 하지만 고전시학 문헌에 등장하는 허자의 용례는 이 분류 기준과 다르다. 본 연구자 가 조사한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다. 실자는 의미와 실체가 있는 글자를 말한다. 품 사로는 명사가 이에 속한다. 명사 중에서도 人, 山처럼 실물을 가리키는 단어이다. 시에서 경물 묘사를 뜻하며 강건한 풍격을 만든다고 인식했다. 활자, 사자의 기준으 로 분류할 때 실자는 모두 사자에 속한다. 사자는 고정의 느낌을 가진 글자이다. 허 자는 의미와 실체가 없는 글자를 말한다. 품사로는 부사, 형용사, 동사가 이에 속한 다. 명사이지만 실물이 아닌 心, 色 등은 허자가 되기도 한다. 시에서 서정 묘사를 뜻하며 유약한 풍격을 만든다고 인식했다. 활자, 사자의 기준으로 분류할 때 허자에서도 부사, 형용사는 사자에, 동사는 활자에 속한다. 활자는 변화의 느낌을 가진 글 자이다. 고전 시학에 등장하는 실자, 허자 용어는 현대한어의 품사 분류 방식처럼 객 관적 기준이 명확하지 않고 인상비평의 요소가 섞여 있다. 실(實)한 글자, 허(虛)한 글자라는 의미의 성격이 농후하다. 활(活)자, 사(死)자의 개념도 이와 같다.

Many scholars draw parallels between real characters and virtual characters in modern Chinese terms “real words” and “function words”. “Real words” include nouns, verbs, adjectives, and adverbs, while “function words” encompass prepositions, conjunctions, particles, and interjections. However, the usage of virtual characters in classical poetic literature differs from this classification standard. The content I investigate is as follows: Real characters refer to meaningful and tangible words, such as “person(人)” and “mountain(山)”, which belong to the category of concrete nouns. Real characters are also used in descriptive imagery, creating a robust style. Real characters fall under the category of dead characters, characterized by a fixed quality. In contrast, virtual characters refer to meaningless and intangible words, which include adverbs, adjectives, and verbs. Nouns without physical entities, such as “heart(心)” and “color(色)”, are classified as virtual characters. Virtual characters are associated with emotive descriptions, generating a softer style. Among virtual characters, adverbs and adjectives are considered dead characters, while verbs are seen as alive characters, which possess a sense of change. The concepts of real characters and virtual characters in classical poetry do not seem to have as clear-cut objective standards as in modern Chinese, and they are mixed with elements of impressionistic criticism.

목차
【초록】
1. 들어가는 말
2. 허자 개념의 모호성
    1) 허자와 허사
    2) 의미의 유무와 실체의 유무
3. 시풍의 형성에 작용하는 기능
    1) 강건함과 유약함
    2) 경물 묘사와 서정
    3) 시의(詩意) 전개에서의 역할
4. 나오는 말
【참고문헌】
【논문초록】
저자
  • 이규일(국민대학교 중국학부 교수) | Lee Kyu-Ill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