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내외 아동의 자기애 연구 메타 분석 KCI 등재

A Meta-analysis of narcissism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hildre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33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이 연구는 국내외 아동의 자기애와 관련된 변인들을 연구대상으로 메 타 분석을 통해 효과크기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1년 까지의 국내외 학술지 및 학위논문 총 202편을 메타 분석하였다. 자기애 의 표현형을 3가지(건강한, 웅대한, 취약한)로 분류하고, 핵심 특성 변인 군(부적응양육/대상관계, 취약한 자기조절 실패 변인군)과 주변 특성 변 인군(기질, 성격, 부적응적, 적응 변인군)으로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국 내외에서 모든 자기애와 공통적인 상관 방향을 나타내고 있는 것은 특권 의식과 적대성이며, 이는 자기애의 공통 핵심 특성으로 나타났다. 본 연 구는 국내외 아동의 자기애 관련 변인간의 관련성을 통합하고 종합적인 결론을 도출하여 자기애 형성에 중요한 시기인 아동이 건강한 자기애 발 달의 경로를 자기애 표현형을 통해 접근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size of variables related to narcissism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hildren through metaanalysis. For this study, a total of 202 domestic and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from 2000 to 2021 were meta-analyzed. The phenotypes of narcissism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healthy, grand, and vulnerable), and were classified into core trait variables (maladaptive parenting/target relationship, vulnerable self-regulation failure variables) and peripheral trait variables(temperament, personality, maladaptive, and adaptive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common correlation direction with all narcissism at home and abroad is a sense of Privilege and hostility, which are common core characteristics of narcissism.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integ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hildren's narcissism-related variables and draws comprehensive conclusions, and approaches the path of healthy narcissistic development of children, which is an important period for the formation of narcissism, through the narcissistic phenotyp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자기애의 특성
    2. 마스크 모델과 자기애 스펙트럼 모델
    3. 아동기의 자기애
    4. 아동의 자기애 선행연구 및 메타 분석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1. 연구의 대상과 선정 과정
    2. 관련 변인군의 분류
    3. 자료 처리 및 코딩
Ⅳ. 결과
    1. 자기애 표현형(건강한, 웅대한, 취약한)의 전체 효과 크기
    2. 자기애 표현형(건강한, 웅대한, 취약한)에 따른 자기애 관련변인군 분석
    3. 자기애 표현형(건강한, 웅대한, 취약한)에 따른 자기애 관련변인군의 개별 변인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이경미(중앙대학교) | Kyeongmi Lee (Chung-Ang University)
  • 이주리(중앙대학교) | Julie Lee (Chung-A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