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선사∼삼국시대 성주지역의 고고학적 배경

Archaeological Background of Seong-ju Area from Prehistoric to Three Kingdoms Perio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705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800원
한국성곽학회 (Korea Fortress Academy)
초록

본고는 성주지역에 분포한 선사∼삼국시대 유적에 대해 정리하고, 지역 내 삼국시대 고 분의 편년과 성격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성주지역에는 선사시대부터 사람의 거주가 시작된 것으로 보이고, 그 시작은 구석기시대 까지 거슬러 올라갈 가능성이 높다. 성주읍과 선남면 일대에서 구석기시대 유물이 다수 출 토, 채집되었고, 지역을 관류하는 이천(伊川), 백천(白川), 신천(新川) 등의 소하천 유역에 형 성된 하안단구상에 구석기시대 유적들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신석기시대 유적은 아직 지역 내에서 확인된 바가 없지만, 성주와 인접한 김천지역의 송 죽리유적을 비롯하여 합천, 거창 등지에서도 신석기시대 유적들이 확인되는 것을 토대로 성 주지역 내에서도 신석기시대 문화가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이 가능하다. 청동기시대 유적은 낙동강 및 지역 내 소하천 등지에 입석, 지석묘, 유물산포지 등 53개소 정도가 보고되어 있고, 성주지역에서 확인된 지석묘는 모두 165여기 이며, 입석은 6기이다. 초기철기∼원삼국시대 유적도 지역 내에서 다수가 조사되었는데, 특히 백전·예산리유 적은 원삼국시대 전기에 목관묘를 축조하고 철기를 사용한 세력이 당시 성주지역 내에서 성 장, 존재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려주고, 대외교류 등을 통해 철기류와 같은 선진 문물을 받아 들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후 삼국시대가 되면 지역 내 3대 고총고분군인 성산동고분군, 수죽·용각리고분군, 명 천리고분군을 중심으로 많은 수의 고분군이 조영되는데, 60여개소의 삼국시대 고분군이 지 역 내에서 확인되고 있다. 이 중 성산동고분군 내에서는 22호분, 48호분, 수죽·용각리고분 군에서는 수죽리고분군Ⅱ 30호분, 353호분, 명천리고분군 내에서는 6호분 등이 최근 발굴 조사되었고, 성산성과 할미산성에 대한 정밀지표조사도 최근 실시되는 등 다양하고 활발한 조사가 지역 내에서 진행되고 있다. 성주지역 내 삼국시대 고분에 대한 편년은 주로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성산동고분군을 중 심으로 이루어져 왔고, 지역색이 강한 성주양식 토기가 성주지역을 중심으로 일부 낙동강 이동지역까지 확인되며, 대형의 판석조 석곽 역시 성주지역을 중심으로 낙동강 중상류역에 넓게 분포하고 있다.

This study summarizes the sites from the prehistoric to Three Kingdoms periods distributed in the Seong-ju area and briefly introduces the chronology and characteristics of tomb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region. It appears that human habitation in the Seong-ju area began in prehistoric times, and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beginning dates back to the Paleolithic era. Many Paleolithic era relics were excavated and collected in the Seongju-eup and Seonnam-myeon areas, and it is highly likely that Paleolithic era relics exist on the river terraces formed in the various river basins that flow through the region. Although Neolithic sites have not yet been confirmed in the region, based on the fact that Neolithic sites have been confirmed in Hap-cheon, Geo-chang area, as well as Songjuk-ri ruins in the Gim-cheon area adjacent to Seong-ju, it can be assumed that Neolithic culture was formed in the Seong-ju area as well. Bronze Age sites are reported in about 53 places, including standing stones, dolmens, in the Nakdong River and small rivers in the region. A total of 165 dolmens have been confirmed in the Seong-ju area, with six standing stones. A large number of sites from the Early Iron Age to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were also investigated within the region. In particular, the Baekjeon and Yesan-ri sites show that a power that built wooden coffin tombs and used iron tools in the early part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was growing and existing in the Seong-ju area at the time, and that foreign exchanges, etc. This shows that advanced civilization such as ironware was accepted. Later,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a large number of ancient tombs were constructed, focusing on the three major ancient tomb groups in the region: Seongsan-dong tombs, Sujuk and Yonggak-ri tombs, and Myeongcheon-ri tombs. About 60 tomb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have been identified in the region. Among these, tombs No. 22 and 48 in the Seongsan-dong tomb group, tombs No. 30 and 353 in the Sujuk-ri tomb group II in the Sujuk-Yonggak-ri tomb group, and tomb No. 6 in the Myeongcheon-ri tomb group were recently excavated, and precise surface surveys on Seongsan and Halmi fortress were also recently conducted. Various and active investigations are being conducted in the region. The chronology of the ancient tomb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Seong-ju area has been centered around the Seongsan-dong tomb group where excavations were conducted, and Seongju-style pottery with strong local characteristics has been identified mainly in the Seongju area, and large-scale stone lines tombs are also found in the middle and upper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mainly in the Seong-ju area.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선사시대 성주지역의 유적과 유물
Ⅲ. 초기철기∼원삼국시대 성주지역의 유적과 유물
Ⅳ. 삼국∼통일신라시대 성주지역의 고분문화
    1. 성산동고분군 지구
    2. 수죽·용각리고분군 지구
    3. 명천리고분군 지구
Ⅴ. 삼국시대 성주지역 고분의 편년과 특징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남익희((재)세종문화재연구원 연구부장) | Nam Ik Hee