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도시숲길 조성 관리 지침 마련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n Urban Forest Trail Guidelin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705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코로나19로 인해 야외활동 수요가 증가하면서 숲길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쾌적한 도시 생활환경의 중 요성이 주목되고 있다. 그러나 숲길을 이용하는 시민이 체감하는 도시 내 녹지비율은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도시숲길 개념을 정립하고 식생배치 기준과 노선·노면 구조 및 시공 요령을 마련해 도시숲길 조성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도시숲길 조성 관리지침을 제시한다. 국내외 사례 조사 및 현장답 사, 도시숲길 관련 문헌을 검토한 후 도시숲길 기능과 유형을 분류하고 광주광역시를 예시로 도시숲길 노선을 적용했다. 도시숲길 노선은 주거지 연결형, 산림 및 하천 연결형, 도심 연결형으로 구분했다. 기 존 숲길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되 신규 노선이 필요한 구간은 기준에 따라 노선을 설치하여 숲길과 주거 지 간의 연결성을 강화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도시숲길이 가로수를 포함한 도시숲과 차별되는 생 태·친환경 공간이자 생물 다양성을 확보하고 문화적 장소로서 역할과 기능을 하는 시공지침을 마련했 다. 이를 바탕으로 점적 차원의 녹지자원과 상호 연계하여 지역간 교류 및 경제 활성화를 더불어 시민이 실제로 체감하는 녹지의 비율이 늘어날 것이며, 효율적인 도시숲길 조성을 기대할 수 있다.

Due to Covid-19,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outdoor activities, including forest trails and the importance of a pleasant urban environment is being recognized. However, the proportion of green space in the city as experienced by citizens who utilize forest trails is insufficient.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urban forest trails and provide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urban forest trails. These guidelines can be used as basic materials for the creation of urban forest trails, by establishing planting methods, road structure. To achieve the aim of this study, we conducted an investigation of both the internal and external urban forest, carried out a review of the existing literature on urban forest trails was carried out, and and the functions and types of urban forest trails were classified. The urban forest trail routes were applied as a case study for the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urban forest trail rout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neighborhood, forest and river connection and urban center connection. It is essential to make use of the existing forest trails, when the new routes are required, it should be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relevant standards in order to enhance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urban forest trails and the surrounding residential areas. Urban forest paths will be able to achieve inter-regional exchange and economic revitalization, and increase the proportion of green space that citizens actually experience.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이론적 고찰
    2.1 도시숲길 정의 및 기능
    2.2 문헌검토
    2.3 관련 법규 검토
3. 연구방법
4. 결과 및 고찰
    4.1 도시숲길 유형 및 노선
    4.2 도시숲길 조성방안
    4.3 도시숲길 관리·운영방안
5. 결론
References
저자
  • 권윤구(전남대학교 조경학과) | Yoonku Kw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김은일(전남대학교 조경학과) | Eunil Kim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양동준(한국섬진흥원) | Dongjun Yang (Korea Island Development Institute)
  • 김정인(전남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Jeongin Kim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