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장자 미학의 무경계성(無境界性)을 통한 현대공간 특징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pace through the Boundarylessness in Zhuangzi’s Aesthetic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672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예술연구))
초록

현대사회는 사회, 경제, 정치, 문화적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으나, 이러한 발전 속에서 현대인들은 심리적 피로와 함 께 사회적 불만을 심각하게 경험하고 있다. 전국시대라는 혼란 한 시기에 살았던 장자 역시 그러한 사회적 혼란 속에서 삶을 영위했으나, 그는 혼란 속에서도 자유롭고 온전한 삶을 추구하 였다. 장자의 철학은 혼란한 현실로부터의 단순한 도피가 아니 라, 세속의 삶 속에서 인위적인 억압에 구속되지 않고 진정한 정신적 자유를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는 이러한 정신 적 자유에 도달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정신이 자유로워질 수 있는 심재(心齋)와 좌망(坐忘)이라는 수련을 제시하였다. 장자 는 이 수련 과정을 통해 물아일체(物我一體)와 무위자연(無爲自 然)의 도(道)를 체득하게 되며, 그 결과로 지미지락(至美至樂)과 천락(天樂)의 경지에 이르게 된다고 보았다. 장자는 이러한 경 지에 도달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최고의 쾌락과 자유, 그리고 미 를 획득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와 같은 장자의 철학은 현대 건축 공간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시간과 공간, 사용자 간 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관계적 무경계성이라는 개념을 통해 현 대 건축에서 나타나는 중첩, 차경, 병치 등의 건축적 기법을 설 명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반영한 현대 건축 공간은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심미적 특성을 가지며, 이를 통해 전통과 현 대를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한다. 장자의 사 유를 바탕으로 현대 건축 공간을 분석하는 접근은 현시대의 다 양한 건축물에 대한 형이하학적 해석을 넘어서, 공간의 심미적 특성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을 제공한다.

Modern society has achieved remarkable advancements in social, economic, political, and cultural spheres. However, amid these developments, modern individuals experience severe psychological fatigue and social dissatisfaction. Zhuangzi, who lived during the turbulent Warring States period, also navigated a life within a chaotic social environment, yet he pursued a life of freedom and wholeness despite the turmoil. Zhuangzi's philosophy does not advocate for a mere escape from chaotic reality but rather aims to seek true spiritual freedom within secular life, unbound by artificial constraints. To achieve this spiritual freedom, Zhuangzi proposed practices such as "Xinzhai" (mental fasting) and "Zuowang" (sitting in forgetfulness), which enable the mind to liberate itself from external influences. Through these practices, Zhuangzi believed one could attain the Dao of unity between self and nature (Wuwei Ziran) and ultimately reach the state of "Zhimizhile" (supreme beauty and joy) and "Tianle" (heavenly joy). He asserted that by reaching this state, one could attain the highest levels of pleasure, freedom, and beauty. Zhuangzi's philosophy significantly influences contemporary architectural spaces, particularly in explaining architectural techniques such as superposition, borrowed scenery, and juxtaposition through the concept of relational boundarylessness, where the boundaries between time, space, and users become ambiguous. Modern architectural spaces that reflect these characteristics possess aesthetic qualities that encompass both tradition and modernity, contributing to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se elements. Analyzing contemporary architectural spaces through the lens of Zhuangzi's thought offers a new perspective that transcends metaphysical interpretations of various architectural structures in the current era, providing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space.

목차
Ⅰ. 서론
Ⅱ. 장자 미학과 무경계성
Ⅲ. 무경계적 특성을 통한 현대공간 분석
    1. SANAA _Serpentine Pavilion (2009)
    2. SANAA _Grace Farms (2015)
    3. Michael Arad _9/11 Memorial & Museum (2011)
    4. Foster + Partners _Apple Store Michigan Avenue,Chicago (2017)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이준호(경상국립대학교 디자인비즈니스학과 겸임교수) | Lee Joonho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Adjunct Professor, Department of Design and Busi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