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제문화교류 축제 ‘아시아송 페스티벌’ 관람객의 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 : 상호문화주의 관점에서 KCI 등재

A Study on the Audience Experience of the in the 'Asia Song Festival' :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is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641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3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정부 주도의 국제문화교류 축제 관람객의 참여 경험을 상호 문화주의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국제문화교류 축제의 질적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사례로는 20년간 범아시아 축제를 지향해 온 ‘인바운드형 국제문화교류 음악 축제’인 ‘아시아송 페스티벌(Asia Song Festival)’을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최근 3년간 본 축제를 관람한 경험이 있는 관람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를 진행하고, 이를 디어도프(Deardorff)의 상호문화역량 모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 과, 본 축제 관람객의 ‘태도’는 타 문화에 대한 높은 관심도 및 유사 축 제 참여 경험이 있는 등 개방적 태도를 보였지만 사업에 대한 인지는 낮 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지식과 이해’의 측면에서 본 행사는 타문화에 대 한 인지의 기회가 되었지만 문화별 특성에 대한 이해를 위한 도구 보완 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내부적 결과(사고의 틀 전환)’에서는 음악을 매개로 한 교류 경험인 동시에 아시아 음악에 대한 관심 향상의 기회가 되었지만, 평소 대상국에 관심이 많은 관람객이 참여할 가능성이 높으므 로 아티스트의 사회적 이미지를 면밀히 검토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 다. 마지막으로 ‘외부적 결과(행동 변화)’ 의 경우 향후 문화교류 현장에 서의 적절한 의사소통과 해당 국가 방문 및 추가 문화체험 등 구체적인 행동방식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가 한류를 매개로 한 정부 차원의 상호문 화교류 정책사업의 방향성을 고찰하는데 실무적이고 학술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qualitative development measures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festivals ,"Asia Song Festival," by deeply analyzing the participation experiences of the aud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ism. The research method involved conducting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audiences who have attended the festival in the past three years and analyzing the data according to Deardorff's intercultural competence model. The results showed the audience had an "attitude" of high interest in other cultures and experience in similar festivals, but their awareness of the event was low. In terms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need for tools to better understan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s stage. In the aspect of "internal outcomes", the festival served as an opportunity to enhance interest in Asian music. However, the social image of the artists needs to be carefully reviewed. Lastly, in terms of "external outcomes", specific behaviors such as appropriate visiting the countries were suggested. It is hoped this study will provide practical and academic insights for gauging the direction of government-level policy projects mediated by Hallyu (Korean Wav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축제 참여 경험
    2. 한류 정책과 상호문화주의
    3. 상호문화주의와 상호문화 역량
III. 아시아송 페스티벌
IV. 연구방법 및 분석
    1. 연구문제
    1. 연구 방법
    1. 분석
    4. 분석종합 및 논의
V.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이주빈(홍익대학교) | Jubin Lee (Hongik University)
  • 김선영(홍익대학교) | Sunyoung Kim (Hongik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