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개 대학 안경광학과 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주관적 건강상태, 안구건조 및 구강건조 증상의 관련성
목적 : 일개 대학 안경광학과 대학생들의 지각된 스트레스, 주관적 건강상태, 안구건조 및 구강건조 증상의 관련 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일개 대학 안경광학과 대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8문항, 스트레스 자각적도 10문항, 안구건 조 증상 8문항, 구강건조 증상 6문항을 온라인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통계분석은 독립표본 t-검정과 ANOVA 분 석, pearson의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지각된 스트레스와 안구건조 증상이 더 높았으며,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7시간 이 상일 때 안구건조 증상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주자가 비음주자보다 낮은 스트레스를 지각 했으며, 안구건조와 구강건조 증상은 지각된 스트레스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주관적 건강상태는 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특히 주관적 구강건강 상태가 나쁜 그룹은 스트레스 수준이 더 높았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는 지각된 스트레스가 안구건조 및 구강건조 증상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며, 학생들의 스 트레스 관리 및 건강상태 모니터링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령대와 스트레스 요인을 포함 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symptoms of dry eye and dry mouth among optometry students at a single university. Methods :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150 optometry students from a university, general characteristics (8 items), perceived stress (10 items), dry eye symptoms (8 items), and dry mouth symptoms (6 items).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independent t-tests,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 Female students had higher levels of perceived stress and dry eye symptoms than male students, and dry eye symptom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more than 7 hours of smartphone usage. Additionally, drinkers perceived lower stress than non-drinkers, and dry eye and dry mouth symptom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rceived stress. Subjective health statu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erceived stress, and those with poor subjective oral health reported higher perceived stress levels. Conclusion : The findings suggest that perceived stress is associated with dry eye and dry mouth symptoms, emphasizing the need for stress management and regular health monitoring among students. Future research should include a broader age range and additional stress f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