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미디어 크리에이터의 문화자본 전환과 확장 : 커버송 아티스트 제이플라를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on the Conversion and Expansion of Cultural Capital of Media Creators : Focused on Cover Song Artist J.Fl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23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4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대표적인 미디어 크리에이터이자 커버송 아티스트인 제이플라(J.Fla)의 사례를 통해 디지털 환경에서 문화자본의 형성과 전환, 그리고 장(場)의 형성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부르디외의 문화자 본론과 장 이론을 이론적 틀로 활용하고, 연구방법으로는 질적 내용분석 을 채택하였다. 연구 결과, 제이플라의 디지털 문화자본은 단계별 차별화 된 전략의 구사를 통해 독특한 시각적 정체성과 음악적 역량의 형태로 나타났다. 장 간 전환 메커니즘으로는 '역행적 진입', '검증된 음악적 역 량', '점진적 정체성 확장', '초국가적 영향력' 등으로 분석되었다. 장 횡 단 과정에서는 '장별 정체성 차별화', '문화적 중개자 포지셔닝', '크로스 미디어'와 함께 디지털 플랫폼과 전통적 음악산업의 노모스와 아비투스 간 충돌을 '융합적 재해석'으로 협상하는 전략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디지털 시대 문화자본으로는 '초국가적 유동성', '알고리즘적 가치화', ' 메타미디어적 숙련도', '참여적 가치 창출', '직접적 경제 전환 가능성' 등이 도출되었으며, 이때 팬덤이 적극적 참여자로 기능했다.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 문화생산의 변화와 새로운 문화자본 형성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와 함께, 부르디외 이론의 디지털 환경 적용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We analyzes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cultural capital through the case of J.Fla, a prominent S. Korean media creator. Using Bourdieu's theories, this research explores J.Fla's YouTube activities, music industry entry, and entertainment company establishment. Findings show J.Fla's digital cultural capital formation occurred in three phases: initial exploration, identity establishment, and global expansion. Her field transition revealed strategies utilizing 'reverse entry,' 'verified musical competence,' and 'transnational influence.' In traversing multiple fields, she employed 'field-specific identity differentiation' and 'integrative reinterpretation' to negotiate conflicts between digital platforms and traditional music industry norms. Characteristics of digital-era cultural capital identified include 'transnational fluidity,' 'algorithmic valorization,' and 'participatory value creation,' with fandoms as active participants. This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cultural production changes in the digital era while expanding Bourdieu's theories to digital environments.

목차
논문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미디어 크리에이터
    2. 부르디외 이론과 미디어 크리에이터 분석의 연관성
Ⅲ. 연구 설계
    1. 연구 대상
    2. 연구 문제
    3. 연구 방법 및 자료 수집
Ⅳ. 분석 결과
    1. 디지털 문화자본의 형성 과정
    2. 문화자본의 장(場) 간 전환 메커니즘
    3. 다중 장(場) 횡단의 전략과 실천
    4. 소결: 디지털 시대 문화자본의 특성과 함의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김기창(홍익대학교) | Kee-Chang Kim (Hongik University)
  • 김선영(홍익대학교) | Sun-Young Kim (Hongik University)
  • 이의신(서울사이버대학교) | Eui-shin Yi (Seoul Cyber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